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자나무과 27

한계령풀(2)

한계령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659한계령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8128  학명 :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Moore) Takht.분류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중국어명 : 牡丹草일어명 : -  사진 : 2024.05.25 태백산            국생지  분포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인제군, 정선군, 태백시)생육환경▶계곡의 사면에서 자란다.▶햇볕이 잘드는 양지의 부식질이 풍부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30-40cm정도이다.잎탁엽은 잎같으며 반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잎은 1개가 달리고 1cm..

매자나무과 2025.03.25

깽깽이풀(2)

깽깽이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169깽깽이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0916 학명 :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Moore분류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사진 : 2024.04.06 광릉수목원      꽃받침잎은 4개이고 피침형이며 꽃잎은 6-8개로서 도란형이고 옆으로 퍼지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아래 : 2024.04.21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5.11 춘천 강원도립화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설명잎잎은 긴 엽병 끝에 달리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전체가..

매자나무과 2024.06.03

왕매발톱나무(1)(겨울눈 포함)

왕매발톱나무(1) (겨울눈 포함)https://daehyo49.tistory.com/7815715왕매발톱나무와 섬매발톱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07706 학명 : Berberis amurensis Rupr. var. latifolia Nakai분류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사진 : 2023.11.15 광릉수목원 종자는 열매 당 2개 들어있다 아래 : 2023.11.29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왕매발톱나무는 잎이 원형 또는 난상원형이고 섬매발톱나무는 잎이 도피침형이다 아래 : 2025.05.08 광릉수목원 왕매발톱나무는 잎이 원형에 가깝고 섬매발톱나무는 잎이 도피침형이..

매자나무과 2023.11.26

섬매발톱나무(1)(겨울눈 포함)

섬매발톱나무(1)(겨울눈 포함)https://daehyo49.tistory.com/7815697왕매발톱나무와 섬매발톱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07706 학명 : Berberis amurensis Rupr. var. quelpaertensis (Nakai) Nakai분류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사진 : 2023.11.19 광릉수목원         아래 : 2023.11.29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8.27 한라산      국생지 형태낙엽활엽성 관목, 수형:반구형.분포한국(제주특별자치도)생육환경반그늘에서 잘 적응하며 재배가 용이하다. 내염성, 내공해성이 강하지 못하므로 식재시 선정에 주의를 기울린다. 햇빛이 잘 들고, 물빠짐이 좋고 비..

매자나무과 2023.11.21

매발톱나무(2)

매자나무(1)(매발톱나무와 매자나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407매발톱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630매발톱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502 학명 : Berberis amurensis Rupr.분류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사진 : 2023.10.05 양구 DMZ 자생식물원     아래 : 2024.07.20 화성우리꽃식물원        국생지 분포극동러시아, 일본, 중국;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분포.생육환경▶산기슭 및 산 중턱의 개방지(開放地)에 난다.▶양지와 음지에서 모두 잘 자라고 내한성이 크다.▶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하며 내건성과 ..

매자나무과 2023.10.17

꿩의다리아재비(2)

꿩의다리아재비(1)https://daehyo49.tistory.com/7808201꿩의다리아재비(2)https://daehyo49.tistory.com/7815102 학명: Caulophyllum robustum Maxim.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학명 풀이:Caulophyllum: From the Greek kaulos (stem) and phyllon (leaf), referring to the way the stem forms a stalk for a single leaf on this plantrobustum : Robust 사진 : 2023.04.09 한택식물원 아래 : 2023.04.30 선자령 아래 : 2024.04.26 광릉수목원 ..

매자나무과 2023.05.05

삼지구엽초(2)

삼지구엽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07719 삼지구엽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09 학명: Epimedium koreanum Nakai 이명: 음양곽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동속식물: - 사진 : 2023.04.02 홍릉수목원 아래 : 2023.04.09 한택식물원 설명: 잎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에 1-2개의 잎이 호생하고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5-13.5cm, 폭1.5-7.2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같은 잔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10-13mm, 지름 5-6mm이다. 꽃 꽃은 4-5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원..

매자나무과 2023.04.05

남천(2)

남천 (1) https://daehyo49.tistory.com/7808917  학명 : Nandina domestica Thunb.분류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사진 : 2022.11.08 안면도수목원      아래 : 2024.06.17 창동      국생지 분포중국, 일본; 남부지방에 식재.형태상록 활엽 관목.생육환경▶자연상태에서는 석회암지역에서 무성히 자라는 수종이다.▶전남, 경남의 따뜻한 곳에서는 월동이 가능하나 중부지방은 불가능하다.▶내음성이 강하여 큰 나무 그늘밑에서도 잘 자라며,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비교적 각종 공해에 강하다.크기높이가 1~3m정도, 주간의 직경이 10㎝이상 되는 것도 있다.잎잎은 어긋나기로 두꺼우며 3회 깃모양겹잎으로서 길이 30~..

매자나무과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