미나리아재비과

홀아비바람꽃(3)(홀아비바람꽃과 너도바람꽃 잎 비교)

대효0617 2025. 4. 18. 10:02

 

홀아비바람꽃(3)(홀아비바람꽃과 너도바람꽃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6724

홀아비바람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3760

홀아비바람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47

들바람꽃(바람꽃 종류들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909

 

 

학명 : Anemone koraiensis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일어명 : -

중국어명 : -

 

 

 

사진 : 2024.04.27 청태산

 

 

 

Anemone와 Enemion은 꽃잎이 없고 Isopyrum과 Eranthis는 꽃잎이 있다

 

 

 

Anemone 속으로 총포엽에 엽병이 없는 종들은

바이칼바람꽃, 바람꽃, 홀아비바람꽃, 쌍동이바람꽃, 남방바람꽃, 대상화, 가래바람꽃이다

 

 

 

 

 

 

 

 

 

 

 

 

 

국생지

 

분포

한국(강원특별자치도의 산지)

생육환경

계곡 주변의 습윤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낙엽수림 하부에 생육하고 개화 및 생육기에는 양지 조건인 곳.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1-2개이고 높이 3-7cm이며 엽병은 털이 없고 엽신은 장상으로 5개로 갈라지며 길이 2cm,  4c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털이 없다.

꽃은 지름 12mm로서 백색이며 꽃대는 1개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총포는 잎같으며 3개로 갈라지고 꽃대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긴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황색이다. 씨방은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달걀모양이며 대가 없다.

열매

납작한 타원형의 수과가 달리는데 두꺼운 날개가 있다.

뿌리

근경은 굵고 육질이다. 뿌리는 굵고 지름 2mm정도이며 선단에 몇 개의 비늘조각이 있다.

보호방안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자생지 및 개체수가 풍부하다.

특징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Anemone속 식물중 대표적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홀아비바람꽃과 너도바람꽃 잎 비교

 

꽃이나 열매가 있으면 확연히 구분되지만 잎으로는 구별하기 힘들다. 둘 다 총포엽에 자루가 없다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ensis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관찰 의견
최종열편의 중앙 열편이
좌우 측열편과

크기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선단이 둥글다
최종열편의 중앙 열편이
대체로 좌우 측열편보다

대체로 더 크고 길으며
선단이 다소 뾰족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