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포편이 두화보다 짧은 종들은 개수염, 좀개수염, 큰개수염 3종을 제외한 넓은잎개수염, 장흥곡정초, 곡정초, 검은개수염, 검은곡정초, 애기곡정초 이상 6종이다
개수염(1)(총포편이 두화보다 긴 곡정초 종류들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2305
총포편이 두화보다 짧은 곡정초 종류들 비교[검은개수염(1)]
https://daehyo49.tistory.com/7811079
초속 검색표(국내 논문, 2002년)[넓은잎개수염(1)]
https://daehyo49.tistory.com//7811654
검은개수염(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073
곡정초 종류는 미세한 구조를 살펴야 하는데 사전 지식이 빈약한 가운데 사진을 찍어서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
학명: Eriocaulon parvum Körnicke in Miquel
분류: 곡정초과(Eriocaulaceae)
일어명: クロホシクサ
중국어명: 朝日谷精草
사진: 2016.07.30 백두산 근처:
아래: 2020.10.26 태안
아래쪽 3개의 사진은 정귀동님이 제공하신 사진들이다.
자방이 3심피이다(오른쪽 사진)
검은개수염은 곡정초와 종자가 가장 작은 유형으로 크기 0.5 X 0.3mm이다.
곡정초는 0.4-0.5 X 0.3mm로 광타원형이다
아래는 우리나라에 분포한다고 국생지에 등재되어 있는 종들 중 FOC에도 기재되어 있는 종들로 총포가 두화보다 짧은 종들이다. 총포가 두화보다 긴 종들의 비교는 http://blog.daum.net/daehyo/781230 참조
Eriocaulon | 넓은잎개수염 | 장흥개수염 | 곡정초 | 검은개수염 | |
공통점 | 총포가 두화보다 짧은 종들이다 | ||||
학명 중국어명 일어명 |
alpestre 高山谷精草 ヒロハノイヌノヒゲ (広葉犬髭) |
buergerianum 谷精草 オオホシクサ (大星草) |
cinereum 白药谷精草 ホシクサ (星草) |
parvum 朝日谷精草 クロホシクサ (黒星草) |
|
화탁 | 무모 | 백색 장모 밀생 | 융모 때로는 무모 | 밀모 | |
두화 | 형태 | 반구형-도원추형 | 반구형 | 난상구형 | 구형 |
색 | 오갈색 | 백색 또는 엷은 황갈색 |
白色〜汚白色 *때로는 화포와 꽃받침이 검은색을 띠기도 한다 (흑화형) |
흑색 (화포, 자화, 웅화 거의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띤다) |
|
총포 | 색 | 황록색 | 淡色 | 옅은 녹황색- 옅은 검은색 |
|
털 | 무모 | 무모 | 무모 | ? | |
화포(웅, 자화) |
무모 (뒷면 선단에 단모) |
뒷면 선단에 곤봉상 백모 |
무모, 때로는 뒷면 융모 |
흑색 | |
웅화 | 꽃받침 | 1개, 선단 3열, 무모 |
1개, 선단 3열.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 |
1개, 선단 3열, 무모 또는 뒷면 융모 |
1개, 선단 3열.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 |
꽃잎 | 1개, 선단 3열. 선단에 흑색 腺 |
1개, 선단 3열,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과 흑색 腺 |
1개, 선단 3중열, |
1개 선단 3중열,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과 흑색 腺 |
|
약 | 흑색 | 흑색 | 백색 | 흑색 | |
자화 | 꽃받침 | 1개, 선단 3천열, 무모 |
1개, 선단 3천열,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 |
2-3개 (선형, 이생); 뒷면과 가장자리에 융모 소생 |
3개 (이생) 흑색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 |
꽃잎 | 3개, 표면에 장모 소생, 선단은 무모- 단모 약간 |
3개, 표면에 융모 |
없다 대신 화포가 3개이다 |
3개, 선단에 백색 곤봉상 털과 흑색 腺 |
|
종자 (6각상의 망목을 공유) |
장타원형- 협난형 | 장티원형 | 광타원형-난형; 투명한 갈색 내지 담갈색 |
타원형, 담황색. 망목의 능 위에 유두상의 돌기가 빗살처럼 배치 |
위의 비교표는 FOC와 일본 인터넷을 함께 참조하여 만들었다,
넓은잎개수염의 학명은 국내에서는 종전까지는 E. robustius를 썼으나 새로 나온 한국의 들꽃(돌베개, 2018년)에서는 E. alpestre를 적용하였다. 일본 인터넷에서는 E. alpestre를 적용한 곳과 E. robustius를 적용한 곳이 함께 있다 FOC에서는 E. alpestre와 E. robustius를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1. Leaf veins 12--20;
heads turbinate(반구형 내지 도원추형으로 번역);
seed prickles 1 or 2(--4) per cell
............................. E. alpestre(高山谷精草)
1. Leaf veins 7--12;
heads subglobose(아구형);
seed prickles 2--4 per cell
............................. E, robustius(宽叶谷精草)
아래는 중국인터넷에서 퍼온 E, robustius릐 사진이다
출처: http://www.plantphoto.cn/sp/34882
세밀화로 본 두 종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왼쪽이 E. alpestre, 오른쪽이 E. robustius(총포편이 약간 밑으로 처진다)
출처: http://www.efloras.org/object_page.aspx?object_id=60514&flora_id=2
그러나 E. robustius에 대한 FOC의 보충 설명에는 이 종을 E. alpestre의 이명으로 보는 학자도 있는 모양이다
국표식 등재 곡정초속 (학명이 잘못된 곳이 있으니 정명은 http://blog.daum.net/daehyo/7811654 참조)
Eriocaulon glaberrimum var. platypetalum (Satake) Satake 제주검정곡정초
Eriocaulon miquelianum Korn. 개수염
Eriocaulon hondoense Satake 큰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좀개수염
Eriocaulon cauliferum Makino 가지곡정초
Eriocaulon atrum Nakai 검은곡정초
Eriocaulon latipetalum Y.C.Oh & C.S.Heo 넓은꽃잎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실개수염
Eriocaulon buergerianum Koern. 장흥곡정초
Eriocaulon sikokianum Maxim. 흰개수염
Eriocaulon sieboldianum Siebold & Zucc. 곡정초 (학명은 위 참조)
)Eriocaulon robustius (Maxim.) Makino 넓은잎개수염
Eriocaulon parvum Korn. 검은개수염
FOC 설명
Eriocaulon parvum Körnicke in Miquel, Ann. Mus. Bot. Lugduno-Batavi. 3: 163. 1867.
朝日谷精草 chao ri gu jing cao
Leaves lanceolate, ca. 2.3 cm × 1--2 mm, glabrous, veins 6--8, apex acute. Scapes 5--23, 6--13 cm, 5- or 6-ribbed; sheath 2--2.3 cm; receptacle densely villous; heads blackish, 3--4 mm in diam.; involucral bracts straw-colored, obovate-oblanceolate, ca. 1.8 × 0.2--1.2 mm, apex obtuse; floral bracts blackish, obovate-oblanceolate, 1.8--2 × ca. 0.7 mm, hoary toward acute apex. Male flowers: sepals 3, spathelike, flat, ca. 1.5 mm, apex hairy, 3-lobed, lobes ovate; petals 3, lanceolate, hairy at apex, gland black; stamens 6, anthers black. Female flowers: sepals 3, blackish, free, ca. 1.2 × 0.7 mm, flat, hoary toward acuminate apex; petals 3, oblanceolate, ca. 2 × 0.2 mm, pilose, gland black. Seeds dark brownish, ellipsoid, 0.4--0.5 mm; testa reticulate, cells transversely elongate, prickles 3--5 per cell, linear. Fl. and fr. Sep--Nov.
Rice fields. Guangxi [Japan, Korea].
'곡정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정초(1) (곡정초 종류 특징 비교표) (0) | 2018.12.15 |
---|---|
개수염(1)(총포편이 두화보다 긴 곡정초 종류들 비교) (0) | 2018.11.25 |
넓은잎개수염(1) (곡정초속Eriocaulon 검색표) (0) | 2017.09.30 |
장흥곡정초 추정 (0) | 2014.08.10 |
곡정초 종류(Eriocaulon sp.) (0) | 201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