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 304

윤노리나무(5)

윤노리나무(4)https://daehyo49.tistory.com/7814356 FOC에서는 이 종을 Photinia속(홍가시나무속)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요즘은 Pourthiaea속(윤노리나무속)으로 분류한다 Photinia속은 상록성이고 과병에 사마귀 모양의 피목이 없으며 Pourthiaea속은 낙엽성이고 과병에 사마귀 모양의 피목이 발달한다 학명 :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カマツカ(鎌柄)중국어명 : 毛叶石楠 사진 : 2025.04.23 광릉수목원 잎, 엽병, 화서. 꽃받침, 신년지에 털이 많다(종소명 villosa !) 꽃은 산방화서 엽신은 도란형,점첨두, 예저에 소예거치 ..

장미과 2025.04.24

산옥매(3)

산옥매(3)https://daehyo49.tistory.com/7816745산옥매(구명 : 옥매)(2)https://daehyo49.tistory.com/7816026산옥매(구명 : 옥매)(1)https://daehyo49.tistory.com/7815040 학명 : Prunus glandulosa Thunb.학명 이명 : Cerasus glandulosa (Thunberg) Sokolov분류 : 장미과 (Rosaceae)중국어명 : 麦李(맥리) 구명 옥매(f. albiplena)와 구명 홍매(f. sinensis)는 현재 산옥매로 통합되었지만 원래의 산옥매는 홑꽃이고 옥매(흰색)와 홍매(붉은색)은 겹꽃이다. 아래는 홑꽃이니 원종인 산옥매이다 사진 : 2025.04.17 서울숲 아래..

장미과 2025.04.23

산벚나무(2)

산벚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728산벚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500 학명 : Prunus sargentii Rehder/Cerasus sargentii (Rehder) H.Ohba var. sargentii 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 オオヤマザクラ(大山桜)중국어명 : - 사진 : 2024.04.27 청태산 꽃과 잎이 함께 나온다 총경이 없는 산형화서이다 소화경, 꽃받침, 꽃자루에 털이 없다 국생지 분포러시아, 일본 / 한반도 함경북도 ~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등의 백두대간에 주로 분포.생육환경양수로서 평탄하면서 습기가 많은 비옥지에서 잘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고, 대..

장미과 2025.04.18

벚나무(2)

벚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1벚나무(1)(벚나무 종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8158  학명 : Prunus serrulata Lindl. f. spontanea (Maxim.) Chin S.Chang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 2024.05.28 남산      국생지 분포중국, 일본 / 함경남북도 등을 제외하고 전국에 분포, 강원특별자치도에 가끔 발견.생육환경▶산복이하의 계곡이나 산록의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이 적지이다.▶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적응성이 강하고 양수로서 군집성은 없다.생육형낙엽 활엽 교목.크기높이 10 ~ 20m.잎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꼴이고, 길이는 6 ~ 12cm로, 원저..

장미과 2025.04.05

잔털벚나무(3)

잔털벚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6687잔털벚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09319잔털벚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160벚나무(벚나무 종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8158   학명 : Prunus serrulata Lindl. var. pubescens (Makino) Nakai분류 : 장미과 (Rosaceae)일어명 : ウスゲヤマザクラ사진 : 2024.05.28 남산  꽃이 없는 상태에선 왕벚나무와 구별하기 힘들다. 왕벚나무일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국생지  분포중국, 일본 / 함경남북도 등을 제외한 전국에 분포, 강원특별자치도에 가끔 발견.생육..

장미과 2025.04.05

좀딸기(3)

좀딸기(3)https://daehyo49.tistory.com/7816666좀딸기(2)https://daehyo49.tistory.com/7810022좀딸기(1)https://daehyo49.tistory.com/7808852   학명 : Potentilla centigrana Maxim.분류 : 장미과 (Rosaceae) 일어명 : ヒメヘビイチゴ(姫蛇苺)중국어명 : 蛇莓委陵菜 참조 사이트 https://mikawanoyasou.org/data/himehebiitigo.htmhttps://nikko-bg.jp/nikko-old/5_jokyo/species/Potentilla_centigrana.htmlhttps://yasousanpo.sakuraweb.com/menu/ha/himehebiitigo.htm..

장미과 2025.03.30

참조팝나무(3)

참조팝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6651참조팝나무(2) (참조팝나무와 일본조팝나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4067  학명 : Spiraea fritschiana C.K.Schneid.분류 : 장미과 (Rosaceae)학명 풀이Spiraea : wreathfritschiana : 인명 유래 ? 사진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국생지  분포중국; 평안남북도 ~ 강원특별자치도(함경남북도에는 분포하지 않음)에 분포하지만 백두대간을 따라 지리산까지 분포.생육환경▶산중턱 절사면이나 다른 식물들이 잘 자라지 못하는 메마른 땅에 군생한다.생육형낙엽 활엽 관목.크기높이 1.5m.잎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으로, 첨두..

장미과 2025.03.23

갈기조팝나무(2)

갈기조팝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1874갈기조팝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627갈기조팝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736참조팝나무(1) (조팝나무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413  학명 : Spiraea trichocarpa Nakai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 2024.05.11 춘천 강원도립화목원          국생지   분포평안남북도 백두대간~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및 경상북도해외분포중국, 내몽고생육환경▶야산의 산허리나 계곡에서 자란다. 햇빛이 잘 드는 석회암 지대에 털댕강나무, 더위지기, 전동싸리 등과 혼생..

장미과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