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형과

노루참나물

대효0617 2020. 12. 4. 16:59

한라참나물(참나물속 Pimpinell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698

 

학명 : Pimpinella komarovii (Kitag.) R.H.Shan & F.T.Pu

(WFO) Spuriopimpinella komarovii Kitag.

분류 : 산형과(Apiaceae)

 

사진 : 2020.08.21 제주도

 

 

2회3출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노루참나물은 2회3출엽으로 설명하나 FOC에서는 경생엽은 2-3회3출엽으로 설명한다

 

Pimpinella komarovii (Kitagawa) R. H. Shan & F. T. Pu in R. H. Shan & M. L. Sheh, Fl. Reipubl. Popularis Sin. 55(2): 111. 1985.

辽冀茴芹 liao ji hui qin

Spuriopimpinella komarovii Kitagawa, J. Jap. Bot. 17: 560. 1941.

Plants perennial, ca. 1 m, pubescent. Root fusiform. Stem 3–4-branched. Basal petioles 7–20 cm; blade 1–3-ternate; ultimate segments ovate or ovate-lanceolate, 2–8 × 1–4 cm, abaxially glaucous, pubescent on veins. margins crenate or serrate, apex acuminate. Cauline leaves similar to basal, 2–3-ternate. Uppermost leaves 3-lobed, lobes lanceolate. Umbels 4–6 cm across; bracts absent; rays 9–15, 2–3.5 cm, unequal; bracteoles 1–3, linear, 5–10 cm, ca. equal to or shorter than pedicels; umbellules 8–12 mm across, 10–15-flowered; pedicels 5–15 mm. Calyx teeth conspicuous, lanceolate, 0.3–0.5 mm. Petals white, ovate or obovate, apex with incurved lobule. Stylopodium conic; styles 2–3 × stylopodium. Fruit cordate-ovoid, ca. 2 × 1.5–2 mm, glabrous; vittae 3 in each furrow, 4 on commissure. Seed face plane. Fl. and fr. Jun–Sep.

Grassy slopes, grassland along streams. Hebei, Heilongjiang, Liaoning [N Korea].

 

국생지 설명

 

분포

우리나라 북부, 제주도, 경기도, 함경남도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산지에 난다.

크기

높이 30~80cm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3.5cm, 1.5-3cm로서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밀생하고 끝부분의 잎은 3-5개의 소엽으로 되며 엽병이 없다.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며 겹우산모양꽃차례로서 산경은 10~15개이고 길이 2~3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총포와 작은 총포가 없고 꽃자루는 길이 5-8mm이다.

열매

열매는 분과로 좁은 달걀모양이며 길이 2.5-3mm로서 겉은 밋밋하고 털이 없다.

줄기

높이 3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백색털이 있다.

이용방안

소의 먹이

 

'산형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궁이(3)  (0) 2021.10.27
왜당귀  (0) 2021.07.15
기름나물 종류 표본 사진(서울대 분류학 강좌)  (0) 2020.03.09
바디나물(2)(추정)(Angelica/Ostericum 주요종 산형화서 구성 요소 개수)  (0) 2020.02.18
미나리  (0) 2020.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