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형과

참나물

대효0617 2024. 6. 21. 04:25

한라참나물(참나물속 Pimpinell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698

참나물

https://daehyo49.tistory.com/7816187

노루참나물

https://daehyo49.tistory.com/7812892

그늘참나물

https://daehyo49.tistory.com/7808741

큰참나물

https://daehyo49.tistory.com/7816189

 

 

학명: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분류: 산형과

Pimpinella: From a word meaning bi-pinnate

brachycarpa: 그리스어 brachy ‘short’ karpos ‘fruit’

 

 

사진 올린 날: 2011.10.06

 

 

 

 

 

 

 

 

 

 

 

아래 사진: 2012.10.01 고대산

 

 

 

 

 

 

 

 

 

아래: 2020.0918 용평 스카이밸리

 

 

 

아래 : 2021.09.03 광릉수목원

 

총포는 없다(드물게 1-3개); 소산경은 7-15개; 소총포는 선형이고 2-5개; 소산경에는 15-20개의 꽃이 달린다

 

 

참나물 이름이 붙은 종들:

가는참나물 Pimpinella koreana (Yabe) Nakai

그늘참나물 Pimpinella brachycarpa var. uchiyamana (Yabe) C.G.Jang

노루참나물 (이명:가령참나물) Pimpinella gustavohegiana Koidz.

참나물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한라참나물 Pimpinella hallaisanensis (W.T.Lee & C.G.Jang) C.G.Jang

 

속리참나물 Tilingia nakaiana Kitag.

큰참나물 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 C.Y.Yoon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Hassk.

 

<국생정> 설명:

엽병은 근생엽의 것은 길며 경생엽의 것은 위로 가면서 짧아지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얼싸안는다. 잎은 3개씩 달리는 3출엽이며 소엽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 또는 원저로서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열매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 2-3mm, 폭 1.5-2mm이고 털이 없다.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소산경은 10개 정도로서 각 13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총포는 없으며 소총포는 1-2개이고 꽃받침은 뚜렷하며 삼각형으로서 꽃잎 및 수술과 더불어 각 5개이다.

줄기

높이 50-80cm이고 줄기는 밑으로부터 가지를 쳐서 총생상태를 이루며 잎과 더불어 전체에 털이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유럽 등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자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50-80cm로 자란다.

 

생육환경

 

유사종

▶파드득나물(Cryptotaenia japonica Hassk)

산지의 숲그늘에 자라는 다년초이다. 소엽의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가는참나물(Pimpinella koreana Nakai)

깊은 산의 낙엽 활엽수림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FOC

 

Pimpinella brachycarpa (Komarov) Nakai, J. Coll. Sci. Imp. Univ. Tokyo. 26(1): 261. 1909.

短果茴芹 duan guo hui qin

(학명 이명)

Pimpinella calycina Maximowicz var. brachycarpa Komarov,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145. 1905; Aegopodium brachycarpum (Komarov) Schischkin; Spuriopimpinella brachycarpa (Komarov) Kitagawa.

(설명)

Plants perennial, 7085 cm, essentially glabrous. Root fibrous. Stem 23-branched. Basal petioles 610 cm; blade ternate, rarely 2-ternate; leaflets pubescent on veins, margins coarsely serrate; lateral leaflets ovate, 38 × 46.5 cm; terminal leaflets broad-ovate, 58 × 46 cm. Cauline leaves similar to basal, sessile, 3-lobed, lobes lanceolate. Umbels 36 cm across; bracts absent, rarely 13, linear, 512 mm; rays 715, 24 cm; bracteoles 25, linear, 25 mm, shorter than pedicels; umbellules ca. 10 mm across, 1520-flowered, polygamous; pedicels 24 mm. Calyx teeth conspicuous, lanceolate, ca. 0.3 mm. Petals white, obcordate, apex with small incurved lobule. Stylopodium conic; styles 23 × stylopodium. Fruit ovoid, ca. 2 × 1.8 mm, base cordate, surface glabrous; vittae 23 in each furrow, 6 on commissure. Seed face plane. Fl. JunJul, fr. AugSep.

(생육지와 분포)

Forest margins, river banks; 500900 m. Guizhou, Hebei, Jilin, Liaoning, Shanxi [N Korea, SE Russia].

 

 

 

 

 

 

 

 

 

 

'산형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참나물  (0) 2024.06.23
대마참나물  (0) 2024.06.21
삼수구릿대(Angelica 검색표)  (0) 2024.05.22
사동미나리(?)  (1) 2024.04.28
갯사상자(천궁속Cnidium 종 검색표)  (1) 202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