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좀참새귀리(1)

대효0617 2024. 5. 14. 17:40

좀참새귀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6129

좀참새귀리(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197

참새귀리속Bromus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824

상위 분류군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406

 

 

학명: Bromus inermis Leyss.

분류: 벼과(Poaceae)/Pooideae/Bromeae/Bromus

학명 풀이

inermis: unarmed, 여기서는 '까락이 없는'

중국어명 : 无芒雀麦

일어명 : コスズメノチャヒキ

 

사진 참조 사이트들

https://en.wikipedia.org/wiki/Bromus_inermis

http://www.illinoiswildflowers.info/grasses/plants/smooth_brome.htm

https://gobotany.newenglandwild.org/species/bromus/inermis/

http://www.uniprot.org/taxonomy/15371

http://www.plantphoto.cn/tu/3694

 

사진 : 2024.05.13 연천

 

 

 

 

 

근연종괴의 구별

 

1. 소수는 등쪽이 접히지 않으며 둥글다

  2. 다년생이다

     3. 길게 뻗는 근경이 있다. 호영은 선상피침형이며 길이 9-12mm, 까락은 길이 1-2mm이다

         ......................................................        좀참새귀리  Bromus inermis

 

     3. 근경은 짧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10-13mm, 까락은 길이 10-13mm이다

       ....................................................            꼬리새 Bromus remotiflorus

 

 

 

다년생식물로 길가 목장 주변에 자라는 유럽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근경이 길게 뻗으며 한 포기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나고 높이 30-100cm, 3-5개의 마디가 있다. 엽초는 원통형으로 표면이 밋밋하다. 엽신은 길이 10-35cm, 너비 4-8mm이다. 엽설은 길이 2mm, 막질로 절두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개방원추화서는 길이 10-15mm, 첫 번째 가지는 한 마디에서 3-4개가 달리며  길이 1-10cm이다. 소수는 타원형이고 길이 15-25mm, 폭 3-5mm, 6-13개의 임성소화가 있고, 끝쪽으로 소화가 점점 없어진다. 제1포영은 길이 6-9mm, 1맥, 제2포영은 길이 9-11mm, 3맥이다. 호영은 길이 9-12mm, 용골이 없고 5-7맥이며 까락은 없거나 있어도 길이 1-2mm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용골에 짧은 털이 있다.

 

*꼬리새(B. remotiflorus)에 비해 길게 뻗는 근경이 있고, 까락은 길이 1-2mm로 구분된다.

.

Bromus inermis Leysser, Fl. Halens. 16. 1761.

无芒雀麦 wu mang que mai

(학명 이명)

Bromopsis inermis (Leysser) Holub; Bromus pskemensis Pavlov; Zerna inermis (Leysser) Lindman.

(설명)

Perennial, with spreading rhizomes. Culms loosely tufted, erect, 50120 cm tall, glabrous or retrorsely hairy below nodes. Leaf sheaths glabrous or shortly hairy; leaf blades flat, 2030 cm × 48 mm, both surfaces and margins scabrid, glabrous or margins sparsely ciliate, apex acuminate, ligule 12 mm. Panicle dense at first, spreading after anthesis, 1020 cm; branches 35 per node, up to 10 cm, scabrid, each bearing 26 spikelets. Spikelets 1525 mm, florets 612; rachilla internodes 23 mm, spinulose; glumes lanceolate, margins membranous, lower glume 47 mm, 1-veined, upper glume 610 mm, 3-veined; lemmas oblong-lanceolate,812 mm, 57-veined, glabrous, base scabrid, apex obtuse or emarginate; awn up to 34 mm, or awnless; palea shorter than lemma, keels ciliate. Anthers 34 mm. Fl. and fr. JulSep. 2n = 14, 28, 56.

Gullies on slopes, roadsides, river banks, dominant species of mountain meadows; 10003500 m. Gansu, Guizhou, Hebei, Heilongjiang, Jiangsu, Jilin, Liaoning, Nei Mongol, Qinghai,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Xinjiang, Xizang, Yunnan [Japan, Kashmir, Kazakhstan, Kyrgyzstan, Mongolia, Tajikistan, Uzbekistan; SW Asia (Caucasus), Europe].

This species has been spread worldwide through seed production for pasture and fodder.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24991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수염과 광릉용수염 구별(비공개)  (0) 2024.06.30
들묵새(1)  (0) 2024.06.11
기름새(2)  (1) 2023.10.26
돌피(4)(추정)  (1) 2023.10.11
개기장(2)  (1) 202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