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과

가시나무(3)

대효0617 2025. 1. 28. 12:43

가시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6498

가시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270

가시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243

가시나무 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09191

가시나무 종류 비교(가시나무/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개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09929

 

 

학명 : Quercus myrsinifolia Blume/Quercus myrsinaefolia Blume

분류 : 참나무과 (Fagaceae)

일어명 : シラカシ白樫白橿)

중국어명 : 小叶青冈(소엽청강)

 

사진 : 2025.01.16 제주 한라수목원

 

 

 

 

국생지

 

분포

제주특별자치도 및 전남(진도)

해외분포

일본, 중국

생육환경

비교적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그늘이나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고 내한성은 약한 편이나 내조성과 맹아력이 강하다. 5이상에서 월동하고 10~25에서 잘 자란다.

생육형

상록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5m, 지름 50cm.

어긋나기, 긴 타원상 피침형, 점첨두 예저, 7~12cm × 2~3cm, 상반부 또는 가장자리에 잔톱니(느릅나무형), 측맥 11~15(통상 12), 뒷면 흰회색, 털이 없다.

암수한그루, 4~5월에 피고, 수꽃차례 전년도의 가지에서 밑으로 처지며, 암꽃차례 새가지에서 곧추선다.

열매

견과의 열매는 깍정이 반구형, 6~7층의 둥근 원형으로 달걀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1.5~.7cm, 이듬해 10월에 성숙한다.

뿌리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다.

수피

회흑색, 평활하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행하며, 10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건사저장 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재배특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유사종

붉가시나무(Q. acuta Thunb.)

종가시나무(Q. glauca Thunb.)

참가시나무(Q. salicina Blume):가시나무와 비슷하나 잎뒷면은 처음부터 털이 있고 백분으로 덮였으며 측맥의 수가 10~12쌍이고 잎가장자리는 예리한 거치와 함께 우그러진 모양을 보인다. 제주특별자치도,울릉도 및 남쪽 섬에 자란다.

개가시나무(Q. gilva Blume):돌가시나무라고도 하며 잎이 거꿀달걀모양 또는 거꿀피침모양으로 잎의 뒷면에 황갈색털이 밀생한다.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가시나무(5)  (0) 2025.01.26
너도밤나무(2)  (0) 2024.07.21
졸가시나무(2)  (1) 2024.07.20
유럽너도밤나무(2)(겨울눈)  (0) 2024.02.11
참가시나무(2)  (1)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