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과 144

Nepeta sp.

Nepeta racemosa(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16391  학명 : Nepeta sp.분류 : 꿀풀과( Lamiaceae)사진 : 2024.10.21 황학산수목원  화질이 엉망이어 종 동정을 할 수 없다   Nepeta속 국생지 등록종 간장풀 Nepeta manchuriensis S.Moore개박하 Nepeta cataria L.개형개 Nepeta multifida L.형개 Nepeta tenuifolia Benth.  FOC Nepeta Linnaeus, Sp. Pl. 2: 570. 1753.荆芥属 jing jie shu Subshrubs or perennial or annual herbs, usually aromatic, occasionally gynomon..

꿀풀과 2025.01.12

털산박하

학명 : 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canescens (Nakai) Kudô분류 : 꿀풀과 (Lamiaceae)일어명 : ケヤマハッカ 사진 : 2024.10.29 광릉수목원   줄기, 잎 뒷면, 꽃자루, 꽃받침, 화관에 털이 많다   국생지 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40-100cm잎잎은 마주나기하고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같이 되며 길이 3-6cm, 폭 2-4cm로서 잎뒷면에 많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꽃꽃은 6-8월에 피며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 꽃부리는 자주색이고 길이 8-10mm로서 순형이..

꿀풀과 2025.01.09

배초향(4)

배초향(4)https://daehyo49.tistory.com/7816430배초향(3)https://daehyo49.tistory.com/7815017배초향(2)https://daehyo49.tistory.com/7807827배초향(1) (종자)https://daehyo49.tistory.com/7807638배초향(흰꽃)https://daehyo49.tistory.com/7813867   학명 : 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분류 : 꿀풀과 (Lamiaceae)일어명 : カワミドリ(河碧・川緑)중국어명  : 藿香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kawamidori.html  사진 : 2024.11.01 명지산    국생지 분포▶..

꿀풀과 2024.11.23

오리방풀(2)

오리방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410오리방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3981  학명 : Isodon excisus (Maxim.) Kudô분류 : 꿀풀과 (Lamiaceae)일어명 : カメバヒキオコシ(亀葉引き起こし)중국어명 : 尾叶香茶菜  사진: 2024.11.11 청태산     국생지 분포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에 분포한다.생육환경깊은 산지의 응달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50-100cm정도이다.잎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원형이며 끝이 거북꼬리같고 길이 2-5cm로서 꼬리를 제외한 길이와 나비가 각 5-8cm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날개가 있는 엽병으로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이 거북꼬리..

꿀풀과 2024.11.16

백리향(섬백리향)(2)

백리향(섬백리향)(2)https://daehyo49.tistory.com/7816392백리향(섬백리향)(1)https://daehyo49.tistory.com/7807422   요즘에는 두 종을 통합하는 추세라 한다  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백리향)섬백리향 학명은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분류: Lamiaceae학명 풀이Thymus : From the Greek word for smoke, fumigate(훈증하다)quinquecostatus : Five ribbed중국어명 : 地椒일어명 : ミネジャコウソウ 사진 : 2024.10.03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함경북도,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남북도해외분포일본, 중국, 극..

꿀풀과 2024.11.10

Nepeta racemosa(추정)

학명 : Nepeta racemosa Lam.* 개박하속이다분류 : 꿀풀과(Lamiaceae)중국어명 : 总花猫薄荷Common Names : dwarf catnip or raceme catnip,    사진 : 2024.10.03 광릉수목원   벌깨풀인가 생각해보았으나 벌깨풀은 용머리속으로 화관의 통부가 뚜렷하게 불룩하게 아래로 부푸는 특징이 있어 벌깨풀일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위의 식물은 화관의 통부가 아닌  하순 부분이  뚜렷하게 비대하여 개박하쪽으로 생각한다        잎 모양도 벌깨풀과 좀 달라보인다. 전체적으로 삼각상 난형으로 엽저가 절저에 가까운 약심저이다. 벌깨풀은 아래 퍼온 사진에서 보듯이 잎이 둥근 난형이고 심저가 뚜렷하다  Wikipedia 설명 Nepeta racemosa, the..

꿀풀과 2024.11.10

벌깨덩굴(3)(충영)

벌깨덩굴(3)https://daehyo49.tistory.com/7816213벌깨덩굴(2)https://daehyo49.tistory.com/7815087벌깨덩굴(1)https://daehyo49.tistory.com/7807983   학명: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분류 : Lamiaceae( = Labiatae)학명 풀이:Meehania : 19세기 미국의 원예가이자 원예 분야 집필자 Thomas Meehan의 이름에서urticifolia : 'Nettle-leaved' 사진 : 2024.06.26 광릉수목원    아래는 충영으로 보는 것 같다.         아래 : 2024.07.10 광릉수목원       국생지> 설명: 잎화경(花莖)에 5쌍 정도의 잎이 붙어 ..

꿀풀과 2024.07.07

호골무꽃(2)

호골무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205호골무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757 참조 사이트https://kualum.tistory.com/17042814https://blog.naver.com/cavenia/222950050662 학명 : Scutellaria pekinensis Maxim. var. ussuriensis (Regel) Hand.-Mazz.분류 : 꿀풀과 (Lamiaceae)  사진 : 2024.06.07 유명산     동일 유형의 분류군들산골무꽃Scutellaria pekinensis Maxim. var. transitra (Makino) H.Hara수골무꽃Scutellaria pekinensis Maxim. ..

꿀풀과 2024.07.01

방아풀(2)

방아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174방아풀(1)(방아풀/산박하/오리방풀 잎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9797 학명 : Isodon japonicus (Burm.f.) H.Hara분류 : 꿀풀과 (Lamiaceae) 사진 : 2024.04.26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7.27 영월 장릉 물무리골     아래 : 2024.10.29 광릉수목원   방아풀 잎은 대체로 장삼각상. 산박하 잎은 대체로 다소 넓은 삼각상 난형이다    암술만 나오면 자주방아풀, 암술과 수술이 함께 나오면 방아풀이라 하는데 대부분의 꽃에서 암술, 수술이 이미 탈락되어 판단하기 어렵다      국생지 분포전국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생육환경우리 나..

꿀풀과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