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남성과 23

한국앉은부채(구명 : 앉은부채)(1)

한국앉은부채(구명: 앉은부채)(1)https://daehyo49.tistory.com/7816739애기앉은부채(1)https://daehyo49.tistory.com/7809837애기앉은부채(2)https://daehyo49.tistory.com/7815148한국앉은부채(비공개자료)https://daehyo49.tistory.com/7813155 학명: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Symplocarpus koreanus J. S. Lee, S. H. Kim & S. C. Kim, sp. nov.2021년에 오른쪽으로 학명이 개칭되었다. 국명도 한국앉은부채가 되었다 분류: 천남성과(Araceae) 사진 : 2009.03.14 동속식물: 애기앉은부채 Sym..

천남성과 2025.04.22

창포

학명 : Acorus calamus L.분류 : 천남성과 (Araceae) 사진 : 2024.06.19 물향기수목원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베트남, 미국 / 한국(전역)생육환경▶햇볕이 잘 드는 30cm 미만의 얕은 물속이나 물가, 습지 등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잎의 길이가 70cm 정도이다.잎잎은 근경 끝에서 모여나기하며 길이 70cm, 나비 1-2cm로서 선형이고 나란히맥이 있으며 주맥이 뚜렷하고 대검같으나 밑부분이 서로 얼싸안으며 2줄로 나열된다.꽃꽃대는 잎과 같으나 약간 짧고 중앙부에 5cm 정도의 이삭꽃차례가 6-7월경에 비스듬히 옆으로 달린다. 꽃대축면에서 연한 황록색의 많은 꽃이 밀생하며 꽃은 양성이고 6개씩의 화피와 수술이 있다.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천남성과 2024.07.18

석창포(2)

석창포(2)https://daehyo49.tistory.com/7816231석창포(1)https://daehyo49.tistory.com/7808465  학명 : Acorus gramineus Sol. ex Aiton분류 : 천남성과 (Araceae)   사진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06.19 물향기수목원  무늬가 들어간(Variegatus) 품종이다      국생지 분포▶만주 등지에 분포한다.▶남부지방의 깊은 산, 내장산, 백양산, 진도, 제주특별자치도 등지에 분포한다.생육환경▶계곡내의 물가 바위에 주로 붙어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꽃대는 길이 10-30cm, 나비 3-5mm.잎잎은 근경 끝에서 모여나기하며 길이 30-50cm, 나비 2-8mm로서 ..

천남성과 2024.07.18

두루미천남성(2)

두루미천남성(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00 두루미천남성(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16 천남성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0429 학명: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분류: 천남성과(Araceae) 학명풀이: Arisaema: Arum(아랍어: 불을 뜻함)속(천남성과) + haima (blood) heterophyllum: 잎이 다른 사진 : 2023.05.29 의정부 민락동 무지렁이계곡 설명 잎 잎은 1개이며 엽병은 길고 소엽은 13~19개로 도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중앙부의 것은 길이 3~15cm, 나비 1~6cm이며 측소엽은 길이 10~25cm, 나비 2~..

천남성과 2023.06.07

천남성

천남성https://daehyo49.tistory.com/7815201둥근잎천남성(1)https://daehyo49.tistory.com/7807427둥근잎천남성(2)https://daehyo49.tistory.com/7807991천남성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429 학명 : Arisaema amurense Maxim. f. serratum (Nakai) Kitag.분류 : 천남성과 (Araceae) 사진 : 2023.05.22 관창리 화악산 잎은 1장이라 했으나 여기서는 2장이 보인다. 소엽은 각각 5장 이내이다. 아래 : 2024.04.27 청태산 국생지 분포한반도 전역해외분포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생육환경산지의 습한 응달..

천남성과 2023.06.04

애기앉은부채(2)

한국앉은부채(구명: 앉은부채)(1)https://daehyo49.tistory.com/7816739애기앉은부채(1)https://daehyo49.tistory.com/7809837애기앉은부채(2)https://daehyo49.tistory.com/7815148한국앉은부채(비공개자료)https://daehyo49.tistory.com/7813155 학명: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분류: 천남성과(Araceae)학명 풀이:학명풀이:Symplocarpus: 그리스어 symploke (combination) , karpos (fruit) 자방이 합쳐져 열매가 되는 것을 가리킴일어명: ヒメザゼンソウ 사진: 2023.04.30 선자령 아래 : 2024.06.22 선자령

천남성과 2023.05.13

섬남성(2)

섬남성(1)https://daehyo49.tistory.com/7809986섬남성(2)https://daehyo49.tistory.com/7815140무늬천남성 (천남성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429 학명: Arisaema takesimense Nakai분류: 천남성과(Araceae) 학명 풀이:Arisaema : Named refers to the plant's resemblance to the Arum family and haima (blood); referring to some species b0earing red blotches0takesimense: 독도의  사진  : 2023.04.20 여주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04.11 여주 황학..

천남성과 2023.05.09

대반하(1)

반하(1)(반하/대반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9654대반하(1)https://daehyo49.tistory.com/7811474지리반하(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475 학명: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분류: 천남성과 사진: 2017.06.17 부산                       아래 : 2023.11.10 세종식물원       아래 : 2024.03.29 물향기수목원     대반하는 살눈(주아)이 없고 정소엽이 광난형 -난상장타원형으로 폭이 넓다. 반하는 살눈(주아)이 있고 정소엽이 난상 타원형-선상 피침형이다.      아래 : 2024.06.26 광릉수목원      대반하는 ..

천남성과 2017.06.22

큰천남성

천남성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0429 학명 :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분류 : 천남성과(Araceae) 일어명 :ムサシアブミ(武蔵鐙) 중국어명 : 普陀南星 학명 풀이: Arisaema: Named refers to the plant's resemblance to the Arum family and haima (blood); referring to some species bearing red blotches ringens: open-mouthed, referring to a hole 사진: 2016.05.06 제주 비자림 아래: 2018.01.20 제주도 교래곶자왈 아래: 2018.04.05 제주도 거문오름 설명 잎 잎은 2..

천남성과 2017.03.08

무늬천남성(천남성속 종 검색표)

학명 : Arisaema thunbergii Blume 분류 : 천남성과(Araceae) 일어명 : ナンゴクウラシマソウ 사진: 2014.05.03 대마도 아래: 2014.05.05 대마도 비슷한 장소에서 찍은 아래 것도 무늬천남성으로 보인다. 아래: 160506 제주 비자림 아래: 2018.04.05 제주도 거문오름 참고자료 천남성속Arisaema 종 검색표 1. 화수부속체가 불염포 밖으로 길게 뻗고, 끝부분은 실모양이며 기부에 병이 없다. 엽서는 2/5이다 2. 위경이 엽병보다 훨씬 짧으며, 육수화서는 단성의 꽃으로 되어있고, 정소엽이 측소엽 보다 작지 않다. 화분립의 돌기 사이가 평활하다 ...................... 무늬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2. 위경이 엽병보다 길며..

천남성과 201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