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꿩의비름(2)(꿩의비름과 큰꿩의비름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653
큰꿩의비름(1)(꿩의비름속 종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7507
꿩의비름(2)
https://daehyo49.tistory.com/7811616
꿩의비름(1)
https://daehyo49.tistory.com/7809835
학명 :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사진 신구대학식물원
아래: 2014.09.01 화악산
아래: 2018.09.29 마차산 가는 길 (민가)
아래: 2019.09.11 아차산 생태공원
큰꿩의비름은 잎이 주로 대-윤생이고 엽형은 도란형-주걱형,
수술은 화관 밖으로 초출하나
꿩의비름은 잎이 주로 호-대생이고 엽형은 장타원형,
수술은 화관 밖으로 초출하지 않는다
동속의 다른 종들:
꿩의비름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H.Ohba
둥근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Ohba
새끼꿩의비름(이명:싹눈꿩의비름)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
섬꿩의비름 Hylotelephium viridescens (Nakai) H.Ohba
세잎꿩의비름(이명:제주꿩의비름)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Ohba
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키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pallescens (Freyn) H.Ohba → 자주꿩의비름
자주꿩의비름과 큰꿩의비름 차이
자주꿩의비름
학명 : (국생지) Hylotelephium telephium (L.) H.Ohba
일본 야후 Hylotelephium pallescens (Freyn) H.Ohba
* The Plant List를 보면 상기 학명은 정명이 아니다.
일본 야후를 보면 상기 학명의 일본어 이름은 ムラサキベンケイソウ(紫弁慶草)라하고 있는 데 이 일본어 이름으로 다시 검색하면 학명이 Hylotelephium pallescens (Freyn) H.Ohba로 나오며 이 학명의 이명이 Hylotelephium telephium (L.) H.Ohba 로 되어 있다. Hylotelephium pallescens (Freyn) H.Ohba은 우리나라에서는 키큰꿩의비름이다. FNA에는 Hylotelephium telephium (L.) H.Ohba 이 등재되어 있는데 이 종은 짧은 백색의 당근 모양을 한 뿌리가 다발로 되어있으며 엽액에 조락하는 주아가 달리며 잎은 호생하거나 대생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어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종과는 다른 종으로 보인다.
ムラサキベンケイソウ(紫弁慶草)
Hylotelephium pallescens
•科名・属名 :
ベンケイソウ科 ムラサキベンケイソウ属
•特徴 :
草丈20~50cmの多年草。
茎は直立するか斜上する(極稀に垂れ下がる)。
葉は互生または対生し、楕円状卵形~狭卵形で長さ3~8cm、幅1.2~3.5cm。帯粉し深緑色で柄がない。縁には多数の低い鋸歯がある。
花序は茎頂に散房状につき、花弁は濃紅紫色。裂開前の葯は赤褐色。
•分布・生育地 :
北海道 (国外:シベリア、モンゴル、中国(北部、東北部)、朝鮮
海岸の草原や崖
•花期 : 8~9月
http://hanamist.sakura.ne.jp/flower/riben/benkei/murasaki.html
위키에서 파온 Hylotelephium telephium의 사진
FOC 설명
Hylotelephium pallescens (Freyn) H. Ohba, Bot. Mag. (Tokyo). 90: 51. 1977.
白八宝 bai ba bao
(학명 이명)
Sedum pallescens Freyn, Oesterr. Bot. Z. 45: 317. 1895; Hylotelephium eupatorioides (Komarov) H. Ohba; Sedum eupatorioides (Komarov) Komarov; S. telephium Linnaeus var. albiflorum Maximowicz; S. telephium var. eupatorioides Komarov; S. telephium var. pallescens (Freyn) Komarov.
(설명)
Roots fasciculate. Rhizomes erect. Stem erect, 20-60(-100) cm. Leaves alternate, sometimes opposite, sessile, adaxially with numerous reddish brown spots, oblong-ovate to elliptic-lanceolate, 3-7(-10) × 0.7-2.5(-4) cm, base cuneate, margin entire or irregularly undulate and sparsely serrate distally, apex rounded. Cymes terminal and subterminal, densely branched, forming a flat-topped panicle, to 10 × 13 cm; pedicels 2-4 mm. Sepals lanceolate-triangular, 1-2 mm, apex acute. Petals erect, white or reddish, lanceolate-elliptic, 4-8 × ca. 1.8 mm, apex acute. Antesepalous stamens equaling or longer than petals; anthers yellow. Nectar scales rectangular-cuneate, ca. 1 mm, apex emarginate. Carpels free. Follicles erect, lanceolate-ellipsoid, base attenuate, apex shortly beaked. Seeds brown, narrowly oblong. Fl. Jun-Sep, fr. Aug-Sep.
Forests, grasslands, stony river beaches. Hebei, Heilongjiang, Jilin, Liaoning, Nei Mongol, Shanxi [Japan, Korea, Mongolia, Russia].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09781
FOC 설명에서 꽃밥이 노랗다라는 부분은 맞지 않는 것 같다
한국속식물지의 꿩의비름속 검색표
1. 줄기는 복와성. 잎은 대생
..................................... H. ussuriense 둥근잎꿩의비름
1. 줄기는 직립. 잎은 호생하거나 3-5장씩 윤생
2. 잎은 호생
3. 절간 거리는 2-4cm이며, 잎은 장타원형. 화판은 백색 또는 분홍색
.............................. H. erythrostictum 꿩의비름
3. 절간 거리는 1-1.5cm이며, 잎은 난형. 화판은 녹색을 띤 백색
............................ H. viridiscens 섬꿩의비름
2. 잎은 3-5장씩 윤생
4. 엽액에 주아가 없다
5. 화판은 자색
6. 줄기는 적색, 잎은 장타원형
.................... H. telephium 자주꿩의비름
6. 줄기는 녹색, 잎은 난형
................... H. spectabile 큰꿩의비름
5. 화판은 황백색
....................... H. verticillatum 세잎꿩의비름
4. 엽액에 주아가 있다
............................... H. viviparum 새끼꿩의비름
위 검색표에서는 큰꿩의비름과 자주꿩의비름은 줄기 색깔과 잎의 형태로 구분하고 있으나 잎이 장타원형인 것들에도 줄기가 녹색인 것이 다수 있어 자주꿩의비름의 실체에 의문이 간다. 이 두 종은 통합하는 것이 좋을 듯 싶다
꿩의비름속 비교표
http://blog.daum.net/kj3337/12779276(산내들 꽃향) 참조하여 일부 수정하거나 첨가 함
구분 | 꽃 | 잎 | 기타 | ||||
잎나기 | 잎모양 | 엽선, 엽저 | 거치 | 엽병 | |||
꿩의비름 |
백색 바탕에 붉은 빛 |
대생/호생 |
장난형~ 장타원형 |
둔두 유저 엽병 |
둔한 톱니 |
짧다 위에는 없음 |
|
자주꿩의비름 |
홍자색 |
윤생/대생 (상부 호생) |
장난형~ 장타원형(분백색) |
얕고 둔한 톱니 |
없다 |
줄기; 붉은빛 |
|
둥근꿩의비름 |
잎 두개 대생 |
난상원형 |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 |
줄기: 붉은 빛 |
|||
큰꿩의비름 |
윤생/대생 (상부 호생) |
도란형/ 주걱형 |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 |
줄기: 녹백색 |
|||
세잎꿩의비름 |
황백색 |
잎 3개 윤생/대생/호생 |
타원형/ 피침형 |
짧다 |
육아 없다 줄기: 암자색 |
||
새끼꿩의비름 |
잎 3개 윤생/대생 |
넓은 피침형 |
엽액과 화서에 육아 있다 |
'돌나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지다리(1) (0) | 2010.09.07 |
---|---|
바위채송화(유사종 비교표) (0) | 2010.02.17 |
둥근잎꿩의비름(1) (0) | 2009.10.23 |
태백기린초(2) (0) | 2009.10.01 |
태백기린초(1) (0) | 200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