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과 43

가시나무(3)

가시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6498가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4270가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9243가시나무 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09191가시나무 종류 비교(가시나무/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개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09929  학명 : Quercus myrsinifolia Blume/Quercus myrsinaefolia Blume분류 : 참나무과 (Fagaceae)일어명 : シラカシ(白樫・白橿)중국어명 : 小叶青冈(소엽청강) 사진 : 2025.01.16 제주 한라수목원  ..

참나무과 2025.01.28

종가시나무(5)

종가시나무(4)(가시나무 종류 잎, 동아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4258 학명  : Quercus glauca Thunb.분류 :  참나무과 (Fagaceae)일어명 : アラカシ  사진 : 2025.01.15 제주 선흘리 동백동산   큰나무라 자세하게 사진이 나오지 않아 무슨 나무인지 몰랐으나 모야모에 물었더니 종가시나무로 답이 왔다. 자세히 살펴보니 잎에 거치가 있어  종가시나무가 맞는 것으로 보인다   아래 : 2025.01.16 한라수목원       국생지 형태상록활엽교목, 수형:원개형상록 활엽 교목,분포히말라야 (네팔, 부탄)에서 베트남, 대만, 일본; 제주특별자치도 및 외나노도(外羅老島)에 분포하고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표고 600m이하의 산기슭과 계곡에 자..

참나무과 2025.01.26

너도밤나무(2)

너도밤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237너도밤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9997 학명 : Fagus multinervis Nakai분류 : 참나무과 (Fagaceae)  사진 : 2024.06.26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7.28 광릉수목원    아래 : 2024.10.29 광릉수목원        국생지 형태낙엽 활엽 교목. 수형은 달걀모양(가지의 신장은 정자형)분포중국 내륙; 한국(경상북도 울릉군)생육환경▶해풍이 있는 공기습도가 높은지역에서 자라는 극상림(極相林)의 하나로, 주로 바닷가 근처에 자생지가 발견된다.▶내륙에서는 공기습도가 높고 서늘한 바닷가 근처가 좋을 것으로 보인다.▶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속도가 느..

참나무과 2024.07.21

졸가시나무(2)

졸가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235졸가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2385  학명 : Quercus phillyreoides A.Gray분류 : 참나무과 (Fagaceae)  사진 : 2024.06.19 물향기수목원   잎은 광타원형 또는 도란상타원형으로상반부에 거치가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위의 사진 처럼 잎의 기부 근처까지도 거치가 있는 경우도 있나보다     국생지 분포남부지방에 식재한다.생육환경▶난대지역의 비옥한 적윤지에서 잘 자란다.▶참나무과의 상록수 중에서는 내한성이 제일 강하여 대구,김천,전주에서도 큰 나무의 월동은 가능하다.생육형상록 활엽 교목크기높이 10m, 지름 60cm정도로 자란다.잎잎은 어긋나..

참나무과 2024.07.20

유럽너도밤나무(2)(겨울눈)

유럽너도밤나무(2)(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5905 유럽너도밤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82 학명: Fagus sylvatica L. 분류: 참나무과(Fagaceae) 영명: European Beech, Common Beech 학명 풀이: Fagus: 너도밤나무속 sylvatica: 숲의 * 홍릉수목원 표찰에서는 개너도밤나무로 소개 사진 : 2024.01.27 홍릉수목원 영어 위키 설명 Fagus sylvatica, the European beech or common beech is a large, graceful deciduous tree in the beech family with smooth silvery-gra..

참나무과 2024.02.11

참가시나무(2)

가시나무 6종의 동아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4279참가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737참가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882  학명: Quercus salicina Blume분류: 참나무과(Fagaceae)학명 풀이:Quercus: 참나무속salicina: 버드나무(잎) 같은  사진 : 2023.11.12 강원도립화목원   가시나무 표지판을 달고 있지만 동아의 형태와 비교적 크고 거친 톱니로 보아 참가시나무로 동정한다        아래 : 2024.01.26 서천국립생태원     아래 : 2024.04.20 국립생태원     아래 : 2024.06.13  황학산수목원       잎 ..

참나무과 2023.12.11

너도밤나무(2)(겨울나무)

너도밤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97 학명 : (신) Fagus multinervis Nakai /(구)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분류: 참나무과(Fagaceae) 학명 변경 사유 울릉도에 있는 F. mulinervis는 중국에 있는 F. engleriana와는 다른 종이라 한다 학명 풀이: Fagus: 너도밤나무속 engleriana: 20세기 독일의 식물학자 Heinrich Gustav Adolph Engler multinervis : 맥이 많은 일어명: チョウセンブナ 사진 : 2022.12.04 홍릉수목원 아래 : 2023.01.31 대전한밭수목원 국생지 분포 중국 내륙;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수..

참나무과 2022.12.16

붉가시나무(2)

붉가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4292붉가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485 학명 : Quercus acuta Thunb.분류 : 참나무과(Fagaceae)   사진  : 2022.11.08 안면도수목원     아래 : 2022.12.27 대전 한밭수목원 동아 모습      아래 : 2023.01.31 대전한밭수목원     종소명 acuta에 나타나 있듯이 엽선이 아주 뾰족하다     아래 : 2024.04.11 여주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5.01.22 황학산수목원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설명 양지바른 산기슭과 계곡에 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높이 20m, 지름 60cm 정도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참나무과 2022.12.14

가시나무(2)

가시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6498가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4270가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9243가시나무 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09191가시나무 종류 비교(가시나무/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개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09929   학명: Quercus myrsinaefolia Blume분류: 참나무과(Fagaceae) 학명 풀이:Quercus: 참나무 종류myrsinaefolia: Myrsine의 잎 같은  사진 : 2022.11.08 안면도수목원       사진 : 2022..

참나무과 202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