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과 41

나도물통이(2)

나도물통이(2)https://daehyo49.tistory.com/7816482나도물통이(1)https://daehyo49.tistory.com/7808122   학명 : Nanocnide japonica Blume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일어명 : カテンソウ(花点草)중국어명 : 花点草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katensou.htmlhttps://mikawanoyasou.org/data/katensou.htm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납읍리 금산공원    국생지 분포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백양산의 산록 음지에서 자란다.생육환경산록 음지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10-20cm 정도로 자란다.잎잎은 어긋나기하며 선형 또는 ..

쐐기풀과 2025.01.18

물통이(2)

물통이(2)https://daehyo49.tistory.com/7816424물통이(1)https://daehyo49.tistory.com/7810512   학명 : Pilea peploides (Gaudich.) Hook. & Arn.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  사진 : 2024.11.01 명지산   국생지 분포중부 이남에서 자란다.생육환경산지의 그늘진 습지에 분포한다.생육형한해살이풀크기높이가 5-10cm 정도이다.잎잎은 마주나기하며 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6-10mm로서 양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3맥이 있으며 표면에 옆으로 나열된 결정선(結晶線)이 있고 뒷면에 갈색 선점(腺點)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길다.꽃꽃은..

쐐기풀과 2024.11.21

모시풀(2)

모시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08 모시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440 섬모시풀(1)(모기풀과 섬모시풀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0439 학명 : Boehmeria nivea (L.) Gaudich. 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 사진 : 2023.09.06 고대산 모시풀은 잎이 광난형이고 섬모시풀은 잎이 난형 내지 타원형이다 모시풀은 탁엽이 선형으로 이생하고 섬모시풒은 탁엽이 피침형으로 기부에서 합생한다 모시풀은 줄기, 엽병, 엽맥의 털이 개출묄고 섬모시풀은 경사모 내지 복모이다 모시풀과 섬모시풀 비교 모시풀 섬모시풀 엽형 광난형 난형-타원형 털(줄기, 엽병, 잎 뒷면..

쐐기풀과 2023.10.08

혹쐐기풀(2)

혹쐐기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5446혹쐐기풀(1)(혹쐐기풀속과 쐐기풀속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8302 학명 : Laportea bulbifera (Siebold & Zucc.) Wedd.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일어명 : ムカゴイラクサ(珠芽刺草)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mukagoirakusa.html  사진 :  2023.07.16 가평 석룡산    아래 : 2024.10.03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에 분포한다.▶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생육환경산지 수림 밑에 난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40-70cm.잎잎에 자모(刺毛)가 있다. 잎은 어..

쐐기풀과 2023.08.06

산물통이(2)

산물통이(2)https://daehyo49.tistory.com/7814087산물통이(1) 물통이속Pile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09 학명: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학명 풀이:Pilea: cap, hat  사진 : 202210.14 가평 용추    암꽃은 화피 열편이 5장이다,(수꽃은 화피 열편이 4장)다른 종들은 암꽃 화피 열편이 3장   수과는 납작한 난형으로 길이 1mm이고 반점이 없다 아래 : 2024.11.01 명지산      국생지>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그 모양이 달라지고 길이 1-3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쐐기풀과 2022.11.01

서양쐐기풀(1)

가는잎쐐기풀(가는잎쐐기풀과 긴꼬리쐐기풀) (tistory.com) 서양쐐기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4976 서양쐐기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3725 학명: Urtica dioica L.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학명풀이: Urtica: Stinging(찌르는) dioica : 자웅이주 사진 : 2021.05.30-05.31 마포 상암동 아래 암그루 줄기에 작은 강모가 밀생한다 특히 화서에는 자모와 작은 강모가 밀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아래는 수그루. 수꽃은 암꽃에 비하여 화서가 좀 빈약하고 화서도 대체로 줄기 상부에만 달리는듯하다. 수꽃은 좀 붉은빛을 띤다 수꽃은 대체로 줄기 중하부에는 달리지 않는듯이 보인다 ..

쐐기풀과 2022.07.03

풀거북꼬리

거북꼬리종류 신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3135  * 2021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제51권 2호에 따라 수정하여 올린다 학명: Boehmeria paraspicata  (Thunb.) Thunb.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사진 : 2010.08.21 광릉수목원           웅화서는 아래쪽에 달리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웅화는 4수성으로 꽃받침, 꽃잎, 수술이 4개다.     아래 사진은 2012.05.13 천마산에서     아래 : 2022.09.18 가평 용수동   아래 : 2021.08.06 가평 용추계곡    아래 : 2021.08.04 마차산 엽신 상부의 톱니가 비교적 일정하여 톱거북꼬리로 추정한다  아래 : 2022.08.15 고대산  암꽃..

쐐기풀과 2021.07.27

톱거북꼬리(1)

거북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3136거북꼬리 종류 신 검색표http://blog.daum.net/daehyo/7813135 2021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제51권 2호 논문에 따리 풀거북꼬리로 올렸던 것을 톱거북꼬리로 수정하여 올린다 학명: Boehmeria gracilis C. H. Wright분류 : Urticaceae  사진 : 2012.10.14                     아래는 잎 윗면과 뒷면의 확대 사진이다     윗면에는 털이 없다        아래 : 2024.04.26            Boehmereia gracilis C. H. Wriht   Boehmeria gracilis C. H. Wright, J. Linn. Soc., Bot...

쐐기풀과 2021.07.27

참거북꼬리(1)(거북꼬리 종류 신 검색표)

참거북꼬리(1)(거북꼬리 종류 신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3135 * 2021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제 51권 2호 논문에 따라 전에 거북꼬리로 분류했던 것을 참거북꼬리로 수정하여 올린다.  학명 : Boehemria sivestrii (Pamp.) W.T. Wang분류:  Urticaceae  사진 : 2017.09.17 제주도          아래: 2017.07.10 제주도 거문오름            사진: 2017.08.22 양수리  아래 것은 맨 위와 가운데 것은 애매하지만 암꽃화서가 갈라지지 않아 참거북꼬리에 편입시킨다.         아래 : 2023.07.16 가평 석룡산       아래 : 2023.08.26 명지산       아래 : 2023.1..

쐐기풀과 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