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가리과(협죽도과) 27

흑박주가리

학명 : Vincetoxicum glabrum (Nakai) Kitag.분류 :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APG Ⅳ) 협죽도과 (Apocynaceae)일어명 : クロパナカモメズル 사진 : 2024.08.27 한라산      국생지 분포중국, 일본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생육환경산이나 들에 난다.생육형덩굴성 여러해살이풀크기길이 40-100cm잎잎은 마주나기하고 곧추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로서 덩굴박주가리에 비해 질이 다소 두껍고 난상 삼각형이며 암,수술대보다 약간 짧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2-4mm이다.꽃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검은 자주색이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산형으로 달리며 꽃대가 없고 꽃자루는 길..

솜아마존(3)

솜아마존(3)https://daehyo49.tistory.com/7816458솜아마존(2)https://daehyo49.tistory.com/7810629(검은)솜아마존(1)https://daehyo49.tistory.com/7807309  학명 : Vincetoxicum amplexicaule Siebold & Zucc./(구명)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 분류 :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APG Ⅳ) 협죽도과 (Apocynaceae)일어명 : ロクオンソウ(鹿苑草)중국어명 : 合掌消 참조 사이트https://ymkr-okurimono.sakura.ne.jp/plants/angiosperm/f20104_kyouchikutou/r..

큰조롱(3)

큰조롱(3) https://daehyo49.tistory.com/7815407 큰조롱(2) (큰조롱/하수오/나도하수오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458 큰조롱(1) (큰조롱과 쥐방울덩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8627 학명: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분류: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협죽도과(Apocynaceae) 학명 풀이: Cynanchum: 그리스어 kyon ‘dog’= ancho ‘to strangle’- 이 식물의 독성을 가리킴 wilfordii: 18세기 유럽의 식물학자 Charles Wilford 국명 이명: 은조롱, 하수오 일어명: コイケマ 영어명: Wilf..

민백미꽃

선백미꽃(1) (백미꽃 이름이 붙은 종들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856선백미꽃(2) (한국산 백미꽃속 Vincetoxic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49덩굴민백미꽃https://daehyo49.tistory.com/7812913덩굴민백미(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297백미꽃https://daehyo49.tistory.com/7815235백미꽃(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452민백미꽃https://daehyo49.tistory.com/7815236   학명: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

백미꽃

선백미꽃(1) (백미꽃 이름이 붙은 종들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856선백미꽃(2) (한국산 백미꽃속 Vincetoxic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49덩굴민백미꽃https://daehyo49.tistory.com/7812913덩굴민백미(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297백미꽃https://daehyo49.tistory.com/7815235백미꽃(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452민백미꽃https://daehyo49.tistory.com/7815236   학명: Cynanchum atratum Bunge이명: 아마존, 백미, 털백미, 털개백..

산해박(2)

산해박(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27 산해박(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67 학명: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분류: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학명 풀이: Cynanchum: 그리스어 kyon ‘개’ + ancho ‘질식시키다’ → 이 식뭃의 독성과 관련 paniculatum: 원추화서 일어명: スズサイゴ 영명: Paniculate Swal-lowwort 동속식물: - 사진 : 2023.05.19 강원 ** 아래 : 2023.06.02 파주 민통선 조사 아래 : 2023.06.20 남한산성 설명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끝이 예첨두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

덩굴박주가리(검색표)

학명 : Cynanchum nipponicum Matsum.분류 : 박주기리과(Asclepiadaceae)/ 협죽도과 (Apocynaceae)* 협죽도과의 박주가리아과(Asclepiadoideae)  보기도 한다  사진: 2020.07.09 경기도  ***   부화관은 예주의 기부에서 발생하며 예주 길이의 1/2 정도이고  기부가 연결되어 있다  화관은 자주색 또는 노란색이며 무모이다     아래 : 2023.06.22 무의도      아래 : 2024.07.15 무의도     아래 : 2024.09.10 무의도        Asclepiadoideae의 속 분류 1. 상록성 아관목; 화관은 통형; 화분괴는 직립형;     열매는 다육성이며 타원형   *화관은 단지형(urceolate) 또는 종형, 부화..

가는털백미(3)

가는털백미(3) https://daehyo49.tistory.com/7813177 가는털백미(2) https://daehyo49.tistory.com/7811591 가는털백미(1) https://daehyo49.tistory.com/7810740 학명: Cynanchum chinense R. Brown 분류: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학명 풀이: Cynanchum: From the Greek kyon (dog) and ancho (to strangle), referring to the plant's toxic qualities 중국어명 : 鹅绒藤(아융등) 사진 : 2021.08.28 인천시 아래 : 2023.07.17 검암역 아래 : 2023.09.10 검암역 설명 국생지, 한반도의 생물..

덩굴민백미꽃

선백미꽃(1) (백미꽃 이름이 붙은 종들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856 선백미꽃(2) (한국산 백미꽃속 Vincetoxic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449 덩굴민백미꽃 https://daehyo49.tistory.com/7812913 덩굴민백미(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2297 백미꽃 https://daehyo49.tistory.com/7815235 백미꽃(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2452 민백미꽃 https://daehyo49.tistory.com/7815236 학명 : Cynanchum japonicum Morr. & De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