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과

꼬랑사초(4)

대효0617 2024. 5. 31. 21:20

 

꼬랑사초(4)

https://daehyo49.tistory.com/7816161

꼬랑사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2011

꼬랑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0385

꼬랑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0374

그늘사초절 Digitatae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346

 

참조 사이트

http://www.aikis.or.jp/~keisotyo/heya/sawahmzg.htm

http://eflora.kr/Carex/3814

 

 

 

학명 : Carex mira Kük.

분류 :  사초과 (Cyperaceae)/ Carex/Sect. Clandestinae(그늘사초절)

일어명 : サワヒメスゲ

국명  이명 : 감둥사초

* 감둥사초는 학명이 따로 있다. Carex  atrata로 북부지방에 잘란다,

 

사진 : 2024.04.21 광릉수목원

 

참조 사이트

http://www.aikis.or.jp/~keisotyo/heya/sawahmzg.htm

http://eflora.kr/Carex/3814

 

 

 

 

 

 

 

 

 

 

 

 

 

국생지

 

형태

다년생이다. 빽빽하게 총생하고, 근경은 짧다. 줄기는 높이는 20-40cm이고, 단면은 삼릉형이며, 까끌거린다. 잎은 선형이고, 너비는 약 2mm이며, 약간 유모가 있다. 기부의 엽초는 적갈색이다. 포엽은 가장 아래쪽 포엽은 가시모양이고, 소수보다 길며, 엽초는 없다. 위쪽의 포엽은 인편모양이다. 소수는 2-4, 줄기 위쪽에 모여 달린다. 정소수는 웅성이고, 곤봉모양이며, 길이는 10-20mm, 밤색으로 짧은 소수자루가 있다. 측소수는 자성이고, 원통형이며, 길이는 5-10mm, 소수자루가 없다. 웅인편은 짙은 자색이고, 길이는 약 4mm이며, 예첨두이다. 자인편은 짙은 자색이고, 난형이며, 길이는 약 5mm, 예첨두 또는 짧은 까락이 있다. 과포는 자인편보다 길이가 길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는 3-3.5mm이다. 단면은 눌린 삼릉형이고, 분명한 맥이 없으며, 유모가 있다. 위쪽은 점진적으로 좁아져서 짧은 부리가 되고, 구부는 짧게 가위모양이다. 수과는 타원형이고, 길이는 1.5-2mm이다.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분포

한국(강원, 충북, 경북, 전남), 일본

비고

부산사초(C. fusanensis)와 근연종이나 부산사초는 엽설이 있고, 과포에 뚜렷한 맥이 있는데 비해 꼬랑사초는 엽초가 없으며, 과포에 맥이 없어 구분된다.

참고문헌

한국식물 도해도감4 사초과(2016)

'사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사초(3)  (0) 2024.06.15
나래사초(2)  (0) 2024.05.19
동강고랭이(2)  (0) 2024.05.18
Carex oshimensis 'Evergold'  (0) 2024.05.16
Carex umbrosa 추정  (0)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