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굿대와 큰절굿대 비교
학명 : Echinops dahuricus Fisch. ex Hornem./ (FOC) Echinops davuricus Fischer ex Hornemann
분류 : 국화과 (Asteraceae)
학명 이명 : Echinops latifolius Tausch
사진 : 2018.06.27 내몽골 자란툰
큰절굿대는 줄기에 홈이 없고 털이 밀생한다. 절굿대는 줄기에 홈이 있다고 한다
큰절굿대는 줄기에 종선이 없고 절굿대는 줄기에 종선이 있다
아래: 2020.08.21 제주도
큰절굿대 잎 열편의 가시는 2-3mm, 절굿대 잎 열편의 가시는 1mm 이하이다
큰절굿대의 분포지는 북부지방, 중국북부, 시베리아, 러시아이다
국생지
분포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광주시; 강원도; 제주도)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양지바른 산비탈 풀밭 또는 관목림.
크기
길이가 60-80cm 이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거의 없어지며 타원상 거꿀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5-3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잎맥에는 털이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5-6쌍의 열편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가시로 된다. 밑잎에는 긴 엽병이 있고 윗잎은 엽병없이 줄기를 감싼다.
꽃
머리모양꽃차례는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둥글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조각은 길이 17-18mm, 나비 5mm로서 외포편이 내포편보다 점차 짧아지며 주걱모양이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뒷면에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내포편은 긴 능형(菱形)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열매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갈색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1mm정도의 비늘조각으로서 밑이 합생하였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60-8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밑부분에는 거미줄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서는 백색의 솜털이 있다.
뿌리
길이 10-25cm의 육질인 원주형 뿌리가 있으며 겉은 황갈색이다.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높은 산의 메마른 풀밭이나 경사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비스듬히 뻗는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60~80cm, 위쪽에 거미줄 모양 흰 털이 있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꽃이 필 때 남아 있기도 하며, 잎몸은 난상 타원형, 길이 25~30cm,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잎은 피침형, 끝은 가시로 된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비슷하며, 가운데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밑부분은 줄기를 감싸며 귀처럼 된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 4~5cm인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푸른 보라색이다. 모인꽃싸개는 가는 통 모양, 길이 17~18mm, 폭 5mm쯤, 조각은 여러 줄로 붙으며 바깥조각은 가시털 모양, 안쪽조각은 비늘잎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 원통형, 끝이 좁으며 갈색 털이 빽빽하게 있다. 우산털은 길이 1mm, 밑부분이 합쳐지고 윗부분은 가시털 모양으로 갈라진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중국 북부 등에 분포한다. 절굿대에 비해 줄기에 홈이 없고 잔주름이 있으며, 꽃을 달고 있는 줄기 끝부분에 가시가 거의 없고 갈래잎 끝 가시가 2~3cm(mm의 오기)로 길므로 구분된다. 열매를 약용한다. 절구대, 큰분취아재비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FOC
Echinops davuricus Fischer ex Hornemann, Suppl. Hort. Bot. Hafn. 105. 1819.
驴欺口 lü qi kou
Echinops davuricus var. angustilobus Candolle; E. davuricus var. latilobus Candolle; E. latifolius Tausch; E. latifolius var. manshuricus (Kitagawa) C. Y. Li; E. manshuricus Kitagawa.
Herbs 30-60 cm tall, perennial. Stems grayish white, unbranched or with 1 or 2 short branches, with fibrous petiole remains at base, sparsely cobwebby to lanate or glabrous in lower part, densely cobwebby to thickly lanate below synflorescences. Leaves papery, abaxially grayish white and densely cobwebby to thickly lanate, adaxially green and glabrous or sparsely cobwebby. Basal and cauline leaves long petiolate; leaf blade ± narrowly elliptic to lanceolate-elliptic, 15-35 × 8-18 cm, bipinnatipartite, semiamplexicaul; segments 4-8 pairs; lobes entire or with few triangular spiny teeth, apex long acuminate. Uppermost cauline leaves sessile, pinnately lobed or pinnatifid, semiamplexicaul. Pseudocephalia 1-3, 3-5.5 cm in diam. Capitula ca. 1.9 cm. Phyllaries 14-17, abaxially glabrous; outermost phyllaries scalelike, oblanceolate, ca. 7 mm, ca. 2/5 as long as involucre, distal portion broadly rhombic to elliptic, margin long ciliate, and apex shortly acuminate; middle phyllaries oblanceolate, 1-1.3 cm, margin sparsely shortly ciliate, abruptly constricted from maximum width into a long spiny tip; inner phyllaries narrowly elliptic, ca. 1.5 cm, distal portion of margin shortly ciliate, apex spinulose acuminate. Corolla blue, tube outside gland-dotted. Achene ca. 7 mm. Pappus scales linear, ca. 1.2 mm, proximal half connate. Fl. and fr. Jun-Sep.
Grasslands, open forests; 100-2200 m. Gansu, Hebei, Heilongjiang, Henan, Jilin, Liaoning, Nei Mongol, Ningxia, Shaanxi, Shandong, Shanxi [Mongolia, Russia].
Fischer’s "Echinops dauricus" of 1812, a nomen nudum (무자격명), was published twice independently in the same year, by Hornemann with the spelling "davuricus" and by Treviranus (Ind. Sem. Hort. Bot. Wratislav., App. 1: 2. 1819) as "dahuricus." We treat these two names as published simultaneously and give precedence to the for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