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 484

당분취(새싹)

당분취(새싹)https://daehyo49.tistory.com/7816785당분취(2)https://daehyo49.tistory.com/7813983당분취(1)https://daehyo49.tistory.com/7808228 학명 : Saussurea tanakae Franch. & Sav. ex Maxim.분류 : 국화과 (Asteraceae) 사진 : 2025.04.25 황학산수목원 새싹에서는 당분취의 특징인 날개 있는 줄기가 형성되지 않아 동정이 어렵다.서덜취 새싹보다 당분취 새싹의 톱니가 더 날카로운 느낌을 준다( 치상거치) 국생지 분포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생육환경산지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50~100cm이다.잎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엽..

국화과 2025.05.06

담배풀(3)(추정)(담배풀과 좀담배풀 잎 구별)

담배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5414담배풀(1)(담배풀 종류 비교하기)https://daehyo49.tistory.com/7807574 학명 : Carpesium abrotanoides L.분류 : 국화과 (Asteraceae) 일어명 : ヤブタバコ(藪煙草 수연초)중국어명 : 天名精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yabutabako.html#google_vignette 사진 : 2024.04.27 청태산 담배풀과 좀담배풀은 근생엽 상태에서는 구별이 어려워 추정으로 올린다. 국생지 분포울릉도, 제주특별자치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생육환경▶산지나 숲 가에서 자란다.생육형2년생 초본이다.크기높이 50~10..

국화과 2025.04.19

백두산떡쑥(2)

백두산떡쑥(2)https://daehyo49.tistory.com/7816713백두산떡쑥(1)https://daehyo49.tistory.com/7813766질경이떡쑥https://daehyo49.tistory.com/7815862떡쑥 종류 속 분류https://daehyo49.tistory.com/7810450떡쑥속 식물 세분https://daehyo49.tistory.com/7810399 참조 사이트https://mikawanoyasou.org/data/ezonotitikogusa.htm 학명 : Antennaria dioica (L.) Gaertn.분류 : 국화과 (Asteraceae)중국어명 : 蝶须(접수)일어명 : エゾノチチコグサ(蝦夷の父子草) 사진 : 2024.04.30 평강식물원 ..

국화과 2025.04.12

서덜취(5)

서덜취(4) https://daehyo49.tistory.com/7813333 학명 : Saussurea grandifolia Maximowicz분류 : 국화과(Asteraceae) 사진 : 2024.04.19 파주 진동 서곡리 아래 것은 추정이다 사진 : 2023.03.17 천마산 아래 것은 추정이다 사진 : 2024.04.17 광덕산 아래 : 2024.04.27 청태산 국생지> 설명 잎근생엽은 개화시에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날개가 없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짧아지며 엽병은 길이 5~12cm이다. 줄기잎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3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10~1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

국화과 2025.04.08

흰민들레(2)

흰민들레(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6흰민들레(1)https://daehyo49.tistory.com/7807712흰민들레와 흰털민들레(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3592 학명 : Taraxacum coreanum Nakai분류 : 국화과 (Asteraceae) 사진 : 2023.03.16 용인 추계리 사진 : 2024.04.12 파주 군내 백연리 국생지 분포전국에 분포한다.생육환경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하고 생육한다.생육형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잎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거꿀피침모양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

국화과 2025.04.07

뻐꾹채(2)

뻐꾹채(2)https://daehyo49.tistory.com/7816656뻐꾹채(1)https://daehyo49.tistory.com/7807484  학명 : (신) Leuzea uniflora (L.) Holub/(구) Rhaponticum uniflorum (L.) DC.분류 : 국화과 (Asteraceae)일어명 : オオバナアザミ(大輪薊)중국어명 : 漏芦(누호) 사진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국생지 분포▶한국, 중국, 소련, 몽고에 분포한다.▶전국에 분포한다.생육환경▶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건조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산지의 능선부에 잘 적응하면서 자라는 것을 볼수 있다.▶토질은 가리지 않는 편이며, 사질양토에서 더 잘 자란다. 충분한 광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 생육..

국화과 2025.03.24

산솜다리(2)

산솜다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644산솜다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2348솜다리(2)(솜다리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252솜다리속 비교표와 세밀화https://daehyo49.tistory.com/7811973 학명 : Leontopodium leiolepis Nakai분류 : 국화과 (Asteraceae)일어명 : ミユキソウ(深雪草) 사진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솜다리는 꽃이 줄기의 잎이 피침형, (좁은)장타원형이지만 산솜다리는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이다. 아래 : 2025.04.25 황학산수목원 국생지 분포한국..

국화과 2025.03.21

산솜방망이(2)

산솜방망이(2)https://daehyo49.tistory.com/7816583산솜방망이(1)https://daehyo49.tistory.com/7807431바위솜나물(금강솜방망이)(2) (Tephroseris속 검색표](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094  학명 : Tephroseris flammea (Turcz. ex DC.) Holub분류 : 국화과 (Asteraceae)일어명 : タカネコウリンギク(高嶺紅輪菊)중국어명 : 红轮狗舌草 사진 : 2024.08.24 만항재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 몽골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선군, 태백시, 홍천군; 충청남도 홍성군; 전라남도 구례군, 순천시; 경상북도 봉화군; 제주특별자치도)생육환경▶햇볕이 잘드..

국화과 2025.03.03

쇠서나물(3)

쇠서나물(3)https://daehyo49.tistory.com/7816582쇠서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08685쇠서나물(1)https://daehyo49.tistory.com/7808099   학명 : Picris hieracioides L. subsp. japonica (Thunb.) Krylov분류 : 국화과 (Asteraceae) 사진 : 2024.08.24 만항재         국생지 분포▶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에 분포한다.▶전국에 분포한다.생육환경▶길가, 산비탈 풀밭에서 자란다.생육형두해살이풀이다.크기높이 90cm로 자란다.잎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뭉쳐나며 로제트형으로 벌어지고 엽병이 없거나 짧으며 엽신은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으로 둔두..

국화과 2025.03.03

뽀리뱅이(3)

뽀리뱅이(3)https://daehyo49.tistory.com/7816566뽀리뱅이(2)https://daehyo49.tistory.com/7808165뽀리뱅이(1)(뽀리뱅이 종류 검색표와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735개보리뺑이와 그늘보리뺑이 구분, 개보리뺑이 유사속 구분https://daehyo49.tistory.com/7811260긴꽃뽀리뱅이 https://daehyo49.tistory.com/7812412왕씀배 https://daehyo49.tistory.com/7808761    학명 : Youngia japonica (L.) DC.분류 : 국화과 (Asteraceae)일어명 : オニタビラコ(鬼田平子)중국어명 : 黄鹌菜(황암채)  사진 : 2024.08..

국화과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