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과

밀사초(3)

대효0617 2024. 6. 15. 09:30

 

밀사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6176

밀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3490

밀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0057

 

학명 : (국생지) Carex boottiana Hook. & Arn.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Carex wahuensis subsp. robusta (Franch. & Sav.) T. Koyama

분류 :사초과 (Cyperaceae)/Sect. Rhomboidales

일어명 : ヒゲスゲ

 

참조 사이트

https://koma33.web.fc2.com/higesuge.html

https://ja.wikipedia.org/wiki/%E3%83%92%E3%82%B2%E3%82%B9%E3%82%B2

 

 

 

사진 : 2024.04.26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

한국(경기, 충남, 경북, 경남, 전남, 제주), 중국, 일본, 태국

형태

다년생. 식물체는 조밀하게 모여나고, 굵은 근경이 있다. 줄기 높이 20-100cm이고, 단면은 삼릉형이다. 잎 줄기보다 길이가 길고, 엽신은 넓은 선형, 너비는 3-12 mm이며, 가죽질이다. 기부의 엽초 암갈색이고, 섬유모양으로 세열한다. 포엽 아래쪽 포엽은 긴 엽초가 있고, 엽신은 잎모양이다. 위쪽 포엽은 엽초가 짧고, 엽신은 가시모양이다. 화서 정소수는 웅성이고, 곤봉모양 혹은 거의 원주형으로 길이 3-7mm이다. 측소수는 보통 자성이나 가끔 웅성화가 소수의 절반 정도까지 붙는 웅자성인 경우도 있고, 길이 3-7mm에 꽃이 조밀하게 달린다. 웅인편 갈색에서 암갈색이고, 가장자리는 깔깔하다. 자인편 갈색에서 짙은 갈색이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막질에 곧은 까락이 있다. 과포 자인편과 길이가 같고, 비스듬히 벌어지며, 난상 구형이다. 단면은 부푼 삼릉형이고, 길이 5-6mm이며, 무모이다. 끝에 달리는 부리는 곧고, 짧다. 부리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고, 구부는 가위모양이며, 구부러진다. 수과 조밀하게 들어있고, 넓은 도란형이고, 단면은 삼릉형이다. 암술 암술대 기부는 두꺼워지고,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진다.

노트

갯보리사초(C. laticeps)에 비해 근경이 거의 없고, 과포의 부리가 짧다. 무모이고, 총생하며, 해안의 바위틈이나 길가 및 숲 가장자리에 큰 포기로 자란다. 연구자에 따라 C. wahuensis subsp. robusta (Franch. & Sav.) T.Koyama를 정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출처

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밀사초 특징 정리

 

 

1. 하부총포엽은 긴 엽초가 있으며 받치고 있는 소수보다는 길지만 전체 화서보다는 짧다,

상부 총포엽은 강모형이다

2. 정소수는 웅성

3. 측소수는 자성이지만 흔히 윗부분이 웅성, 아햇부분이 자성이 된다.

4. 측소수에서 윗부분 소수는 몰려 있고 아랫 부분 소수들은 떨어져 있다.

5. 과낭은 난상 구형이며 자인편의 길이는 과낭 길이와 거의 같고 까락이 길게 뻗어 있다.

6. 수과는 과낭을 가득 채우며 도란형으로 능각의 중앙 부분이 좀 파인다

7.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

아래는 퍼온 사진

 

 

 

 

 

 

 

출처 

https://koma33.web.fc2.com/higesuge.html

https://ja.wikipedia.org/wiki/%E3%83%92%E3%82%B2%E3%82%B9%E3%82%B2

 

'사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랑사초(4)  (0) 2024.05.31
나래사초(2)  (0) 2024.05.19
동강고랭이(2)  (0) 2024.05.18
Carex oshimensis 'Evergold'  (0) 2024.05.16
Carex umbrosa 추정  (0)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