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Pilea mongolica Wedd.
분류: 쐐기풀과 Urticaceae
학명 풀이:
Pilea : cap, hat
동속식물:
강계큰물통이 Pilea oligantha Nakai
모시물통이 Pilea mongolica Wedd.
물통이 Pilea peploides (Gaudich.) Hook. & Arn.
산물통이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http://blog.daum.net/daehyo/7808709
제주큰물통이 Pilea taquetii Nakai
큰물통이 Pilea hamaoi Makino
모시물통이 Pilea pumila var. pumila Pilea mongolica |
큰물통이 Pilea pumila var. hamaoi Pilea hamaoi |
잎의 톱니가 엽신 거의 전체에 걸쳐 있다 엽선은 尾狀이다 |
잎의 톱니는 엽신 상반부에서만 나타난다 엽선은 다소 둔두이다 |
화서의 자루가 뚜렷하다 | 화서의 자루는 매우 짧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
암꽃 화피편은 열매와 같은 길이거나 열매보다 좀 짧다 암꽃 화피편: 선형으로 3개 길이가 비슷 |
암꽃 화피편은 열매보다 길다 암꽃 화피편: 난형 또는 난상장타원형 측면의 2개가 뒤쪽의 1개보다 더 넓고 더 길다 |
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검색표(FOC)
1. Herbs diffuse; leaf blade rhombic-orbicular or broadly ovate,
apex subrounded or obtuse, margin bluntly 3-5-crenate;
achene without colored dots.
............................................. var. obtusifolia
1. Herbs erect or ascending; leaf blade rhombic-ovate or ovate,
apex lanceolate or acute, margin serrate;
achene with brownish dots. (2)
2. Female perianth lobes linear, subequal, shorter than or subequal to achene.
........................................ var. pumila 모시물통이
2. Female perianth lobes ovate or obovate-oblong, unequal,
lateral 2 broader with conspicuous ribs and longer than achene,
abaxial one 1/2 as long as lateral 2.
....................................... var. hamaoi 큰물통이
<국생정>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고 끝이 짧은 꼬리처럼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고 밑에서 3맥이 발달하며 길이 1.5-10cm, 너비 1-7cm로서 가장자리에 삼각상의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고 기부의 턱잎은 뚜렷하지 않다.
열매
수과는 납작한 난형이고 길이 1-1.2mm로서 매끈하며 약간 도드라진 갈색 반점이 있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7-8월에 피며 엽액에 암수꽃이 모여서 길이 1-3cm의 밀산화서(密傘花序)를 형성한다. 수꽃은 꽃잎과 수술이 각각 2개이다.(물통이는 각각 4개이다.) 암꽃은 꽃받침이 깊게 3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잎은 길이가 다르고 긴 것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중륵이 뚜렷하며 암술 1개와 헛수술이 3개 있고 화피는 숙존하여 꽃이 핀 다음 자라서 열매를 감싼다. 암술머리는 솔처럼 되고 암꽃에 3개의 헛수술이 있다.
줄기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50cm이고 둥글며 담록색의 반투명한 육질로 매끈하고 식물체에 물기가 많고 털이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일년초이다.
크기
높이 30-50cm이다.
생육환경
산야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전초를 편도선염, 자궁경염, 적백대하증 등에 쓴다.
유사종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난형, 넓은 난형,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잎 모양이 모시풀과 같으나 식물체에 수분이 많기 때문에 모시물통이라고 한다.
'쐐기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쐐기풀 (큰쐐기풀과 혹쐐기풀 비교) (0) | 2012.09.13 |
---|---|
왕모시풀 (0) | 2012.01.25 |
산물통이(1)(물통이속 구별하기) (0) | 2011.10.03 |
좀깨잎나무 (모시풀속 주요종 비교표) (0) | 2010.09.15 |
혹쐐기풀(1) (혹쐐기풀속과 쐐기풀속의 구별) (0)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