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과 36

흑자작나무

학명 : Betula nigra L.뷴류 : 자작나무과(Betulaceae)Common Names : Black Birch, River birch, red birch, wate birch국표식 등재국명 : 흑자작나무원산지 : 미국 사진 : 2025.05.29 일월수목원 FNA 설명 Betula nigra Linnaeus, Sp. Pl. 2: 982. 1753.River birch, red birch Betula rubra F. Michaux Trees , to 25 m; trunks often several, crowns round. Bark of mature trunks and branches grayish brown, yellowish, reddish, or creamy whit..

자작나무과 2025.05.30

개서어나무(2)

개서어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606개서어나무(1)(서어나무 유사분류군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841개서어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1809서어나무(2)(서아나무와 개서어나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4139  학명 : Carpinus tschonoskii Maxim.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일어명 : イヌシデ(犬四手)중국어명 : 昌化鹅耳枥(창화아이력) 참조 사이트 https://matsue-hana.com/hana/inuside.htmlhttps://www.jugemusha.com/jumoku-zz-inuside.htm ..

자작나무과 2025.03.09

소사나무(2)

소사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265소사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487 학명 : Carpinus turczaninovii Hance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 사진 : 2024.07.10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7.12 서천국립생태원 아래 : 2024.07.28 광릉수목원 아래 : 2025..04.23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중국, 일본; 한반도 서해안 및 남해안. 강원특별자치도 삼척, 함경남도.생육환경1,000m이하의 해변 산기슭의 암석이 많은 건조한 곳생육형낙엽 활엽 관목.잎잎은 어긋나기로, 달걀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 길이는 3 ~..

자작나무과 2024.08.09

거제수나무(2)

거제수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138거제수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767거제수나무 겨울눈 (거제수나무와 박달나무 겨울눈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918  학명: Betula costata Trautv.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중국어명: 硕桦일어명: チョウセンミネバリ  사진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수꽃은 아래로 느러지고 암꽃은 위로 직립한다       측맥은 10-16쌍이다           형태낙엽활엽교목, 원정형(가지는 분산형으로 신장).분포중국 동북부; 백두대간에 전라남도 지리산까지 분포하고 중부 이북의 표고 600~2,100m지대에 자생.생..

자작나무과 2024.05.18

덤불오리나무(2)

덤불오리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136덤불오리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1117물오리나무(1)[오리나무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042 학명 :(국생지 새 학명) Alnus alnobetula (Ehrh.) K.Koch subsp. fruticosa (Rupr.) Raus(국생지 이전 학명) Alnus mandshurica (Callier) Hand.-Mazz.(한국의나무) Alnus alnobetula (Ehrh.) K. Koch subsp.mandschurica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사진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수목원에서는 두메오리나무로 ..

자작나무과 2024.05.18

사방오리(2)

오리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4075 사방오리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3 사방오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65 사방오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924 오리나무속 종 검색표[물오리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09042 학명 : Alnus firma Siebold & Zucc. 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 사진 : 2023.10.29 인천 용유도 국생지 분포 일본 고유종; 한반도 남부에 널리 식재 생육환경 내한성이 약해서 중부 내륙지방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며 양수로서 내음성이 약하다. ..

자작나무과 2023.11.07

개암나무(2)

개암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656개암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950개암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1908 학명 :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 사진: 2023.10.13 파주 진동 하포리 아래 : 2025.05.07 상계동 동막골 소지와 엽병에 거센 털(선모)이 밀생 아래 : 2025.05.27 도봉산 회룡사 소지와 엽병에 거센 털(선모)이 밀생 포스팅 생략 : 2025.05.26 호평동 천마산 국생지 분포시베리아, 극동러시아, 중국, ..

자작나무과 2023.11.04

물개암나무(2)

물개암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487 물개암나무(1) (물개암나무와 참개암나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8026 참개암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12 병물개암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18 학명 : Corylus sieboldiana Blume var. mandshurica (Maxim.) C.K.Schneid. 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 사진 : 2023.07.31 양구 물개암나무는 총포 선단이 밖으로 좀 벌어지고 참개암나무는 총포 선단이 안으로 오므라든다 물개암나무는 잎 선단에 결각이 있다. 참개암나무는 잎 선단의..

자작나무과 2023.08.24

물박달나무(2)

물박달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096물박달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652물박달나무 겨울눈https://daehyo49.tistory.com/7811967   학명: Betula davurica Pall.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학명 풀이:Betula: 자작나무davurica : from Dauria, a mountainous region that lies within eastern China and Siberia  사진 : 2023.04.09 한택수목원  신엽이 나올 때의 모습       아래 : 2024.04.19 파주 진동 서곡리        아래 : 2024.05.02 가평 용수동    잎은 난형 또는..

자작나무과 2023.05.03

자작나무(1)(자작나무속 종 검색표)

자작나무(1)(자작나무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5075 자작나무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09136 학명 : Betula pendula Roth 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 사진 : 2023.04.06 푸른수목원 아래 : 2023.10.05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국생지 형태 낙엽 활엽 교목. 분포 일본, 중국, 동부 러시아; 평안북도, 함경남북도. 생육환경 200~2,100m의 산화적지 사태폭 크기 높이 25m, 지름 90cm. 잎 잎은 어긋나기이고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길이 5 ~ 7cm, 나비 4 ~ 6cm이고 첨두 예저 또는 심장저, 치아상 단거치 또는 겹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없으며 지점이 있..

자작나무과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