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꽃과

왜졸방제비꽃(참졸방제비꽃)

대효0617 2024. 5. 22. 00:12

 

 

왜졸방제비꽃(참졸방제비꽃)

https://daehyo49.tistory.com/7816146

큰졸방제비꽃 (1)(졸방제비꽃 종류들 검색표/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010

 

* 유기억의 <한반도제비꽃>에서는 왜졸방제바꽃은 졸방제비꽃처럼 '암술대 상부 후방에 돌기모가 있고 꽃잎 측판에 털이 있다'로 되어 있으며 참졸방제비꽃은 '암술대에 돌기모가 없고 꽃잎 측판에 철이 없다'로 하고 있어 두 종을 구분하나  요즘은  참졸방제비꽃은 왜졸방제비꽃에 통합하여 보는 것으로 보인다 

 

학명 : Viola sacchalinensis H.Boissieu/(참졸방제비꽃 학명  Viola koraiensis Nakai)

분류 : 제비꽃과 (Violaceae)

일어명 : アイヌタチツボスミレアイヌ立坪菫

 

 

참조 사이트

http://futarinoyakata.my.coocan.jp/ainutachitsubosumire.htm

 

사진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국생지

 

분포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함경남도 부전 고원 및 갑산에서 자란다.

생육환경

침엽림 또는 사스래피림과 고산대.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개화기의 키는 2-5cm, 결실기의 키는 10-25cm 정도이다.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신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3-4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엽신보다 2-3배 길고 줄기잎은 엽병이 짧으며 탁엽이 중열(中裂)한다.

꽃은 5월에 피고 액생하며 연한 자주색이고 꽃받침조각은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끝이 날카롭고 부속체는 반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길이 10-15mm이고 측판에 털이 있으며 거()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4-6mm이다.

열매

삭과는 원줄기 윗부분의 화경이 짧은 닫힌꽃에서 맺히며 난상 타원형이다. 6~7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2-5cm이며 원줄기는 근두에 몇 개씩 나서 비스듬히 서며 과시(果時)에는 높이 10-25cm이고 마르면 갈색점이 생긴다.

'제비꽃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욱제비꽃(2)  (0) 2024.04.28
낚시제비꽃(2)  (0) 2024.04.24
잔털제비꽃(제비꽃속 종 검색표)  (0) 2024.04.14
남산제비꽃(3)  (0) 2024.04.11
완산제비꽃  (0)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