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과 107

댕댕이나무(4)

댕댕이나무(4)https://daehyo49.tistory.com/7816645댕댕이나무(3)(댕댕이나무와 구슬댕댕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5052 학명 : Lonicera caerulea L.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중국어명 : 蓝果忍冬일어명 : -학명 풀이Lonicera : Named for Adam Lonitzer, 16th century German botanist and authorcaerulea : dark blue 사진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5.04.25 황학산수목원 댕댕이나무는 겨울눈이 삼각상 난형(흔히 중생부아가 생김)이고 밑에 방패 모양의 탁엽이 있다. 구슬댕댕이는 겨울눈이 피침..

인동과 2025.03.21

일본삼색병꽃나무(2)

일본삼색병꽃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626일본삼색병꽃나무(1)(병꽃나무 종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906  학명: Weigela coraeensis Thunb.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일어명: ハコネウツギ(箱根空木)영명: Japanese weigela국가표준식물목록 등재명 : 일본삼색병꽃나무이전 국명 : 일본병꽃나무 * 학명과 영명에 대하여일본삼색병꽃나무는 종소명이 coraeensis로 여기서 종소명은 '고려'를 뜻한다. 그러나 일본삼색병꽃나무는 영명 Japanese Weigela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한국 특산이 아니라 일본 자생종이다. 종소명 coraeensis는 잘못 붙인 것이라 한다.    ..

인동과 2025.03.16

청괴불나무(2)

청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319청괴불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8949길마가지 (추정) ← 청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707청괴불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249길마가지나무(Lonicer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 Lonicera subsessilis Rehder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  사진 : 2024.07.27 영월 장릉 물무리골     국생지 형태낙엽성 관목으로 직립하며, 높이 1∼3 m이다. 줄기는 지면에서부터 1∼8개가 나오고,..

인동과 2024.09.27

푸른가막살

학명 : 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 / (APG Ⅳ) 산분꽃나무과 (Viburnaceae) 사진 : 2024.07.23 세종식물원    잎은 능상 난형 또는 능상도란형:  엽선은 점첨두 또는 급첨두; 엽저는 넓은 쐐기형; 엽연은 중부 이상부터 둔거치.     엽병에 선점이 분포한다하나 사진상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화서는 산방상취산화서로 새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타원형 또는 난형, 11-12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잎 이면은 미세한 갈색 선점(사진상으로는 확인 안됨)이 빽빽하게 분포하며 털이 없다   측맥은 5-7쌍으로 거치에 직선으로 닿거나 잎 가장자리 부근에서 갈라져 들어간다.   국생지 형태생활형: 상록활엽..

인동과 2024.09.19

털설구화(2)

털설구화(품종)(2)https://daehyo49.tistory.com/7816168털설구화(품종)(1)https://daehyo49.tistory.com/7807567털설구화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928Viburnum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582 학명: Viburnum plicatum f. tomentosum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새로운 분류체계인 APG Ⅱ system에서는 연복초과로 분류한다* Viburnum plicatum은 장식화만 있는 설구화이고 Viburnum plicatum f. tomentosum은 품종인 털설구화로 꽃 중앙에 임성화와 주변의 ..

인동과 2024.06.03

산분꽃나무(2)(산분꽃나무와 덜꿩나무 비교)

산분꽃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135산분꽃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038산분꽃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794 학명 : 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er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 /(APG Ⅳ) 산분꽃나무과 (Viburnaceae)일어명 : カラスガマズミ 사진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잎은 장타원형-난형 , 엽연에 잔톱니 화관은 폭상 잎 뒷면 특히 맥액과 엽연, 엽병, 화경에 성모가 밀생한다 맥액의 성모는 돌기상으로나타난다 잎 뒷면 특히 맥액과 엽연, 엽병, 화경에 성모가..

인동과 2024.05.18

분단나무(2)

분꽃나무(5)https://daehyo49.tistory.com/7814176분단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113분단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030산분꽃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08038가막살나무속 Viburn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582 학명: Viburnum furcatum Blume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새로운 분류체계인 APG Ⅱ system에서는 연복초과로 분류한다.일어명: ムシカリ 사진 : 2024.04.11 여주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07.31 여주 황학산..

인동과 2024.05.06

털댕강나무(2)

털댕강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000털댕강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735긴털댕강나무 (Zabelia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377학명 : Zabelia biflora (Turcz.) Makino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국명 이명 : 섬댕강나무  사진 : 2009.05.17 홍릉수목원 일본댕강나무라 하였던 것이나 일본댕강나무에 대해서는 어디에서도 학명과 설명을 구할 수 없다. 단지 인터넷에 사진이 올려져 있을 뿐이다. 그러나 줄기 끝에 고배형 화관과 꽃이 2개씩 달리고 악편이 4개인 것으로 보면 털댕강나무로 추정된다               아래 : 2024...

인동과 2024.03.10

길마가지나무 겨울눈(2) ← 털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겨울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873 길마가지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2604 괴불나무속Lonicer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 Lonicera harae Makino 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 사진 : 2023.12.28 광릉수목원 털괴불나무로 잘못된 표찰을 달고 있난 것이다. ㅌ 아래 : 2024.01.23 집 물병 길마가지와 달리 잎이 꽃보다 먼저 나온다 길마가지나무 겨울눈 정보 소자: 황갈색이며 길고 억센 털이 있다 골속 : 차 있다 동아: 대생, 끝이 뾰족하다; 인아; 가지 끝에는 가정아 2개 엽흔: 삼각형-초승형으로..

인동과 2024.02.02

길마가지 (추정) ← 청괴불나무(2)(?)

청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319청괴불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8949길마가지 (추정) ← 청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707청괴불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249길마가지나무(Lonicer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 청괴불나무로 안내되어 있는데 엽병과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어 잘못된 것이 아닌가 싶다. 동아의 형태로도 청괴불나무는 각진 피침형인데 사진의 동아는 길마가지나무의 끝이 뾰족한 난형을 보이고 있다    사진..

인동과 202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