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풀 종류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11231
비녀골풀, 눈비녀골풀, 청비녀골풀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10561
학명: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분류: 골풀과(Juncaceae)
학명 풀이:
Juncus: 골풀속
effusus: loose
decipiens: Deceptive, false
<국생정> 설명:
잎
줄기 밑부분에는 엽초*가 퇴화되어 길이 10-20cm정도 크기로 비늘 모양으로 붙어 있다.
(<국생정> 기재문에는 엽포로 되어 있으나 엽초의 오기로 판단되어 정정하였다)
열매
삭과는 난형이거나 도란형이며 길이 2-3mm로서 갈색이 돌고 3실이며 종자는 길이 0.5mm정도이다.
꽃
화서는 원줄기 끝의 측편으로 달리고 첫째 포는 원줄기에 연속해서 길이 10-20cm정도 자라므로 줄기의 끝부분처럼 보인다. 꽃은 1개씩 달리며 녹갈색이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길이 2-3mm로서 피침형이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과 수술대는 길이가 서로 비슷하고 각각 화피 길이의 2/3정도이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 25-100cm, 1.5-4mm로서 원주형이며 마디가 없고 뚜렷하지 않은 종선이 있다.
뿌리
근경은 옆으로 뻗고 짧으며 마디사이가 짧고 수염뿌리가 많이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경식물이다.
크기
높이 25-100cm
민간 이용 :
▶원줄기로 돗자리를 만든다.
▶莖髓(경수) 또는 全草는 燈心草(등심초), 根 및 根莖은 燈心草根(등심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燈心草
①莖髓(경수) 및 전초를 8-9월경에 베어서 그대로 햇볕에 말린다. 또는 莖皮(경피)를 세로로 째서 표피는 버리고 髓(수)를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莖髓(경수)는 섬유, 지방유, 단백질 등을 함유하고 莖(경)에는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이뇨약으로서 淸心(청심), 降火(강화), 이뇨, 通淋(통림)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水腫(수종), 小便不利(소변불리), 黃疸(황달)로 인한 濕熱(습열), 心煩不眠(심번불면), 小兒夜泣(소아야읍), 편도선염, 소아경기, 비뇨기계의 염증, 創傷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g(生用時에는 15-30g 단위)을 달여서 또는 丸劑, 散劑로 복용한다. <외용> : 燒存性(소존성)을 가루로 만들어 환부에 살포하거나 또는 목안에 불어 넣는다.
⑵燈心草根
①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②약효 : 五淋(오림)을 치료하며 신선한 것을 삶아서 먹는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등속식물: 모두 20종
갯골풀 Juncus haenkei E.Mey.
골풀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구름골풀 Juncus triglumis L.
길골풀 Juncus tenuis Willd.
날개골풀 Juncus alatus Franch. & Sav.
눈비녀골풀 Juncus wallichianus Laharpe
대택비녀골풀 Juncus stygius L.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I.Krecz. & Gontsch.
백두실골풀 Juncus potaninii Buchenau
별날개골풀 Juncus diastrophanthus Buchenau
비녀골풀 Juncus krameri Franch. & Sav.
설령골풀 Juncus triceps Rostk.
솔비녀골풀 Juncus ounsanensis T.H.Chung
실비녀골풀 Juncus maximowiczii Buchenau
애기골풀 Juncus bufonius L.
참골풀 Juncus brachyspathus Maxim.
참비녀골풀 Juncus leschenaultii J.Gay
청비녀골풀 Juncus papillosus Franch. & Sav.
푸른갯골풀 Juncus setchuensis var. effusoides Buchenau
한라골풀 Juncus hallasanensis T.H.C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