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과

쥐깨풀(1)

대효0617 2020. 11. 2. 07:04

들깨풀, 쥐깨풀을 함께 묶어 올렸던 것을 분리시켰다

 

쥐깨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2856

들깨풀 종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7473

 

 

학명 : Mosla dianthera (Buchanan-Hamilton ex Roxburgh) Maximowicz

분류 : Lamiaceae

중국어명 : 小鱼荠苎(소어제저)

일어명 : ヒメジソ姫紫蘇

 

참조 사이트 matsue-hana.com/hana/himejiso.html

mikawanoyasou.org/data/himejiso.htm 

 

 

 

 

꽃받침 끝이 무디고 포가 소화경보다 짧은 것,

그리고 꽃받침과 꽃줄기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꽃차례 바로 밑의 잎도 짧지만 잎자루가 있다

 

 

잎의 톱니는 4쌍 이하인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쥐깨풀로 생각하고 찍은 것인데 꽃받침 하순의 톱니 끝이 날카롭다.

그러나  사진상으로는 희미하지만
꽃받침 상순의 3치는 얕게 갈라진 것을 볼 수 있다

 

 

 

꽃은 들깨풀꽃보다 작다.

 

 

아래 사진: 2012.10.11 ***

 

 

 

 

 

 

 

 

아래 사진: 2012.09.22 수원칠보산

 

 

 

 

 

 

 

 

 

 

 

 

 

아래: 2019.10.23 무의도

 

 

 

 

 

아래: 2020.10.26 태안

 

종자 크기는 1-1.6mm이고 성긴 망맥이 있다. 모눈 크기 2mm

 

 

아래 : 2021.10.12 철원 고석정

 

 

 

Mosla속은 꽃받침이 상순 3치, 하순 2치로 되는데

쥐깨풀은 상순의 3치가 얕게 파이고 악치가 넓은 각도를 이룬다

하순의 2치는 깊게 파이고 선형에 가깝다

들깨풀은  상순의 3치가 깊게 파이고 악치가 좁은 각도를 이룬다

 

 

 

 

아래 : 2023.09.06 고대산

 

 

 

 

 

 

아래 :  2023.09.01 파주 노상리

 

 

쥐깨풀 잎의 톱니는 크고 대체로 5쌍 이내이다

들깨풀 잎의 톱니는 비교적 잘고 6-13쌍이다.  

 

 

 

아래 : 2024.09.02 연천

 

아래 것도 악편이 날카롭다

 

 

 

 

아래 : 2024.09.07 연천 통현리

 

 

 

Mosla속은 꽃받침이 상순은 3열로 아래로 젖혀지고, 하순은 2열로 직립한다

쥐깨풀은 상순 3열은 얕게 갈라지면서 열편 기부가 폭이 넓고

하순 2열은 좀 깊이 갈라지면 폭이 좁다

 

 

 

아래 : 2024.09.16 무의도

 

 

 

 

 

 

 

 

 

 

국생지

 

 분포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 말레이시아에 분포한다.

생육환경

원야

생육형

한해살이풀

크기

높이 20~60cm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4각상 달걀모양으로 길이 2~4cm, 나비 1~2.5c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거의 털이 없거나 표면에 압모가 산생하고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꽃은 7~9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2~4mm이고 포는 피침형이다. 꽃받침은 5열하고 과시에 잔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순형이고 수술은 둘긴수술이다.

열매

과실은 분과로 난원형이다.

줄기

줄기는 곧추 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능상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고 마디에는 흰색 털이 있다.

 

 

 

Mosla dianthera (Buchanan-Hamilton ex Roxburgh) Maximowicz, Bull. Acad. Imp. Sci. Saint-Pétersbourg. 20: 457. 1875.

小鱼荠苎 xiao yu xian cao

(학명 이명)

Lycopus dianthera Buchanan-Hamilton ex Roxburgh, Fl. Ind. 1: 144. 1820; Cunila nepalensis D. Don; Hedeoma nepalensis (D. Don) Bentham; Melissa nepalensis (D. Don) Bentham; Mosla ocimoides Buchanan-Hamilton ex Bentham; Mosla remotiflora Sun; Orthodon diantherus (Buchanan-Hamilton ex Roxburgh) Handel-Mazzetti; O. punctatum (Thunberg) Kudo var. tetrantherus Handel-Mazzetti.

(설명)

Stems to 1 m, subglabrous, much branched. Petiole 0.3-1.8 cm, adaxially puberulent; leaf blade ovate-lanceolate to rhombic-lanceolate, 1.2-3.5 × 0.5-1.8 cm, papery, adaxially glabrous or subglabrous, abaxially gray, glabrous, sparsely impressed glandular, base attenuate, margin remotely acute serrate, apex acuminate to acute. Racemes numerous, 3-15 cm; bracts needlelike to linear-lanceolate, subglabrous, base broadly cuneate, apex acuminate, to 1 mm, rarely to 4 mm in fruit; rachis subglabrous. Pedicel ca. 1 mm, to 4 mm in fruit, finely puberulent. Calyx ca. 2 × 2-2.6 mm, dilated to ca. 3.5 × 4 mm in fruit, veins minutely hispid; upper lip reflexed, teeth ovate-triangular, middle tooth shorter than lateral; lower lip erect, teeth to slightly longer than upper lip. Corolla purplish, 4-5 mm, puberulent, inside obscurely hairy annulate or without hairy annulus. Nutlets gray-brown, subglobose, 1-1.6 mm in diam., loosely netted. Fl. and fr. May-Nov.

(생육지와 분포)

Hills, near water; 200-2300 m. Fujian, Guangdong, Guangxi, Guizhou, Hubei, Hunan, Jiangsu, Jiangxi, Shaanxi, Sichuan, Taiwan, Yunnan, Zhejiang [Bhutan, India, Japan, Malaysia, Myanmar, Nepal, Pakistan, Vietnam]

(이용)

Used medicinally.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19860

 

......................

아래는 퍼온 자료

 

 

 

왼쪽  들깨풀 오른쪽 쥐깨풀 

 

 

 

쥐깨풀 꽃받침

 

 

사진 출처 

 

https://mikawanoyasou.org/data/inukoujyu.htm

https://matsue-hana.com/hana/himejiso.html

 

 

 

 

 

 

 

 

 

 

'꿀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황금  (0) 2021.09.05
물꼬리풀(1)(물꼬리풀과 전주물꼬리풀 비교)  (0) 2020.12.09
흰꽃향유  (0) 2020.10.22
꿀풀(2)  (0) 2020.06.29
익모초(1)  (0) 2019.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