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과

울릉솔송나무(2)

대효0617 2022. 12. 6. 11:28

솔송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653

솔송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991

울릉솔송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912

울릉솔송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262

 

 

솔송나무와 울릉솔송나무를 구분하는 것은 전문가의 몫으로 여기서는 솔송나무를 식물 목록에서 뺀 국생지를 따라 울릉솔송나무로 올린다

 

학명 : Tsuga ulleungensis G.P.Holman, Del Tredici, Havill, N.S.Lee & C.S.Campb.

분류 : 소나무과 (Pinaceae)

영어명 : Ulleungdo hemlock

 

웅화 자화 구별  

http://zasshonokuma.web.fc2.com/tagyo/tu/tuga/tuga.html

 
 
 
사진 :  2022.11.08 안면도수목원
 
 
 
 
 
사진 : 2022.11.17 안면도
 
 
 
 
 

 

솔송나무는 가문비나무처럼 엽침이 있으나 엽선이 뭉툭하고 요두이다, 가문비나무는 엽선이 뾰족하다

 

 

 

자구화수는 전년지 가지  끝에 달려 밑으로 처지고  웅구화수는  짧은 가지 끝에 달려 위로 직립한다고 한다

 

 

 

 

 

 

 

 

아래 : 2023. 11.15 광릉수목원

 

 

 

 

 

 

 

 

 

 

 

 

 

 

 

 

분포

한국(울릉도)

형태

상록교목이며, 높이가 30m에 달한다. 수피는 다갈색 또는 황갈색이다. 잎은 선형이고, 미요두이며, 길이 6.616.7mm, 너비 1.22.1(3)mm이고, 잎자루의 길이 1mm이다. 횡단면은 타원형이며, 양쪽 선단이 약간 둥글다. 표면은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이다. 뒷면에는 2개의 기공선이 있다. 구화수는 5월에 달리고, 암수한그루, 웅성구화수는 난형이고, 자루가 있으며, 길이 3.64.9mm이고, 짧은 가지 끝에서 위를 향해 달린다. 자성구화수는 난형이며, 자줏빛이 돌고, 길이 13.218.2mm이며, 2년지의 끝에서 아래를 향해 달린다. 구과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대가 있고, 길이 15.625.8mm, 너비 9.815.8mm이다. 1829개의 실편으로 되어있으며, 실편의 길이 5.612.5mm, 너비 5.210.3mm이다. 종자는 황갈색이고, 길이 2.94.4mm, 너비 1.62.4mm이다. 종자날개는 종자의 한 면을 덮고, 잘 떨어지지 않으며, 길이 4.57.6mm, 너비 2.73.6mm이다. 결실기는 10월이다.

 

노트

Holman et al. (2017)은 울릉도 솔송나무가 일본산 솔송나무(T. sieboldii)와 달리 형태적으로 송진의 크기와 실편의 모양이 다르며, 4CL분석에서도 울릉도산 솔송나무는 일본의 T. sieboldii 유연관계가 높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울릉도 개체군을 신종기재 하였다.

* T. diversifolia의 오기로 보인다 

출처

한반도 수목지 3(2019), Holman, G., P.D. Tredici, N. Havill, N.S. Lee, R. Cronn, K. Cushman, S. Mathews, L. Raubeson and C.S. Campbell. 2017. A new species and introgression in Eastern Asian Hemlocks (Pinaceae: Tasuga).

 

 

 

Taxonomic notes

This species was described in 2017 as a new taxon endemic to Ulleungdo (울릉도), a volcanic island in the Sea of Japan about 140 km e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trees had formerly been treated as Tsuga sieboldii and based on morphological evidence alone, the new taxon might reasonably be placed into synonymy with that species. However, it does show consistent morphological differences from T. sieboldii (and other northeast Asian Tsuga), and nuclear DNA evidence places it in a clade with the Japanese species T. diversifolia and T. sieboldii. Chloroplast DNA, however, places it in a clade with T. diversifolia, while T. sieboldii and T. chinensis share a distinct clade. It appears that at some point, T. sieboldii captured the chlorplast DNA of T. chinensis, a phenomenon that post-dated the divergence of the Ulleungdo hemlocks. This is a powerful reason to treat T. ulleungensis as a good species rather than as a variety or synonym of T. sieboldii. Ulleungdo has been a forested island for about 1.7 million years and this provides a limiting date for the species' divergence from T. sieboldii (Holman et al. 2017).

 

Type: South Korea. Ulleungdo. 2 June 1917, E. H. Wilson 8529.

 

Description

Trees to 22 m tall and 80 cm dbh. Twigs glabrous, 11.5 mm diameter. Buds: 23 × 1.82.4 mm wide, globular or obovoid, glabrous; scales orbicular, dark brown, with crenate margins. Leaves linear, 8-14 × 1.7-2.1 mm with 0.9-1.6 mm petioles; base attenuate; margins entire and slightly thickened; apex emarginate; hypostomatic, with stomata in two broad, dull white to buff bands on either side of midrib, each band with mostly 8 rows of stomata, decreasing to 23 proximally, and 45 distally; with a single resin canal, 0.40.7 mm diameter at midpoint of leaf. Pollen cones 48 mm long, reddish-purple. Young seed cones purple; bracts broader than long, with more or less crenulate margins; apex with a bifid apical projection 0.5 times as long as bract body. Mature seed cones globular to ovoid, 1930 × 1826 mm when open; on 12 mm long peduncles; cone scales 2026, 915 × 1015 mm. Seeds 45.5 × 22.5 mm, with wings 4.58.5 × 3.44.2 mm wide (Holman et al. 2017).

 

T. diversifolia is readily distinguished by its hairy twigs and pure white stomatal bands. T. sieboldii is distinguished by thicker leaf resin canals, and erose to denticulate cone-scale bract margins (Holman et al. 2017).

'소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산가문비 (Picea 종 검색표)  (0) 2022.12.20
풍겐스가문비 품종  (0) 2022.12.20
전나무(Abies 종 검색표)  (1) 2022.12.06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2)  (1) 2022.12.05
테다소나무  (0)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