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316

참김의털

김의털/참김의털 (김의털속 Festuca 종 검색표와 상위 분류군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501  학명 : Festuca ovina L. var. coreana (St.-Yves) St.-Yves뷴류 : 벼과 (Poaceae)/포아풀아과(Pooideae)/포아풀족(Poeae)/김의풀속(Festuca) 사진 : 2024.05.29 도봉구 방학동     화서 가지는 마디 당 1-2개   소수는 1-4개 붙는다.     소수 당 소화는 4-6개이다    호영에 까락은 없거나 있어도 1mm 미만이다  국생지 분포한국해외분포일본, 중국생육환경언덕의 건조한 풀밭에 자란다.생육형다년생크기높이는 20-30㎝이다.잎● 엽신 : 엽신은 말려서 두 겹으로 겹치고 길이 5~13cm이..

벼과 2025.04.06

큰꾸러미풀(2)

큰꾸러미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684큰꾸러미풀(1)(실포아풀과 큰꾸러미풀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3847실포아풀과 큰꾸러미풀 비교 자료https://daehyo49.tistory.com/7810811포아풀속 종 검색표와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002  학명 : Poa nipponica Koidz.분류 : 벼과 (Poaceae)/ Pooideae/Poeae/Poa 일어명 : オオイチゴツナギ(大苺繋)중국어명 : 日本早熟禾   사진 : 2024.05.28 남산              아래 : 2024.05.29 방학동 도봉산                           국생지 분포: ..

벼과 2025.04.03

시베리아잠자리피

잠자리피 (잠자리피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406시베리아잠자리피https://daehyo49.tistory.com/7816680시베리아잠자리피(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662  학명 : Trisetum sibiricum Rupr.분류 : 벼과(Poaceae)/ 포아풀아과(Pooideae)/귀리족(Aveneae)/잠자리피속(Trisetum) 사진 :2023.06.02 파주  * 생육지가 고산 초지로 되어 있으나 기재문에 따라 시베리아잠자리피로 동정한다.     아래 : 2024.05.17 파주 진동 서곡리      국생지  국생지 분포한국해외분포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몽고, 시베리아, 코카..

벼과 2025.04.02

왕포아풀(2)

왕포아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679왕포아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0701좀포아풀(1) (왕포아풀과 좀포아풀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875포아풀속 종 검색표와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002  학명: Poa pratensis L.분류: 벼과(Gramineae)학명 풀이: Referring to a meadow일어명 : ナガバグサ영명 : Kentucky Bluegrass   사진 : 2024.09.17 파주 진동 서곡리      왕포아풀의 소수는 가지끝 1/3-2/3 지점에 달리고 좀포아풀의 소수는 거의 가지 기부에서부터 달린다     왕포아풀의..

벼과 2025.04.02

향모

향모https://daehyo49.tistory.com/7816676향모(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664향모속(향기풀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529귀리족 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406  학명 : (국생지) Hierochloe odorata (L.) P.Beauv. /(FOC) Anthoxanthum nitens (Weber) Y. Schouten & Veldkamp분류 : 벼과 (Poaceae)/포아풀아과(Pooideae)/귀리족(Aveneae)/향모속(Hierochloe)일어명 : コウボウ(香茅)중국어명 : 茅香  사진 : 2021.04.04 강서생태공원   아래 :..

벼과 2025.03.31

구주개밀(2)

구주개밀(2)https://daehyo49.tistory.com/7816667구주개밀(1)(호밀풀/쥐보리/구주개밀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127갯보리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588Elymus 상위분류군https://daehyo49.tistory.com/7810674  학명 : Elymus repens (L.) GouldSynonym : Elytrigia repens (Linnaeus) Desvaux ex B. D. Jackson분류 : 벼과 (Poaceae)/포아풀아과(Pooideae)/밀족(Triticeae)/갯보리속(Elymus)일어명 : シバムギ(芝​麦)중국어명 : 偃麦草(언맥초)  사진  : 2024.05.04..

벼과 2025.03.30

유연보리

참조 사이트https://blog.naver.com/vjoc1428/221261644581?trackingCode=rsshttps://wheatbar.tistory.com/15684845  사진 : 2024.05.01. 안면도         소가 먹는 보리를 총체(總體, Whole crop)보리라고 하는데 땅 위의 보리 줄기 전체를 베어서 랩(rap)비닐로 감아놓으면 배추가 김치로 되듯이 발효되어 소가 먹는 담근먹이가 된다. 보리가 익기 전에 알곡과 줄기를 몽땅 베어서 조사료로 쓰기 때문에 수확량이 엄청 많아진다. 보리재배 농민은 일반 보리에 비하여 10~15일 일찍 보리를 베어낼 수 있고 보릿짚이 안 남으니 그만큼 수월하게 벼농사를 지을 수 있다   보리는 까락이 있다. 까락은 광합성 능력이 탁월해서 ..

벼과 2025.03.05

쥐꼬리새풀(2)

쥐꼬리새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571쥐꼬리새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3374그령족 검색표(대새풀 1)https://daehyo49.tistory.com/7809630  학명 :Sporobolus fertilis (Steud.) Clayton분류 : 벼과(Poaceae)/ 나도바랭이아과(Chloridoideae)/그령족(Eragrostideae)/나도잔디속(Sporobolus)일어명 : ネズミノオ(鼠の尾)중국어명 : 鼠尾粟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nezuminoo.html  사진 : 2024.08.28 서귀포 쇠소깍       국생지분포한국해외분포일본, 중국, 대만생육환경길가나 평지초원..

벼과 2025.02.26

담상이삭풀

담상이삭풀https://daehyo49.tistory.com/7816557담상이삭풀(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630 학명 : Brachyelytrum japonicum (Hack.) Matsum. ex Honda분류 : 벼과 (Poaceae)/대나무아과(Bambusoideae)/담상이삭풀족((Brachyelytreae)/담상이삭풀속(Brachyelytrum)학명 풀이:Brachyelytrum :From the Greek brachy (short) and elutron (cover or husk), referring to the short glumes일어명 : コウヤザサ중국어명 : 日本短颖草 참조 사이트http://plants.minibird.jp/kansai/ka..

벼과 2025.02.21

흰털새

학명 : Holcus lanatus L.분류 : 벼과 (Poaceae)/포아풀아과(Pooideae)/귀리족(Aveneae)/흰털새속(Holcus)일어명 : シラゲガヤ (白毛茅)중국어명 : 绒毛草학명 풀이Holcus : From ancient Greek holkos, a type of grass lanatus : wooly  참조 사이트https://mikawanoyasou.org/data/siragegaya.htmhttps://matsue-hana.com/hana/siragegaya.html  사진 : 2024.08.27 한라산          국생지 분포한국해외분포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호주생육환경목초지나 농경지에 자라는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이다.생육형다년생크기높이는 2..

벼과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