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 311

참터리풀(추정)

터리풀(2)(터리풀속 Filipendula 종검색표 및 종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884 학명 : Filipendula multijuga Maxim.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 シモツケソウ(下野草)* 참터리풀은 일본에 자생한다 참조 사이트https://ja.wikipedia.org/wiki/%E3%82%B7%E3%83%A2%E3%83%84%E3%82%B1%E3%82%BD%E3%82%A6http://natural-history.main.jp/Tree_of_life/Eukaryote/Plantae/Land_plants/Shimotsukeso/Shimotsukeso.htmlhttp://www.botanic.jp/plants-sa/simoso.htm..

장미과 2025.07.13

참조팝나무(4)

안내표찰에 덤불조팝나무(Spiraea miyabei)로 되어 있는데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학명 : Spiraea fritschiana C.K.Schneid.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 2025.06.03 황학산수목원 FOC에 따르면 참조팝나무, 일본조팝나무, 덤불조팝나무(모두 복산방화서)는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1. Inflorescences borne on erect, long, leafy shoots of current year. ..................... 참조팝나무 S. fritschiana, 일본조팝나무 S. japnica 1. Inflorescences borne on short, lateral branchlets arising from branches o..

장미과 2025.07.02

세잎양지꽃 (2)

세잎양지꽃 (2)https://daehyo49.tistory.com/7816880세잎양지꽃 (1) (민눈양지꽃과 세잎양지꽃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959 학명 : Potentilla freyniana Bornm.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 ミツバツチグリ(三葉土栗)중국어명 : 三叶委陵菜 사진 : 2025.05.23 고대산 국생지 형태굵고 짧은 뿌리에서 근생엽과 가지가 돋는다. 꽃대 높이는 15~30㎝ 정도로 자란다. 잎은 3출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줄기잎은 엽병이 짧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달걀 모양 또는 거꿀달걀 모양이고 원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5㎝, 폭 1~3㎝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

장미과 2025.06.24

노랑해당화 (2)

노랑해당화 (2)https://daehyo49.tistory.com/7816873노랑해당화 (1)https://daehyo49.tistory.com/7809330 학명: Rosa xanthina Lindl.분류: 장미과(Rosaceae)학명 풀이:xanthina: 노란색의 사진 : 2025.05.18 의정부 석림사 설명잎잎은 어긋나기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거꿀달걀모양이고 원두, 예저로 길이 0.8-1.5cm, 폭 0.5-1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다.열매열매는 구형으로 지름 1.2cm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홍갈색으로 8-9월에 성숙한다.씨방과 꽃잎이 겹으로 되어 종자가 결..

장미과 2025.06.20

올벚나무 ← 까마귀베개

올벚나무 (2) ← 까마귀베개https://daehyo49.tistory.com/7816864올벚나무 (1)https://daehyo49.tistory.com/7810340처진올벚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07893 까마귀베개로 잘못 올렸던 것 학명 : Prunus spachiana (Lavallée ex Ed.Otto) Kitam. f. ascendens (Makino) Kitam.분류 : 장미과 (Rosaceae) 일어명 : エドヒガン(江戸彼岸) 사진 : 2024.06.25 안면도수목원 국생지형태높이는 10m, 지름 1m 정도이다. 줄기는 굵고 수형이 웅대하며 가지가 많다. 작은 가지는 회색빛 나는 보라색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나무껍질은 광택이 ..

장미과 2025.06.17

뱀딸기(2)

뱀딸기 (2)https://daehyo49.tistory.com/7816855뱀딸기 (1)(뱀딸기와 산뱀딸기의 비교, 세잎양지꽃과 뱀딸기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7710산뱀딸기(뱀딸기와 산뱀딸기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208 학명 : Duchesnea indica (Andrews) Teschem.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 ヤブヘビイチゴ(藪蛇苺 수사매)중국어명 : 蛇莓 사진 : 2025.06.10 광릉수목원 국생지 ( 국생지 기재문으로는 산뱀딸기와 구분하지 못한다) 형태높이는 30~100㎝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긴 털이 있고, 꽃이 필 때는 작으나 열매가 익을 무렵에는 마디에서 뿌리..

장미과 2025.06.14

분홍벚나무

* 이전에 개벚나무로 부르던 것이다 학명 : Prunus sargentii Rehder var. verecunda (Koidz.) Chin S.Chang분류 : 장미과(Rosaceae)비추천명 : 개벚나무 사진 : 2025.04.26 홍릉수목원 2025.05.02 황학산수목원 국생지 분포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생육환경▶산골짜기의 비옥지 및 마을근처의 비옥지에서 잘 자란다.▶양지에서 잘 자라고 내한성이 강하며 습기가 많은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양호하다.생육형낙엽 활엽 교목크기높이가 15m에 이른다.잎잎은 달걀모양, 넓은 또는 좁은 거꿀달걀모양이고 점첨두, 원저로 길이 5~8cm, 너비 2~4.5cm이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예리하고 잎 뒷면에 미모가 있다. 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장미과 2025.05.07

윤노리나무(5)

윤노리나무(4)https://daehyo49.tistory.com/7814356 FOC에서는 이 종을 Photinia속(홍가시나무속)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요즘은 Pourthiaea속(윤노리나무속)으로 분류한다 Photinia속은 상록성이고 과병에 사마귀 모양의 피목이 없으며 Pourthiaea속은 낙엽성이고 과병에 사마귀 모양의 피목이 발달한다 학명 :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カマツカ(鎌柄)중국어명 : 毛叶石楠 사진 : 2025.04.23 광릉수목원 잎, 엽병, 화서. 꽃받침, 신년지에 털이 많다(종소명 villosa !) 꽃은 산방화서 엽신은 도란형,점첨두, 예저에 소예거치 ..

장미과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