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왕포아풀

대효0617 2015. 5. 23. 09:15

 

 

포아풀속 종 검색표와 비교표 http://blog.daum.net/daehyo/7812002

왕포아풀과 좀포아풀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10875 

 

학명: Poa pratensis L.

분류: 벼과(Gramineae)

학명 풀이: Referring to a meadow

일어명 : ナガバグサ

영명 : Kentucky Bluegrass

 

 

 

사진: 2015.05.16 중랑천

 

 

동정 포인트: 지하경이 길다. 줄기의 마디는  2-3(-4)개; 가는포아풀과 달리 엽신 표면과 엽초에 털이 없다;

엽초에 비해 엽신이 짧아 1/2 이하이다. 생육지는 들판의 풀밭이다

 

호영 기부에 기모가 뚜렷하다. 유사종인 좀포아풀은 호영 기부에 기모가 없거나 거의 없다

 

 

 

 

 

 

 

 

 

 

 

 

아래: 2016.04.17 강화도

 

 

 

 

 

아래: 2020.06.22 월미도

 

 

 

 

 

 

 

 

 

 

세밀화

 

 

아래: 2021.04.27 도봉구

 

줄기의 마디는 2-3(-4)개이다. 유사종인 좀포아풀의 마디는 5개이다

 

맹 위 엽신에서 엽초는 1/3-2/5가 막혀 있다. 최상위 엽신 길이가 타종에 비해 짧다

 

줄기는 약간 둥글거나 다소 눌린 모양이다., 유사종인 좀포아풀은 줄기가 납작하다

 

엽설은 절두로 0.9-1.3mm (한국식물도해도감;  뱌과.사초과 생태도감에서는 0.5-4mm)

 

 

mm(

 

 

 

아래 : 2020.04.09 장소 미상

 

 

 

긴 지하경이 있는 종들 : 가는잎포아풀, 왕포아풀, 선포아풀, 좀포아풀, 섬포아풀(울릉포아풀) 

 

 

엽설은 절두로 0.5-4mm이다. 위 사진에선 약 1.5mm정도로 보인다   

 

 

 

상위 엽신은 엽초부에 비해 길이가 짧다

 

 

 

화서 가지는 마디에 4-6개이다

 

 

줄기는 둥근 편이다. 줄기가 납작한 종은 마디포아풀,   실포아풀,   큰꾸러미풀,  좀포아풀,  가는포아풀의 5종이다  

소수는 가지의 끝 1/3-2/3 부근에 7-18개의 소수가 달린다

 

 

 

호영 기반과 호영 등의 밑에서부터 3/4까지 털이 있다 

 

 

 

 

아래 : 2023.05.17 상록수역

 

 

 

 

 

 

 

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설명

잎은 편평하거나 다소 오그라들며 길이 7-20cm, 폭 2~4mm로서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절두로서 길이 1-2mm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8-15cm로서 좁은 난형이며 곧추서고 가지가 2-5개씩 반윤생하며 옆으로 넓게 퍼지고 잔돌기가 있으며 잔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잔이삭은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3-5개의 꽃이 들어 있고 까락이 없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첫째 것은 길이 1.5-2mm로서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2-2.5mm이며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중륵이 뚜렷하며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고 밑부분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 3mm정도로서 능각부에 잔돌기가 있으며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0.8-1.2mm이다.

 

줄기

높이가 30-80cm에 달하고 총생하며 곧게 선다.

 

뿌리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퍼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는 30~80cm이다.

생육 환경

산기슭이나 평지의 길가,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흔하게 자란다.

 

FOC 설명

 

Poa pratensis subsp. pratensis

草地早熟禾(原亚种) cao di zao shu he (yuan ya zhong)

(학명 이명)

Poa angustiglumis Roshevitz; P. pratensis [unranked] anceps Gaudin; P. pratensis var. anceps (Gaudin) Grisebach; P. viridula Palibin.

(설명)

Plants green or pale green, often forming turf, strongly rhizomatous; shoots extra- and intravaginal. Culms (15)2080(120) cm, few to several per tuft, erect, nodes 24. Leaf sheaths smooth or retrorsely scabrid, lower ones longer than internodes, usually distinctly longer than blade, uppermost to 20 cm; blades flat, moderately papery to thickly papery, 210 cm × 24(5) mm, surfaces smooth or adaxial surface and margins sparsely scabrid, abaxially glabrous or less often sparsely pubescent, of tillers flat and folded or all flat with margins inrolled or not, papery to thickly papery, to 45 cm × 14(5) mm; ligules 14(5) mm, abaxially scabrid. Panicle loosely contracted to open, oblong to broadly pyramidal, 520(25) × 35(10) cm; branches spreading, straight or flexuous and slightly lax, 37(9) per node, smooth or scabrid, longest 510 cm with 310(18) spikelets in distal 1/2. Spikelets ovate, frequently purple tinged, 47(9) mm, florets 35(8); glumes ovate to lanceolate (narrowly lanceolate), apex acute to acuminate, keel distally scabrid, lower glume 1.53(4) mm, 1- or 3-veined, upper glume 23(5) mm, 3-veined; lemmas ovate to lanceolate 2.54(5) mm, apex slightly obtuse to acute, keel villous for 3/4 of length, marginal veins for 1/2 length, intermediate veins glabrous; palea smooth or minutely bumpy, rarely with a few hooks between keels, keels scabrid. Anthers (1.2)1.52.2(2.8) mm. Fl. MayJun, fr. JulSep. 2n = 28, 35, 42, 49, 50, 52, 56, 58, 63, 64, 66, 70, 77, 84, 91, 98, 105, 112, 119, 126, 133, 140.

(생육지와 분포)

Moist meadows, sandy places, grassy slopes; 5004000 m. Anhui, Gansu, Guizhou, Hebei, Heilongjiang, Henan, Hubei, Jiangsu, Jiangxi, Jilin, Liaoning, Nei Mongol, Qinghai,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Xinjiang, Xizang, Yunnan [Afghanistan, Bhutan, India, Indonesia, Japan, Kazakhstan, Korea, Kyrgyzstan, Mongolia, Myanmar, Nepal, New Guinea, Pakistan, Russia (Far East, Siberia), Sri Lanka, Tajikistan, Turkmenistan, Uzbekistan; Africa, SW Asia, Australia, Europe, North America, Pacific Islands, South America].

 

The race is widely cultivated for forage, soil stabilization, and lawns. It is probably also native to China. Cultivated, soft-leaved plants are sometimes called subsp. irrigata (Lindman) H. Lindberg, but such cultivated plants are not readily classified. Poa pratensis subsp. irrigata was reported from Xinjiang in FRPS (9(2): 194. 2002, as P. irrigata Lindman), but, while it is potentially present there, no authentic material has been seen by us. It was mapped for the Russian Far East only from the Commander Isles by Probatova (in Tzvelev, Sosud. Rast. Sovetsk. Dal'nego Vostoka 1: 279. 1985).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2424491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수참새그령(1)  (0) 2015.06.12
좀새그령  (0) 2015.06.12
숲개밀(숲개밀속 종 검색표와 상위 분류군 )  (0) 2014.12.27
꼬리새  (0) 2014.12.06
돌피(2)(돌피 하위 분류군 검색표)  (0) 201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