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꽃과 30

달맞이꽃(2)

달맞이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705달맞이꽃(1)(달맞이꽃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842 학명 : Oenothera biennis L.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일어명 : メマツヨイグサ(雌待宵草)중국어명 ; 月见草 사진 : 2024.04.23 도봉구 중랑천 아래 : 2024.04.29 동두천 국생지 생육환경물가, 길가, 묵밭에 많이 난다.생육형두해살이풀크기높이 50~90cm이다.잎근엽은 로제트를 만들고 경엽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5~12m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직접 줄기에 달리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짙은 녹색이고 주맥은 희다.꽃꽃..

바늘꽃과 2025.04.09

개털이슬(2)

개털이슬(2)https://daehyo49.tistory.com/7816550개털이슬(1)(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187바늘꽃과 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78 학명 : Circaea alpina L. subsp. caulescens (Kom.) Tatew.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 사진 : 2024.04.27 청태산 사진 : 2024.05.25 태백산 개털이슬과 쥐털이슬은 잎이 삼각상난형, 붉은털이슬은 난형 내지 피침형이다 소화경과 줄기에 털이 있으면 개털이슬, 털이 없으면 쥐털이슬이다 아래 : 2024.08.27 한라산 국생지 분포한반도, 일본, 중국, 만..

바늘꽃과 2025.02.20

말털이슬(2)

말털이슬(2)https://daehyo49.tistory.com/7816453말털이슬(1)(말털이슬과 붉은털이슬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197털이슬 종류 구별(개털이슬)https://daehyo49.tistory.com/7810187    학명 : (국생지) Circaea lutetiana L. subsp. quadrisulcata (Maxim.) Asch. & Magnus(FOC) Circaea canadensis (L.) Hill subsp. quadrisulcata (Maxim.) Boufford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학명 풀이 Circaea: From the Greek Circe, the enchantress in Homer's Odysse..

바늘꽃과 2024.12.08

털이슬(2)

털이슬(2)https://daehyo49.tistory.com/7816326털이슬(1)https://daehyo49.tistory.com/7815415바늘꽃과 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78개털이슬(1)(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187  학명 : Circaea mollis Siebold & Zucc.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  사진 : 2024.07.27 영월 장릉 물무리골    아래 : 2024.09.28 죽령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 전국 각처.생육환경산의 숲 속에 난다. 어느 정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40-60cm잎잎은 마주나기하고 마디사이의 밑부분이..

바늘꽃과 2024.09.30

큰바늘꽃(2)

* 멸종위기 2급 큰바늘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5538 큰바늘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10233 바늘꽃과 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478 바늘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10219 [바늘꽃속 종 검색표] 학명 : Epilobium hirsutum L. 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 사진 : 2023.08.24 서울식물원 국생지 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속초시; 경상북도 울릉군, 청송군) 비고 ▶ 생육조건이 적합하고 안정된 곳에서는 무성적으로 급속히 퍼질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으..

바늘꽃과 2023.09.12

여뀌바늘(2)

여뀌바늘(2)https://daehyo49.tistory.com/7815522여뀌바늘(1)https://daehyo49.tistory.com/7808328 학명: (구) Ludwigia prostrata Roxb. (한국, FOC) /(신) Ludwigia epilobioides Maxim. 분류: 바늘꽃과(Onagraceae) 학명 풀이:Ludwigia: Christian Gottlieb Ludwig, 18th century professor of natural history and medicine (독일)prostrata: Prostrate중국어명 : 丁香蓼일어명: チョウジタデ(丁字蓼)  사진 : 2023.08.18 파주 노상리    아래 : 2023.08.25 파주 노상리       아래 : 202..

바늘꽃과 2023.09.05

털이슬(1)

털이슬(2)https://daehyo49.tistory.com/7816326털이슬(1)https://daehyo49.tistory.com/7815415바늘꽃과 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78개털이슬(1)(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187 학명 : Circaea mollis Siebold & Zucc.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   사진 : 2023.07.21 파주 읍내리   잎에는 잔털이 밀생한다 말털이슬의 잎은 가장자리에만  털이 있다     아래 : 2023.08.12 광릉수목원   털이슬은 줄기에 굽은 털이 밀생하고 말털이슬은 굽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 쇠털이슬은 줄기에 개출모와 선모가 있다      ..

바늘꽃과 2023.07.23

붉은털이슬 새잎

털이슬 종류 검색표 https://blog.daum.net/daehyo/7810187 학명 : Circaea erubescens Franch. & Sav. 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 사진 : 2020.05.02 석룡산 잎은 난형 또는 협난형이고 거치는 드물게 있다. 쥐털이슬은 잎이 삼가상난형이고 거치가 붉은털이슬보다 더 뚜렷하다 잎자루가 붉은색을 띤다 국생지 분포 한반도(북부,남부), 일본, 중국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산지 숲속, 골짜기 크기 높이 20~50c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길이 2~5cm)은 붉은 갈색을 띤다. 엽신은 달걀모양이거나 좁은달걀모양(길이 3~7cm, 너비 1.5~3.5cm)이며 끝부분은 급히 뾰족하고 밑부분은 거의 둥그스름하다. 잎가장자리에는 짧..

바늘꽃과 2022.08.09

가우라(나비바늘꽃)

학명 : Oenothera lindheimeri (Engelm. & A.Gray) W.L.Wagner & Hoch / Gaura lindheimeri Engelm. & A.Gray * 종전까지는 오른쪽 학명을 정명으로 하였으나 왼쪽으로 정명이 바뀌었다 분류 : 바늘꽃과 (Onagraceae) 원산지 : 북미 일어명 :ハクチョウソウ(白蝶草) 공원이나 식물원에서 아주 흔하게 접하는 식물이지만 국생지와 도감에선 종에 대한 설명이 없다 근생엽 모습이다 아래: 2020.06.18 노원구 아래 것은 紅蝶草라고도 부르나 같은 가우라이다 아래: 2020.10.23 인천드림파크 아래: 2021.06.30 방학동 중랑천 흰꽃 가우라(백접초) 붉은꽃 가우라(홍접초) 아래 : 2023.08.21 대부도 영어 위키 설명 Oen..

바늘꽃과 201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