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

참지네고사리(2)

대효0617 2024. 10. 9. 22:18

 

참지네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6336

참지네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5495

참지네고사리(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947

관중속 2회우상 지네고사리들의 검색표/종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481

관중속 2회우상 지네고사리 종류들 비교-일본 자료

https://daehyo49.tistory.com/7811941

 

학명: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학명 이명: 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 var. dilatata (Koidz.) Sugim.

분류: 관중과(Dryopteridaceae)

일어명: トウゴクシダ (東谷羊歯)

중국어명: -

 

 

사진 : 2024.05.19 광릉수목원

 

 

 

 

 

 

 

 

열편 끝이 날카롭다

 

 

우축에 낭상인편이 있다

 

 

 

 

 

 

 

 

아래 : 2024.07.28 광릉수목원

 

 

Dryopteris에서 소우축이나 열편 중륵에 낭상인편이 있는 것 중

2회우상으로 족제비고사리 이름이 붙은 유형에  가깝고 우축에 낭상인편이 있는 종들

(참지네고사리, 꼬리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바위족제비고사리)의 하나다

 

 

우편은 장타원상피침형이다

 

 

엽신은 광난형이다

 

 

 

지네고사리 이름이 붙어 있지만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은 제2소우편에 비해 약간만 짧다

*(아래 추가 설명)

 

 

 

우축에 낭상 인편이 있다

 

 

 

산족제비고사리, 바위족제비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는 소우편(열편)이 둔두이지만

참지네고사리, 꼬리족제비고사리는 소우편(열편) 끝이 날카롭다 

소우편은 장타원상 피침형이다

 

 

 

 

엽병에는 흑갈색 인편이 밀생한다 

 

 

아래 : 2025.06.06 광릉수목원

 

 

 

 

Dryopteris속으로 지네고사리 이름이 붙은 것들은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이 제2소우편보다 현저하게 작다.

그러나 참지네고사리와 큰홍지네고사리 2종만은 하향제1소우편이 제2소우편에 비해 약간만 짧다.

참지네고사리는 우축에 낭상인편이 있고 큰홍지네고사리는 우축에 낭상인편이 거의 없다  

 

 

참지네고사리는 엽신 상부가 갑자기 좁아지나 꼬리 모양이 아니고

꼬리족제비고사리는 엽신 상부가 갑자기 좁아져 긴꼬리 모양이 된다

 

 

 

참지네고사리와 꼬리족제비 소우편(열편)은  톱니가 날카롭다. 산족제비고사리는 톱니가 둔하다  

 

 

 

 

 

아래 : 2025.06.23 안면도수목원

 

 

 

 

 

 

 

 

 

 

 

 

 

 

* 참지네고사리의 최하우편에 대한 추가 설명

 

지네고사리 이름이 붙은 것들은 대체로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이 하향제2소우편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이 제2소우편에 비해 긴 족제비고사리 이름이 붙은 종들과 구별된다. 그러나 참지네고사리와 큰홍지네고사리 2종은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이 제2소우편에 비해 약간만 작다. 그래서일까? <한국의 양치식물>에서는 이 두 종을 검색표에서 족제비고사리 이름이 붙은 종들에 포함시키었다. 참지네고사리는 우축에 낭상인편이 붙은 부류에 들어가고 큰홍지네고사리는 우축에 낭상인편이 없는 부류에 들어갔다

 

 

한국의 양치식물 설명

 

 

 

성상: 상록성 다년초; 지생

: 80-120cm

근경: 짧고 굵으며 비스듬히 선다

엽병: 길이 30-50cm; 흑갈색 인편이 밀생하나 잘 떨어진다

엽신: 2-3회우상;광난형, 길이 50-70cm, 상부가 급히 좁아져 짧게 뾰족하며, 종이질, 표면에 광택

우편: 7-9쌍이 거의 대생, 다소 삼각상 또는 장타원상피침형; 우축 뒷면에 낭상인편

소우편: 다소 빽빽이 붙고, 피침상장타원형 또는 선상장타원형;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은 제2소우편보다 약간 길거나 비슷하며 매우 짧은 자루가 있다

포자낭군: 소우축의 중륵 가까이에 부착; 아래쪽 우편에는 포자낭군이 붙지 않는 것이 많다

포막: 둥근 신장형으로 전연, 회백색

포자기: 6-9

분포: 전남, 경남북, 제주, 일본

생육지: 야산 숲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