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과

밀사초(1)(밀사초 유형의 분류)

대효0617 2013. 6. 12. 10:05

 

밀사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6176

밀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3490

밀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0057

 

학명: (지오북의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Carex wahuensis subsp. robusta (Franch & Sav. ) T, Koyama 

        (The Plant List) Carex boottiana Hook. et Arn. (일본사초과식물도보)

분류: 사초과(Cyperaceaee) / Carex / Sect. Rhomboidales (밀사초절)

*  밀사초 이름이 붙은 것 중 왕밀사초 Carex matsumurae와  가는밀사초 Carex toyoshimae는 Sect. Mitratae (청사초절)에 속한다. 

 

밀사초절과 청사초절은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밀사초절 Rhomboidales 청사초절 Mitratae
밀사초 C. wahuensis subsp. robusta 왕밀사초C. matsumurae

가는밀사초    C. toyoshimae
과낭은 혁질(Coriaceous) ; 5-8mm 과낭은 막질, 5mm 이하

 

 

일어명:  ヒゲスゲ,  イソスゲ

 중국어명 : 健壮薹草

 

학명 이명: 여러 가지 학명이 있고 어떤 것이 정명이고 , 어떤 것이 이명인지 혼란스럽다.

 

               아래 것은 모두 일본에서 쓴 학명 들이다.               

 

                Carex wahuensis C. A. Meyer subsp. robsuta (Franchet & Savatier) T. Koyama

 

                Carex wahuensis var. bongardii

 

                Carex oahuensis var. robusta

 

 

 

 

 

아래  The Plant List에서

 

Name Status

Confi­dence

level

Source Date supplied
Carex wahuensis
C.A.Mey.
Accepted H WCSP
Carex wahuensis
var. meyeri Franch. & Sav.
Synonym L WCSP
Carex wahuensis
subsp. robusta
(Franch. & Sav.) T.Koyama
Synonym L WCSP
Carex wahuensis
var. robusta Franch. & Sav.
Synonym L WCSP
Carex wahuensis
var. rubiginosa R.W.Krauss
Synonym L WCSP
Carex wahuensis
subsp. rubiginosa
(R.W.Krauss) T.Koyama
Accepted L WCSP
Carex wahuensis
subsp. wahuensis
Synonym L WCSP

 

 

 

 

 

 * 밀사초의 학명을 우리나라 일부 사이트와 모 도감에서 Carex livida (Wahlenb.) Willd.로 쓰고 있는데 <국표식>과 하늘지기님 사이트에서는 이것에 '동백사초'라는 국명을 부여하고 있다. 하늘지기님은 동백사초를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소개한다. . 

 

동백사초

북부지방 습지에 자란다. 뿌리는 기며 측소수에 꽃이 성글게 달리고 과포에 털과 맥이 없다. 태택사초와 실이삭사초에 비하여 측소수가 늘어지지 않는다.

 

  

 

 

 

사진: 2013.05.18 울릉도

 

 

 

 

 

 

 

 

 

 

 

아래 사진: 2014.2.23  여수 금오도

 

 

 

 

 

 

 

 

 

 

 

 

 

 

 

 

 아래: 2016.05.04 서귀포

 

 

 

 

 

 

 

 

 

 

 

 

 

 

 

 

 

 

 

소수 부분 확대

 

 

 

 

 

 

 

 

 

 

 

 

 

 

 

 

 

 

 

 

 

 


 

 

아래: 2016.05.04 서귀포 새섬

 

 

 

 

 

 

 

 

 

 

 

 

 

 

 

 

 

아래: 2018.02.06 광릉수목원

 

 

 

 

 

 

 

 

 

 

 

 

 

 

아래 : 2023.01.27 서울식물원

 

 

 

 

 

 

 

 

 

 

 

 

 

 

소수 부분 퍼온 세밀화

 

 

 

세밀화 출처: 日本カヤツリグサ科植物図譜, 星野卓正木智美 ()

 

 

 

밀사초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1. 하부총포엽은 긴 엽초가 있으며 받치고 있는 소수보다는 길지만 전체 화서보다는 짧다,

   상부 총포엽은 강모형이다

2. 정소수는 웅성

3. 측소수는 자성이지만 흔히 윗부분이 웅성, 아햇부분이 자성이 된다.

4. 측소수에서  윗부분 소수는 몰려 있고 아랫 부분 소수들은 떨어져 있다.

5. 과낭은 난상 구형이며 자인편의 길이는 과낭 길이와 거의 같고 까락이 길게 뻗어 있다.

6. 수과는 과낭을 가득 채우며 도란형으로 능각의 중앙 부분이 좀 파인다

7.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FOC 설명

Carex wahuensis C. A. Meyer subsp. robusta (Franchet & Savatier) T. Koyama, Fl. Taiwan 5: 326. 1978.

健壮薹草 jian zhuang tai cao   

(이명)

Carex bongardii Boott var. robusta Franchet & Savatier, Enum. Pl. Jap. 2: 561. 1878;

C. bongardii Boott; C. boottiana Hooker & Arnott; C. reflexistyla Hayata; C. wahuensis var. robusta (Franchet & Savatier) Franchet & Savatier.

(설명)

Densely tufted with thick rhizomes; rhizome oblique, clothed with dusty brown fibers. Culms 1 or few to a clump, erect or obliquely ascending, 20100 cm tall, 12 mm thick, trigonous, rigid, scabrous on upper angles. Leaves surpassing culm, blades broadly linear, 312 mm wide, flattish, leathery, stiff, sheaths rather short, pale with brown or purple-brown veins, eventually disintegrating into dusty brown parallel fibers. Lower involucral bracts long sheathing, blades leaflike, much surpassing subtending spike but shorter than inflorescence, upper involucral bracts shortly sheathing with short setaceous blade. Spikes 36, upper 2 or 3 approximate, remaining spikes distant, or all distant; terminal spike male, narrowly clavate or subcylindric, 37 × 36 mm; lateral spikes usually female, occasionally becoming androgynous with male part up to 1/2 length of spike, 26 × 0.60.8 mm, densely many flowered, with erect peduncles. Female glumes pale or slightly rusty brown, ovate or lanceolate-ovate, 45 mm, membranous, margins white hyaline, light green 3-veined costa excurrent into a ± straight awn to ca. 5 mm, apex obtuse or shallowly emarginate. Utricles equaling glume, patent, ovate-globose, swollen trigonous, 56 mm, herbaceous, glabrous, many veined, contracted at both ends, apical beak erect, spinulose margined, orifice deeply 2-lobed, with sharp curved teeth 12 mm. Nutlets rather tightly enveloped, broadly obovoid, trigonous with angles shallowly constricted at middle, crowned with a beak subannulate at base; style base enlarged; stigmas 3, elongate, ± persistent.

Seacoasts, in stable sands and among rocks.

Hong Kong, Taiwan [Japan (including Bonin Islands and Ryukyu Islands), Korea].

Carex wahuensis subsp. wahuensis occurs in the Pacific islands (Hawaiian Islands).

  

 

 

<국생정> 설명

잎은 단단하며 가죽질이고 광택이 나며 나비 5-10mm로서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뒤로 젖혀지고 거칠거칠하다. 엽초는 반짝이는 갈색이고 줄이 있어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열매

과포는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길며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고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5-6mm로 연한 황갈색 또는 연한 녹갈색이고 맥이 많으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대로 되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긴 부리로 되며 끝이 깊게 갈라진다. 수과는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3mm로서 능선 중앙부에 들어간 곳이 있으며 꼬부라진 부리가 있다.

작은이삭은 3-6개이고 웅화수(雄花穗)는 끝에 달리며 원주형이고 길이 3-6cm, 지름 2.5-6cm로서 흑갈색이며 대가 짧고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짧은 원주형이고 길이 2-6cm, 지름 8mm정도로서 끝 부근에 수꽃이 약간 달리며 곧추선다. 밑부분의 포는 잎같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자화영(雌花穎)은 좁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까락을 제외한 길이가 4-5mm로서 3맥이 있으며 요두이고 깔깔한 까락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높이 30-40cm이고 짧은 근경에서 모여나기한다. 원줄기는 세모가 지며 깔깔하다.

원산지

한국

분포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는 30-40㎝

 

생육환경

▶바닷가 모래땅의 바위틈에 군생한다.

결실기

8월, 9월

이용방안

▶바닷가의 사방 공사용으로 쓰인다.

 

밀사초 참조 사이트  

http://had0.big.ous.ac.jp/plantsdic/angiospermae/monocotyledoneae/cyperaceae/higesuge/higesuge.htm

http://sigesplants.chicappa.jp/Carex_wahuensis_var._bongardii.html

http://sigesplants.chicappa.jp/Carex_wahuensis_var._bongardii.html

http://www.yam1.thyme.jp/folder2/3_step/3h/higesuge.html

 

 

왕밀사초 Carex matsumurae Franch.라는 것이 있는데 울릉도, 제주도의 해변가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고 한다

 

왕밀사초 참조 사이트

http://mikawanoyasou.org/data/kinokunisuge.htm

http://www.ramble-among-flora-of-miyazaki.com/sub84-69.html

 


밀사초 유형들

 

 

 

 

 

 

선화 출처: 정종덕, 사초과식물의 이해와 분류, 2014 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 워크숍 교재

 

 

 

밀사초 유형(Rhomboidales) 분류

 

A. FOC 검색 키 재편집

 

1. 수과는 능각 중앙 부분이 파이지 않은 삼릉형

   2. 과낭에 강모

       ........................           C. longerostrata 실피사초 뷴류군들

   2. 과낭 무모 

      ,,,,,,,,,,,,,,,,,,,,,,,,,,,,,,      C. xiphium 넓은잎피사초

 

 

1. 수과는 능각 중앙 부분이 파인 삼릉형

  3. 줄기, , 총포엽, 자인편, 과낭 모두에 연모, 능각 중앙은 뚜렷하게 파임  

      ........................            C. laticeps 갯보리사초

  3. 줄기, , 총포엽, 자인편, 과낭 모두에 무모, 능각 중앙은 얕게 파임   

     .....................                C. wahuensis 밀사초

 

 

 

 B. 오용자.김지현

 

1. 줄기가 둥글고 자인편이 대부분 투명하며 수과는 중앙부가 압축된다

   ..................................................         C. laticeps 갯보리사초

 

1. 줄기가 세모지고 자인편이 적갈색이거나 황갈색이며, 수과는 중앙부가 압축되지 않는다

   2. 과낭 기저 부분이 길고 , 표면에 털이 드물게 있거나 없다

     3. 잎은 부드럽고 , 소수는 2-3개로  웅소수는 15mm 이하, 수꽃 인편은 4mm 이하,

        과낭 표면에 털이 드물게 있다

        ..................................           C longirostrata var. pallida   피사초

    3. 잎은 두껍고, 소수는 3-6개, 웅소수는 20mm 이상, 수꽃 인편은 8mm 이상,

       과낭 표면은 무모

        ...................................................   C. wahuensis 밀사초

  2. 과낭 기저 부분이 잘록하고 표면에 많은 털이 있다

     .....................................................   C. xiphium 넓은잎피사초

 

 

 한국식물분류학회지 Sep. 2002, Kor. J. Plant Tax. Vo. 32, No. 3

  

 

 

'사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비늘사초  (0) 2013.06.27
나도별사초(1)  (0) 2013.06.20
대사초  (0) 2013.03.23
물방동사니(1)  (0) 2013.01.09
쇠방동사니(1)(쇠방동사니와 드렁방동사니 비교)  (0) 201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