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노리나무(4)
https://daehyo49.tistory.com/7814356
FOC에서는 이 종을 Photinia속(홍가시나무속)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요즘은 Pourthiaea속(윤노리나무속)으로 분류한다
Photinia속은 상록성이고 과병에 사마귀 모양의 피목이 없으며 Pourthiaea속은 낙엽성이고 과병에 사마귀 모양의 피목이 발달한다
학명 :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 2025.04.23 광릉수목원
잎, 엽병, 화서. 꽃받침, 신년지에 털이 많다(종소명 villosa !)
꽃은 산방화서
엽신은 도란형,점첨두, 예저에 소예거치
국생지
분포
중국, 일본 / 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울릉도에 분포하지만 일부 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에도 분포.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하고 음지나 양지를 가리지 않으며 수풀의 중간층을 형성한다. 내건성은 보통이고 내공해성, 내염성은 약하고 생육이 더딘 편이며 병충해가 비교적 적다
생육형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5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거꿀달걀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는 3~8cm 폭 2-5㎝이고, 잎자루는 길이 1~5mm로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편평꽃차례로 지름 3~5cm이고 흰색 꽃이 피며, 흰색 털이 밀생하고 꽃잎은 거꿀달걀상이며 원형이고, 수술은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 밑부분이 합쳐지며,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열매는 타원형이며 길이 8mm로 붉은색이며 8 ~ 9월에 성숙한다. 열매가 커짐에 따라 갈색 껍질눈이 열매자루와 소과경에 생긴다.
줄기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일년생가지에는 백색털과 타원형의 껍질눈이 있다.
번식방법
▶종자와 삽목으로 증식시킬 수 있다.
1.종자번식 : 열매가 자흑색이 되었을 때 채취하여 과피와 과육을 제거한 다음 모래와 비벼 끈적끈적한 액을 제거하고 노천매장을 하거나 직파하면 된다. 파종 2년째의 봄에 발아하는 종자도 있다.
2.삽목번식 : 3-4월에 가지삽목을 하면 어느 정도 발근묘를 얻을 수 있다.
보호방안
한라산의 자생지 보호는 물론 정원수종으로 개발해야 한다.
유사종
▶떡윤노리나무(var. brunnea Nakai): 잎이 두껍고 거꿀달걀모양이며 엽병이 짧고, 꽃차례가 크며 열매 지름이 12mm이다.
▶털윤노리(var. zollingeri Nakai): 전라남북, 경상남북, 강원지역에서 자라며, 화경과 일년생가지에 털이 많고 잎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엽병이 짧다.
▶꼭지윤노리(var.longipes Nakai) : 엽병과 꽃자루의 길이가 각각 1cm이상이다.
▶좀윤노리(var. coreana Nakai) : 잎이 얇고 화경과 가지가 가늘다.
▶민윤노리(var.laevis Stapf.) : 잎과 꽃차례의 털이 곧 없어진다.
특징
이 종은 꽃받침통이 육질화하는 이과의 열매를 갖는 사과아과의 분류군으로 낙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고 씨방실당 1개 이상의 종자가 발달하는 특징과 열매가 발달하는 과병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뚜렷하게 발달하는 특징에 의해 장미과 내에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