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조릿대풀 http://blog.daum.net/daehyo/7812548
학명: Lophatherum gracile Brongn.
분류: 벼과(Gramineae)
학명 풀이:
분류 : 벼과(Poaceae)/ 조릿대풀아과 Centothecoideae /조릿대풀족 Centotheceae/조릿대풀속 Lophatherum
학명 풀이
Lophatherum: Lophos(닭벼슬) + ather(생선의 가시)
gracile: graceful, slender
일어명 : ササクサ
사진: 2014.09.13 완도
화서는 소수 간격이 엉성하게 벌어져 있고 소수는 원통상의 피침형이다
(털조릿대풀은 소수 간격이 촘촘하며 소수는 난형 내지 협난형이다)
조릿대풀 참고 사이트
http://matsue-hana.com/hana/sasakusa.html
http://mikawanoyasou.org/data/sasakusa.htm
FOC 세밀화
출처
http://www.efloras.org/object_page.aspx?object_id=95388&flora_id=2
동속식물: 털조릿대풀 Lophatherum sinense Rendle
한국식물도해도감 1 벼과 세밀화
소수는 원통상의 피침형이다. 털조릿대풀은 소수가 난형- 협난형이다
일본벼과식물도보 세밀화
불임소화의 호영의 까락은 소수 끝에 모여 '닭벼슬 모양을 하고 있으며 까락에는 하향의 자침이 있다'
(속명 Lophatherum의 유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설명
잎
잎은 화경(花莖)의 중앙 이하에 5-6개가 2줄로 달리고 편평하며 길이 10-30cm, 나비 2-5cm로서 밑부분이 둥글고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어 엽초에 붙으며 밝은 녹색이다. 엽초는 털이 없거나 윗부분에만 털이 있고 엽설은 짧다.
꽃
꽃은 8-10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0-30cm이고 가지는 1-2개씩 옆으로 퍼지며 소수는 한쪽에만 달린다. 소수는 길이 7-8mm로서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고 밑부분에 속모가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3.5mm정도이며 둘째 포영은 길이 4mm정도이고, 첫째 호영은 길이 6mm정도로서 짧은 까락과 5맥이 있다. 윗부분의 호영은 퇴화되어 영만 남으며 모두 까락이 있고 까락에는 밑을 향한 잔돌기가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2개의 능선이 있고 수술은 2개이다.
줄기
총생하며 높이 40-80cm이고 곧게 자란다.
뿌리
근경은 목질이며 사방으로 퍼진 수염뿌리에 황백색의 괴근이 달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는 40-80㎝.
생육 환경
▶숲 속에 자란다.
이용방안
▶全草(전초)를 淡竹葉(담죽엽), 根莖(근경) 및 塊根(괴근)은 碎骨子(쇄골자)라 하며 약용한다
FOC 설명
Lophatherum gracile Brongniart in Duperrey, Voy. Monde. 2: 50. 1831.
淡竹叶 dan zhu ye
(학명 이명)
Acroelytrum japonicum Steudel; Lophatherum annulatum Franchet & Savatier; L. elatum Zollinger & Moritzi; L. gracile var. elatum (Zollinger & Moritzi) Hackel; L. gracile var. pilo-sulum (Steudel) Hackel; L. humile Miquel; L. japonicum (Steudel) Steudel; L. lehmannii Nees ex Steudel; L. multiflorum Steudel; L. pilosulum Steudel; L. zeylanicum J. D. Hooker.
(설명)
Culms tufted from a knotty rootstock, slender, stiffly erect, 60–150 cm tall. Leaf sheaths glabrous or pilose; leaf blades lanceolate, 5–30 × 2–5 cm, glabrous or with long hairs on both surfaces, base rounded to a 8–12 mm pseudopetiole; ligule brown, hispid on backside. Inflorescence 10–25 cm; racemes few, 5–10 cm, loosely spiculate, erect at first with appressed spikelets, later obliquely spreading and spikelets patent; pedicels short, thick. Spikelets narrowly lanceolate, subterete, 7–12 mm, base glabrous or hairy; glumes ovate, rounded on back, subleathery with membranous margins; lower glume 3–4.5 mm, 5-veined, glabrous or stiffly hairy near margins and apex; upper glume ca. 5 mm, 5–7-veined, glabrous; lemma of fertile floret oblong with straight back, not keeled, 6–7 mm; palea lanceolate, hyaline; awn of fertile and sterile lemmas 1.5–2 mm. Fl. and fr. Jun–Sep. 2n = 48*.
(생육지와 분포)
Shady slopes, roadsides and in moist forests. Anhui, Fujian, Guangdong, Guangxi, Guizhou, Hainan, Hubei, Hunan, Jiangsu, Jiangxi, Sichuan, Taiwan, Yunnan, Zhejiang [Cambodia, India, Indonesia, Japan, S Korea, Malaysia, Myanmar, Nepal, New Guinea, Philippines,
Sri Lanka, Thailand, Vietnam; Australia (Queensland), Pacific Islands (Polynesia)].
(기타)
This species i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The leaves are reminiscent of those of bamboos. The barbed awns catch in the fur of passing animals, effecting dispersal of the spikelet.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256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