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꼬리 종류 신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3135
학명 : Boemeria spicata (Thunb) Thunb.
분류 : Urticaceae
사진: 2012.10.12 남한산성
아래: 1711.28 도봉산
측맥이 8쌍 이내로 되어 있으나 10개 정도 이내로 보아도 될 것 같다.
아래는 잎 윗면과 아랫면의 확대 사진이다
미세한 짧은 털(가루 같음)이 많이 있다
맥액에 털이 있다
*** 모시풀속 (Boehmeria )의 주요종의 비교표
개모시풀/거북꼬리/풀거북꼬리/좀깨잎나무 구별하기
Boehmeria | 개모시풀 | 거북꼬리 | 풀거북꼬리 | 좀깨잎나무 | |
종소명 | platanifolia | tricuspis | tricuspis var. unicuspis |
spicata | |
일어명 | メヤブマオ | アカソ | クサコアカソ | コアカソ | |
성상 | 초본 | 초본 | 초본 | 관목 | |
잎 | 엽형 | 광난형 | 난형 | 능상 난형 | 능상 난형 |
엽질 | 막질이고 우글우글하지 않다 | 우글우글하다 | 우글우글하다 | 우글우글하다 | |
잎의 거치 |
10-20쌍 | 8쌍 이내 | |||
엽선 | 끝이 거북꼬리 잎처럼 갈라진 것이 있다 | 끝이 3부분으로 깊이 갈라지고 가운데 열편이 꼬리처럼 길게 늘어진다 |
끝은 3부분으로 갈라지지 않고 꼬리처럼 길게 늘어진다. |
꼬리처럼 길게 늘어진다. |
|
털 | 짧고 거친 털이 있다 | 뒷면 맥 위에 잔털 |
털이 거의 없다 | 뒷면 맥 위에 잔털 |
|
기타 | 양쪽 잎자루 길이가 다르다 |
참조 사이트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アカソ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Makino クサコアカソ ..
http://www.botanic.jp/plants-ka/kukoak.htm
http://matsue-hana.com/hana/kusakoakaso.html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メヤブマオ
http://matsue-hana.com/hana/meyabumao.html
http://mikawanoyasou.org/data/meyabumao.htm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コアカソ
http://matsue-hana.com/hana/koakaso.html
동속식물: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긴잎모시풀 Boehmeria sieboldiana Blume
모시풀 Boehmeria nivea (L.) Gaudich.
섬거북꼬리 Boehmeria taquetii Nakai
섬모시풀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Koidz.) W.T.Wang
왕모시풀 Boehmeria pannosa Nakai & Satake
왜모시풀 Boehmeria longispica Steud.
제주긴잎모시풀 Boehmeria nakaiana Satake
제주모시풀 Boehmeria quelpaertense Satake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털긴잎모시풀 Boehmeria hirtella Satake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Makino
<국생정> 설명:
잎
잎은 대생하고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4-8cm, 너비 2.5-4cm로서 끝이 갑자기 꼬리처럼 길어지고 예저이며 표면에 복모가 있고 뒷면은 맥 위에만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붉은빛이 돈다. 같은 마디에 달리는 잎은 한쪽이 길고 한쪽이 짧은 것이 많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긴 난형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달리기 때문에 둥글게 보이며 긴 암술대가 잔존하고 10-11월에 성숙한다. 열매의 끝에 털이 있다.
꽃
꽃은 일가화지만 드물게 이가화도 있으며 7-8월에 피며 자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 웅화서는 밑부분의 엽액에 달린다. 수꽃은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한군데 달리며 통형의 화피내에 1개의 자방이 있고 암술대는 1개이다.
줄기
높이 50-100cm이고 줄기에 붉은 빛이 돌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가늘다. 월동하면서 끝부분이 말라 죽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평안도와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100-1,100m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 활엽 반관목
크기
높이가 50-100cm에 이른다.
'쐐기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시물통이(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와 검색표) (0) | 2011.10.04 |
---|---|
산물통이(1)(물통이속 구별하기) (0) | 2011.10.03 |
혹쐐기풀(1) (혹쐐기풀속과 쐐기풀속의 구별) (0) | 2010.08.30 |
나도물통이(1) (0) | 2010.04.14 |
가는잎쐐기풀(가는잎쐐기풀과 긴꼬리쐐기풀) (0) | 201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