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Lactarius chrysorrheus Fr.
분류 : 무당버섯목(Russulaes) / 무당버섯과(russulaceae) / 젖버섯속(Lactarius)
사진: 2021.09.28 가평 용추계곡
<새로운 한국의 버섯> 설명
발생 시기: 여름 -가을
생태: 참나무와 소나무의 혼합림 내 땅 위에 단생-산생
형태 : 갓은 지름 4-10cm, 평반구형에서 오목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담황홍색 바탕에 짙은 색의 동심원상 환문이 있고, 습할 때는 점성이 있다. 조직은 담황백색이나 상처가 나면 황색으로 변한다. 유액은 백색이나 공기와 접하면 곧 황색이 되며 매운맛이 난다. 주름살은 내린형, 빽빽하고, 담황색이다. 대는 4-7 X 0.8-2.2cm, 원통형,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거나 옅은 색이다. 포자는 6-9 X 5=7.5㎛, 유구형, 표면은 망목상이고, 포자문은 담황색이다
이용과 효능: 독버섯으로 위장 장애를 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