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속Aconitum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8765
학명: Aconitum koreanum R.Raymund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Aconitum: Unconquerable poison
국명 이명: 노랑돌쩌귀, 노랑바꽃
사진: 2014.04.26 영월
아래: 2014.09.20 제천
아래: 2016.09.07 경기 ****
줄기는 직립 또는 橫臥하거나 포복성이며, 덩굴성이 아니다
아래 : 2022.10.20 남한산성
소화경 표면에는 소화경 위쪽을 향해 굽은털이 밀생한다.
한라돌쩌귀는 소화경 표면에는 소화경 아래쪽을 향해 굽은털이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설명
잎
잎은 호생하고 길이 10cm에 이르는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며 길이 1-2cm이고 털이 없으며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어 뾰족하다. 종자는 세모진 타원형이며 매끄럽고 길이 4mm 정도이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황색 또는 황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줄기 상부 또는 그 부근의 엽액에서 7-8개가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0.5-4mm로 짧으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중부에 선상포엽이 2개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쪽의 것은 고깔 같으며 앞이마쪽이 나와 있고 옆의 것은 거의 둥글며 옆으로 서고 밑부분의 2개는 비스듬히 밑으로 퍼진다. 꽃잎은 2개로서 길게 자라 뒤쪽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3개로서 털이 없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서며 화서 이외에는 털이 없다.
뿌리
마늘쪽같은 뿌리가 2개 간혹 3개씩 발달한다.
원산지
한국,만주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1m에 이른다.
생육환경
▶생육지는 지형적으로 산복부나 능선지역이며, 토양은 약간 건조한 곳이다.
이용방안
▶塊根(괴근)을 白附子(백부자)라 하며 약용한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미나리아재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대으아리(2) (0) | 2014.08.11 |
---|---|
털개구리미나리 (0) | 2014.07.30 |
개버무리(1) (0) | 2014.05.10 |
동의나물(곰취/곤달비/동의나물 비교) (0) | 2014.05.07 |
남바람꽃(남방바람꽃) (0) | 201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