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꽃과 85

서울제비꽃(4)

서울제비꽃(4)https://daehyo49.tistory.com/7816704서울제비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5003서울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09324서울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149  학명 : Viola seoulensis Nakai분류 :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 2024.04.08 서대문 안산            사진 : 2024.04.19 파주 진동 서곡리     국생지  분포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생육환경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토박지에서도 잘 산다.생육형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잎잎이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처음..

제비꽃과 2025.04.09

노랑제비꽃

장백제비꽃https://daehyo49.tistory.com/7812046노랑제비꽃https://daehyo49.tistory.com/7816628  학명: 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등록  ; 2011.05.20       아래: 2021.05. 06 가평 강씨봉  아래 : 2020.04.23 용천스카이밸리    아래 : 2024.04.17 광덕산        아래 : 2024.05.11 춘천 강원도립화목원         설명: 잎근생엽은 심장형이고 폭과 길이가 각각 2.5-4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엽신보다 3-5배 길고 적갈색이 돌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대생상이며 그 밑의 1개는 엽병이 있고 ..

제비꽃과 2025.03.16

민둥뫼제비꽃(3)

민둥뫼제비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6584민둥뫼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08545민둥뫼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7999  학명 : Viola tokubuchiana Makino var. takedana (Makino) F.Maek.분류 : 제비꽃과 (Violaceae)  사진 :  2024.05.25 태백산                  아래 :  2024.08.24 만항재 잎만 보아서는 잘 모르겠다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 동북부 / 경기도 광릉, 중부 이남생육환경숲속 부식토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잎잎은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윗부분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이저에 가까운 심..

제비꽃과 2025.03.04

털노랑제비꽃

학명 : Viola brevistipulata W.Becker var. minor Nakai* 노랑제비꽃의 생태적 변이형이라고 하나 노랑제비꽃은  학명이  Viola orientalis이다. 분류 : 제비꽃과 (Violaceae)일어명 : ダイセンキスミレ(大山黄菫)    사진 : 2024.08.27 한라산 영실   잎에 털이 많다   국생지 분포일본 / 함경남도 갑산비고국내에서 털노랑제비꽃으로 보고된 개체들은 모두 노랑제비꽃의 형태적 변이 범위 내에 포함되어 국내 분포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생육환경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산지에 난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5-22cm잎근생엽은 2-3개이며 윗부분에 3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삼장형이고 길이 16-52mm, 폭 14-5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맥이..

제비꽃과 2025.02.22

낚시제비꽃(3)(좀낚시제비꽃?)

낚시제비꽃(좀낚시제비꽃?)https://daehyo49.tistory.com/7816560낚시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090낚시제비꽃(1)(낚시제비꽃 종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9892 낚시제비꽃과 좀낚시제비꽃의 명확한 구분은 어렵다 일반적으로 줄기가 포복성이 강한 것을 좀낚시제비꽃으로 보는 것 같다 . 또 대체로 좀낚시제비꽃은 숲속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 사진의 것도 한라산 만세동산에서 어리목으로 내려오는 코스의 어두운 숲속에서 본 것이다 . 두 종의 구별이 애매하여 두 종에 대한 국생지 기재문을 함께 삳는다 학명 : Viola grypoceras A.Gray분류 : 제비꽃과 (Violace..

제비꽃과 2025.02.22

호제비꽃(3)

호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498호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09326호제비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0337   학명: Viola yedoensis Makino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학명 풀이:yedoensis : Of or from Tokyo  사짖: 2014.04.12 부안                    아래: 2019.04.05  창동                    아래: 2021.03.27 창동   아래 : 2022.04.06 양평 오빈    아래 : 2023.04.02 홍릉수목원       .아래 : 2023.04.14 중랑천       아래 : 202..

제비꽃과 2024.11.24

(청)알록제비꽃(2)

(청)알록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428알록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9335자주알록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5347자주알록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506   학명 :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var. ircutiana)분류 : 제비꽃과 (Violaceae)일어명 : ゲンジスミレ(源氏菫)중국어명 : 斑叶堇菜 유기억의 에 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의 3변종을 소개하였다 1. 잎 앞면에 흰색 무늬     2. 잎 뒷면 자색  .........................

제비꽃과 2024.11.23

(청)알록제비꽃

학명 : Viola variegata (var. ircutiana)분류 : 제비꽃과(Violaceae)유기억의 에 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의 3변종을 소개하였다 1. 잎 앞면에 흰색 무늬     2. 잎 뒷면 자색  .............................. var. vaiegata  알록제비꽃     2. 잎 뒷면 녹색  .............................  var. ircutiana 청알록제비꽃1. 잎 뒷면 흰색 무늬 없다 .................    var. chinensis 자주알록제비꽃* 자주알록제비꽃은 국생지와 FOC에 학명이 Viola tenuicornis W.Becker로 되어 있다.Viola variegata..

제비꽃과 2024.11.23

잔털제비꽃(2)(추정)

둥근털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4996둥근털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7788잔털제비꽃(2)(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16418잔털제비꽃(1)(제비꽃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6073 학명 : Viola keiskei Miq.분류 :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2024.11.04 영종도 백운산 꽃이 진 후의 제비꽃은 동정하기 어렵다. 잎자루와 잎에 미세한 털이 많아 잔털제비꽃으로 추정한다   둥근털제비꽃은  잎자루와 잎의 털이 다소 길다

제비꽃과 2024.11.19

넓은잎제비꽃(졸방제비꽃 유형 검색표)

잔털제비꽃(제비꽃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6073 학명 : Viola mirabilis L.분류 : 제비꽃과 (Violaceae)일어명 : イブキスミレ(伊吹菫이취근)중국어명 : 奇异堇菜(기이근채) 참조 사이트https://hanatachi.sakura.ne.jp/pl1a/sumire/sub5/ibukisumire_b.html 사진 : 2024.05.09 황학산수목원 졸방제비꽃 유형은 탁엽이 빗살처럼 갈리지는 종들로 모두 유경종이다이들 중 졸방제비꽃, 왜졸방제비꽃은 암술대 상부에 돌기모가 있고나머지 종들은 돌기모가 없는 종들로 이들은 꽃잎 측판에 털이 있는 종류(넓은잎제비꽃)와 측판 안쪽에 털이 없는 종들(긴잎제비꽃, 낚시제비꽃, 큰졸방제비꽃, 참졸방제비..

제비꽃과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