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과

덤불오리나무(2)

대효0617 2024. 5. 18. 04:14

덤불오리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6136

덤불오리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1117

물오리나무(1)[오리나무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042

 

학명 :

(국생지 새 학명) Alnus alnobetula (Ehrh.) K.Koch subsp. fruticosa (Rupr.) Raus

(국생지 이전 학명) Alnus mandshurica (Callier) Hand.-Mazz.

(한국의나무) Alnus alnobetula (Ehrh.) K. Koch subsp.mandschurica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사진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수목원에서는 두메오리나무로 표찰을 달았지만 두메오리나무는 덤불오리나무에 통합되었다고 한다. <한국의나무>에서는  이 두 종의 엽형이 다른 것으로 설명하나 일본 인터넷사이트에서 두메오리나무 사진을 찾아보면 덤불오리나무와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국생지

분포

중국과 일본, 캄차카반도에도 분포한다.

중부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생육환경

고산지대 습원에서 자란다. 내한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다소 내건성도 있다. 음지나 양지에서 모두 잘 자란다.

생육형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 5m에 이른다.

잎은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긴 달걀모양이고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선형(腺形)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지점(脂點)이 많고 맥()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2.5cm이고 측맥은 10-12쌍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6월에 핀다. 웅화수(雄花穗)1-2개씩 달리고 길이 4-8cm로 밑으로 처지며 자화수(雌花穗)는 타원형이고 길이 1-1.5cm이다.

열매

과수는 길이 1.5이하로 타원형이고 대는 길이 1.5-2.0이다. 열매는 길이 2mm로서 타원상 달걀모양이고 날개는 열매의 폭보다 좁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가 5m에 달하며 줄기가 곧고 수관이 좁으며, 나무껍질은 암록색인데 흰 가로선이 있다.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보호방안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유사종

털만주오리나무(for. pubescens T. Lee) : 잎 뒷면에 연갈색 털이 있다.

붉은털만주오리나무(for. rufinervis T. Lee): 잎 뒷면 맥위에 잔털이 있다.

함북오리나무(for. barbinervis Nak.): 잎 뒷면 맥위에 선 털이 있고 과수가 많이 달리며 잎이 작다.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두메오리나무

학명 : Alnus maximowiczii Callier ex C. K. Schneid.

분류 : 자작나무과(Betulaceae)

[원기재명]

Alnus viridis subsp. maximowiczii H. Ohba

synonym :

Alnus alnobetula subsp. maximowiczii (Callier) Chery

Duschekia maximowiczii (Callier) Pouzar

일어명 : ミヤマハンノキ(深山榛木)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설명

 

높은 산 계곡이나 하천 유역에 나는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줄기는 높이 5~10, 지름 30cm로 곧게 자란다. 나무의 껍질은 회갈색인데 갈라지며 소지는 밝은 갈색인데 피목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털이 없고 길이 7~10cm, 4~7cm인 심장형, 난형이다. 잎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아래는 심장형이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윤기가 있으며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점성이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2~3.5cm이고 털이 없다. 측맥은 10~12쌍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4~6월에 피는데 수꽃 이삭은 드리운다. 열매는 소견과의 타원형으로 길이 1.5~2cm. 한반도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 분포한다.

 

일본 인터넷 사이트 두메오리나무 사진

http://www1.ous.ac.jp/garden/hada/plantsdic/angiospermae/dicotyledoneae/choripetalae/betulaceae/miyamahannoki/miyamahannoki.htm

http://www.forest-akita.jp/data/2017-jumoku/143-miyama/miyama.html

https://www.jugemusha.com/jumoku-zz-miyamahannoki.htm

https://sub-arboretum.ssl-lolipop.jp/arb-apg/buna_moku/kabanoki_ka/hannoki_zoku/miyamahannoki/index.html

'자작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수나무(2)  (0) 2024.05.18
사방오리(2)  (0) 2023.11.07
개암나무(2)  (0) 2023.11.04
물개암나무(2)  (0) 2023.08.24
물박달나무(2)  (0)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