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과 4

Curcuma sp.

학명 : Curcuma sp.분류 : 생강과(Zingiberaceae)  Curcuma속에는 Wikipedia에 130종을 수록하고 있어 아래 사진의 것은 어떤 종인지 알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울금(Curcuma aromatica)을 많이 재배하고 있고 강황(Curcuma longa)도 좀 알려져 있는 편이다  참조 : 강황과 울금의 학명과 구별 문제https://daehyo49.tistory.com/7808678https://en.wikipedia.org/wiki/Curcuma  사진 : 2024.10.05 안산식물원   Wikipedia 설명 Curcuma (/ˈkɜːrkjʊmə/)[3] is a genus of plants in the family Zingiberaceae that cont..

생강과 2024.11.14

양하(2)

양하(2) https://daehyo49.tistory.com/7812794 양하(1) https://daehyo49.tistory.com/7811275 생강과 양하 비교(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642 꽃양하(1)(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3512 학명 : Zingiber mioga (Thunb.) Roscoe 분류 : 생강과(Zingiberaceae) 사진: 2020.08.21 제주 양지공원 아래: 2020.08.23 제주도 절물휴양림 아래 : 2023.11.05 홍릉수목원 국생지 분포 남부의 사원 부근에서 재배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엽초가 원줄기처럼 자라서 높이 40-100cm로 되고 꽃대는 높이 5-15cm..

생강과 2020.09.20

양하(1)

양하(2) https://daehyo49.tistory.com/7812794 양하(1) https://daehyo49.tistory.com/7811275 생강과 양하 비교(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642 꽃양하(1)(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3512 학명: Zingiber mioga (Thunberg) Roscoe 분류: 생강과(Zingiberaceae) 일어명: ミョウガ(茗荷、蘘荷) 중국어명: 蘘荷 사진: 2016.05.06 제주 비자림 아래: 2017.07.10 제주 거문오름 FOC 설명 Zingiber mioga (Thunberg) Roscoe, Trans. Linn. Soc. London, Bot. 8: 348. ..

생강과 2017.03.07

강황과 울금의 학명과 구별 문제

참조 Curcuma sp.https://daehyo49.tistory.com/7816398 분류 : 생강과 (Zingiberaceae)   강황과 울금은 매우 비슷한 식물로  많이 혼동되고 있으며 학명도 혼란스럽다. 아래에 인터넷을 뒤져  찾아낸 자료들에 근거하여 이 두 종을 구별한다. 우선  생강과(Zingiberaceae)에 들어가는 Curcuma 속은  전세계적으로 약 80여종이나 있어 종의 동정이 쉽지 않으나 이곳에서는 우리나라에 잘 알려진  강황과 울금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따라서 이 두 종괴 비슷한 몇 개의 종들과의 구별은 전문가의 몫으로 맡긴다.  아래 서술한 내용에 따르면  서울 창동에서 찍은 아래 식물은 울금으로 소개되어 있지만 뿌리와 꽃이 없는 상태이기에  현재로서는 이름을 단정할 수 ..

생강과 2011.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