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111

참오동나무 (2)

참오동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491 학명 :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APG Ⅳ) 오동나무과 (Paulowniaceae) 사진 : 2025.05.14 남양주 흥국사 국생지 형태높이는 15m 정도이다. 나무 껍질을 백동피(白桐被)라 한다. 가지는 굵고 퍼지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3~5개로 약간 갈라지며 점첨두, 심장저이며 길이는 15~30㎝(때로는 50㎝)로, 표면에 털이 밀생하고 뒷면에 대가 있는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 8~20㎝로 잔털이 있다. 꽃은 5월 중순 개화하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

현삼과 2025.06.20

애기금어초 두 종

* 금어초와 애기금어초는 같은 현삼과지만 속이 다르다  금어초https://daehyo49.tistory.com/7812963애기금어초 두 종https://daehyo49.tistory.com/7816649  우리나라 인터넷에 '애기금어초'로 올라와 있는 것은 Linaria maroccana와 Linaria  bipartita 두 종이다. 두 종이 분류 관점에서 어떻게 다른지는 본 블로거로는 알 수 없다. 국표식에는 Linaria bipartita가 '애기금어초'로 등록되어 있고 Linaria maroccana 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둘 다 모로코원산이다.     1) 학명 : Linaria maroccana Hook.f.분류 : 현삼과(Scrophulariaceae)/(신) 질경이과(Plantagin..

현삼과 2025.03.23

송이풀(2)

송이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589(마주)송이풀(1)(송이풀속 Pediculais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870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L.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APG Ⅳ) 열당과 (Orobanchaceae)일어명 : シオガマギク   사진 :  2024.08.24 만항재      국생지 분포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전국에 분포한다.생육환경심산지역의 숲속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30-60cm정도로 자란다.잎잎은 어긋나기하지만 밑부분의 잎은 마주나기하기도 하고 엽병은 짧으며 좁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

현삼과 2025.03.05

진흙풀

학명 : Microcarpaea minima (J.Koenig ex Retz.) Merr.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APG Ⅳ) 파리풀과 (Phyrmaceae)일어명 : スズメノハコベ (雀の繁縷)중국어명 : 小果草  참고 사이트https://mikawanoyasou.org/data/suzumenohakobe.htmhttp://plants.minibird.jp/hydrophytes/plants/shissei/sa_gyou/suzumenoHakobe/suzumenoHakobe.htmlhttps://matsue-hana.com/hana/suzumenohakobe.html 사진 : 2024.08.26 서귀포 성산 삼달리   꽃이 피어 있는 것과 열매 상태인 것이 함께 보인다     국..

현삼과 2025.02.15

절국대(2)

절국대(2)https://daehyo49.tistory.com/7816528절국대(1)https://daehyo49.tistory.com/7809597 학명 : Siphonostegia chinensis Benth.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APG Ⅳ) 열당과 (Orobanchaceae)일어명 : ヒキヨモギ(引蓬)중국어명 : 阴行草   사진 : 2026.08.26 제주 흐린내생태공원    국생지 분포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생육환경산비탈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생육형반기생 일년초.크기높이가 30-60cm정도로 자란다.잎잎은 줄기 중하부에서도 마주나기하지만 윗부분에서는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짧거나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고 윗부분의 것은 길이 2-3.5cm로서 3개로 갈..

현삼과 2025.02.15

해란초(2)

해란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6396해란초(1)https://daehyo49.tistory.com/7808682  학명 : Linaria japonica Miq.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일어명 : ウンラン(海蘭)중국어명 : 海滨柳穿鱼  사진 : 2024.10.03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동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분포하고, 북반구의 해안에 널리 분포한다.생육환경햇볕이 잘 들고 배수성이 좋은 사질토양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15-40cm 정도이다.잎잎은 길이 1.5-3cm, 나비 0.5-1.5cm로 피침형이며 엽병은 없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뚜렷하지 않은 3맥이 있으며 마주나기하거나 3-4개가 돌려나기하지만 윗부..

현삼과 2024.11.12

섬현삼(3)(섬현삼과 개현삼의 분류)

섬현삼(3)(섬현삼과 개현삼의 분류)https://daehyo49.tistory.com/7816314섬현삼(2)https://daehyo49.tistory.com/7810055섬현삼(1)(현삼 종류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479  학명 :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일어명 : タケシマタケシマヒナノウスツホ   사진 : 2024.07.23  세종식물원    줄기에 4릉이 보인다  날개로도 볼 수 있다    잎자루에도 날개가 보인다     현삼 속 식물 검색하기 (출처: 송홍선 박사 교육 자료)1. 잎은 털이 없고, 두꺼우며, 광택이 있다.   꽃은 흑자색이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2...

현삼과 2024.09.23

섬꼬리풀(4)

섬꼬리풀(4)https://daehyo49.tistory.com/7816234섬꼬리풀(3)https://daehyo49.tistory.com/7810053섬꼬리풀(2)https://daehyo49.tistory.com/7807538섬꼬리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7384큰산꼬리풀(1)(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11146[Pseudolysimachion 종 검색표와 비교표] 학명 : Pseudolysimachion nakaianum (Ohwi) T.Yamaz.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사진 : 2024.06.19 물향기수목원 아래 : 2025.05.16 물향기수목원 화관이 중열하는 ..

현삼과 2024.07.18

구와꼬리풀(2)(추정)

구와꼬리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09659 학명 : Pseudolysimachion dauricum (Steven) Holub. 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APG Ⅳ) 질경이과 (Plantaginaceae) 사진 : 2024.03.29 물향기수목원 국생지 분포 전국 각처 산지에 분포한다. 생육환경 산지의 풀밭에 난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50cm에 달한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커지고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18~25mm, 폭 15~22mm로서 가장 크고 우상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톱니가 약간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원저 또는 예저이고 엽병은 길이 13mm 정도이지만 윗..

현삼과 2024.04.07

긴산꼬리풀(추정)(2)

긴산꼬리풀(추정)(2)https://daehyo49.tistory.com/7815633긴산꼬리풀(추정)(1)https://daehyo49.tistory.com/7813145긴산꼬리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1149긴산꼬리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8046긴산꼬리풀(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0915큰산꼬리풀(1)(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11146[Pseudolysimachion 종 검색표와 비교표]   학명 : Pseudolysimachion longifolium (L.) Opiz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 (APG) 질경이과 (P..

현삼과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