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Lemna perpusilla Torr.
분류: 천남성과(Araceae)/개구리밥과(Lemnaceae)
* APG Ⅱ system에서는 천남성과로 분류한다
학명 풀이:
Lemna: 소택지
perpusilla: 매우 작은
일어명: アオウキクサ
* 일어명 アオウキクサ로 표시되는 학명은 일본에서는 Lemna aoukikusa, Lemna paucicostata, Lemna perpusilla이다. 일본에서는 Lemna perpusilla를 더 세분해 보는 것 같다.
사진: 2012. 07. 25 김유정역
개구리밥 이름이 붙은 식물은 <국생정>에 2개과 5종이 등재되어 있다
개구리밥과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
분개구리밥 Wolffia arrhiza (L.) Wimm.
좀개구리밥 Lemna perpusilla Torr.
생이가래과:
**** 생이가래과는 양치식물이다.
물개구리밥 Azolla imbricata (Roxb.) Nakai
큰물개구리밥 Azolla japonica Franch. & Sav.
개구리밥과 식물은 3속 3종이 있으며 아래와 같이 구별한다.
1. 잎에 뿌리와 엽맥 없다 ...................................................... 분개구리밥속(Wolffia)
1. 잎에 뿌리와 엽맥이 있다
2. 한 개의 잎에 뿌리 1개, 엽맥은 3개 .................................. 좀개구리밥속(Lemna)
2. 한 개의 잎에 뿌리는 여러 개, 엽맥은 5-11개 ..................... 개구리밥속(Spirodela)
.
좀개구리밥에 대한 <국생정> 설명
잎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띤다.
열매
엽상체의 뒷면 좌우에서는 각각 1개씩의 낭체(囊體)가 자라 모체와 더불어 물 위에 떠있다.
꽃
꽃은 백색이며 8월에 엽상체 옆에서 피고 꽃에는 1개의 포가 있으며 그 속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있다. 수꽃은 1개의 수술로 되고 꽃밥은 4실이며 암꽃은 1개의 암술뿐이고 수꽃과 더불어 화피가 없다.
줄기
식물체는 잎처럼 생긴 도란상 넓은 타원형이고 줄기는 길이 3-5mm, 나비 2-4mm로서 양끝이 둥글며 끝 가까이에 1개의 돌기가 있고 3맥이 있으며 대가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없다.
뿌리
뒷면 중앙에는 관다발이 없는 1개의 뿌리가 있어 길이 3-4cm이며 백색이고 가늘며 뿌리 끝에 있는 뿌리골무는 끝이 둔하다.
원산지
한국
분포
▶극지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자란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수생 여러해살이풀이다.
크기
줄기의 길이 3-5mm, 나비 2-4mm.
생육환경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꽃/번식방법
늦가을에 엽상체에서 원형의 겨울눈이 생겨 모체에서 떨어져, 물밑에 잠겨 월동한다.
이용방안
▶전초를 浮萍(부평)이라 하며 약용한다.
좀개구리밥의 세밀한 구조 살필 수 있는 사이트
http://waynesword.palomar.edu/imglepe.htm
기타 참조 사이트
http://mikawanoyasou.org/data/aoukikusa.htm
http://luirig.altervista.org/schedenam/fnam.php?taxon=Lemna+perpusilla
국내분포 좀개구리밥의 3 유형
출처:
제 60회 전국과학전람회
김영신, 남경아- 초소형 꽃 식물인 한국산 개구리밥과 5종의 복합세대 한살이 과정 연구 및 교육적 활용
'개구리밥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좀개구리밥? (0) | 2017.05.30 |
---|---|
개구리밥(개구리밥 종류 구별) (0) | 201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