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918

서울제비꽃(4)

서울제비꽃(4)https://daehyo49.tistory.com/7816704서울제비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5003서울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09324서울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149  학명 : Viola seoulensis Nakai분류 :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 2024.04.08 서대문 안산            사진 : 2024.04.19 파주 진동 서곡리     국생지  분포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생육환경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토박지에서도 잘 산다.생육형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잎잎이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처음..

제비꽃과 11:31:50

각시붓꽃(2)

각시붓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703각시붓꽃(1)(붓꽃속의 구별 1; 각시붓꽃/솔붓꽃/난장이붓꽃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7692 학명 : Iris rossii Baker분류 : 붓꽃과 (Iridaceae)일어명 : エヒメアヤメ(誰故草)중국어명 : 长尾鸢尾(장미연미)  사진 : 2024.04.19 파주 진동 사곡리      국생지 분포전국의 산지에 분포하고 중국 동부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생육형숙근성 여러해살이풀크기꽃대는 높이 5-15cm이며 잎은 길이 30cm에 이른다.잎꽃이 필 때의 잎은 꽃대와 길이가 거의 같지만 꽃이 진 다음 자라며 길이 30cm, 나비 2~5mm로서 주맥이 뚜렷치 않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가장자리 윗부..

붓꽃과 10:13:18

메꽃(2)

메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702메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9426  학명 : Calystegia pubescens Lindl.분류 : 메꽃과 (Convolvulaceae) 학명 풀이 : Calystegia : From the Greek kalyx (calyx) and stegon (cover), referring to the bracts that conceal the calyx일어명 : ヒルガオ(昼顔 주안・旋花)중국어명 : 柔毛大碗花(유모대완화)   사진 : 2024.04.18 도봉구 방학동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에 분포한다.전국 각지에 야생한다.생육환경들에서 흔히 자란다.생육형덩굴성 여러해살이풀잎잎은 어긋나기하고 ..

메꽃과 09:07:20

왜현호색(2)

왜현호색(2)https://daehyo49.tistory.com/7816701왜현호색(1)https://daehyo49.tistory.com/7810805현호색(1)(현호색과 왜현호색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960현호색 종류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952 학명 : Corydalis ambigua Cham. & Schltdl./(일본) Corydalis fumariifolia Maxim. subsp. azurea Lidén et Zetterlund 분류 : 현호색과 (Fumariaceae)/(APG Ⅳ) 양귀비과 (Papaveraceae)일어명 : エゾエンゴサク(蝦夷延胡索)  사진 : 2024.04.17 광덕산      ..

큰개별꽃(2)

큰개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9큰개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154개별꽃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138  학명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분류 : 석죽과 (Caryophyllaceae)일어명 : ヒゲネワチガイソウ(髭根輪違草)중국어명 : -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 2024.04.17 광덕산       국생지  분포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해외분포일본생육환경전국 산지에 습기있는 축축한 나무 숲의 하부나 계곡 주변에서 자생한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10~20cm정도로 자란다.잎잎은 마주나기하고 줄기 밑부분..

석죽과 2025.04.08

동의나물(2)

동의나물(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8동의나물(1)(곰취/곤달비/동의나물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362  학명: Caltha palustris L.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학명 풀이:Caltha: Cup, referring to shape of flowerspalustris: Loves marshes일어명: リュウキンカ중국어명 : 驴蹄草(여제초)  사진 : 2024.04.17 광덕산    국생지 분포제주를 제외한 전도에 나며 동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만주, 중국, 일본, 캄차카에 분포한다.생육환경산지의 습지나 물가생육형다년초로 여러해살이풀이다.크기높이 60cm 내외이다.잎근생엽은 모여 나며 신원형..

모데미풀(2)

모데미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7모데미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8519   학명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사진 : 2024.04.17 광덕산         국생지 분포한국(경기도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횡성군; 전라남도 무주군; 경상북도 봉화군, 안동군; 경상남도 산청군; 제주특별자치도)비고▶한반도 특산종▶식물구계학적등급종 III▶적색목록 취약종(VU)생육환경깊은 산 습지 또는 능선 근처, 주로 북사면의 습윤한 낙엽수림 하부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20-40cm정도이다.잎근생엽은 긴 엽병끝에서 3개로 완전히 갈라..

흰민들레(2)

흰민들레(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6흰민들레(1)https://daehyo49.tistory.com/7807712흰민들레와 흰털민들레(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3592  학명 : Taraxacum coreanum Nakai분류 : 국화과 (Asteraceae)   사진 : 2024.04.12 파주 군내 백연리       국생지 분포전국에 분포한다.생육환경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하고 생육한다.생육형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잎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거꿀피침모양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7~25cm, 폭 1.4~6cm로서 양면에 ..

국화과 2025.04.07

귀제비

학명 : Cecropis daurica (Laxmann, 1769)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제비과(Hirundinidae)영명 : Eastern red-rumped swallow       국생지 생태적 특징인가 부근의 농경지에 찾아온다. 이동할 때나 번식 초기에는 암수 함께 또는 혼자서 생활하고, 번식 후에는 가족 군을 형성하게 된다. 둥지 재료인 흙을 얻기 위한 경우 이외에는 땅 위에 내려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둥지는 처마 밑, 교량 밑, 슬라브 건물의 지붕 밑에 진흙과 짚을 이용해서 목이 긴 술병을 옆으로 놓은 것 같은 모양으로 만든다. 알을 낳는 시기는 5~7월이다. 알은 흰색으로 4~5개 낳아 19~20일 동안 품는다. 일반적 특징암컷과 수컷 모두 머리꼭대기, 뒷목, 등, 어..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