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Orostachys margaritifolius Y.N.Lee
분류 : 돌나물과(Crassulaceae)
사진: 2017.06.17 경남 **
아래 : 2022.08.02 광릉수목원
잎의 선단과 가장자리가 자주색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잎
잎은 로제트 모양으로 조밀하게 늘어서고, 화서가 모두 성숙한 뒤에도 남아 있으며, 주걱 모양이고, 끝은 가시 모양이다. 길이 1~3.5cm, 너비 0.5~1.5cm이다 녹색바탕에 끝과 가장자리는 자주색이다.
꽃
꽃은 1개씩 달리고, 화서의 길이는 5cm정도이다. 꽃자루는 매우 짧고, 소포는 피침형이다. 길이 1.5~2.5mm, 너비 0.3~0.5mm이다. 꽃받침은 5갈래, 녹색이고, 끝이 자주색이다. 길이 4mm정도이다. 꽃잎은 5장, 유백색이고,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7~7.5mm, 너비 1.5~2mm이다. 암술은 5개, 유백색이고, 길이 5~5.5mm, 수술은 10개, 꽃밥이 자주색이다.
줄기
줄기는 가지를 치지 않는다.
분포
한국(경남 진주, 지리산)
형태
겨울눈으로 월동하는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5.5cm정도 이다.
생육환경
산지의 암석 위에 난다
'돌나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의비름(2) (0) | 2017.09.11 |
---|---|
정선바위솔 (0) | 2017.06.30 |
바위솔 (바위솔속 검색표) (0) | 2017.06.28 |
가는기린초(1) (기린초/가는기린초/큰기린초 구별) (0) | 2016.09.25 |
가는기린초 (2) (광의의 돌나물속Sedum 종 검색표/비교표) (0) | 201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