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Coprinellus disseminatus (Pers.) J.E. Lange
* 우리나라에서 현재 쓰고 있는 고깔먹물버섯의 학명은 Coprinus disseminatus (Pers. & Fr.) S.F.Gray이다. 그러나 이 학명은 낡은 학명이다. 분자생물학의 연구 결과 Coprinus속은 2001년에 먹물버섯(Coprinus comatus)를 포함한 4종만을 남겨두고, 나머지 종들은 모두 Coprinellus와 Coprinopsis, Parasola의 3속으로 재편되었다
(http://en.wikipedia.org/wiki/Coprinus 참조)
분류: 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먹물버섯과(Coprinaceae)로 분류하지만 위와 동일한 사정에서 Coprinaceae는 폐기되었다.
참고 사이트
사오정의 쉼터 http://blog.daum.net/sa55jung/15973121
http://www.mushroomexpert.com/coprinellus_disseminatus.html
http://www.mykoweb.com/CAF/species/Coprinellus_disseminatus.html
동속버섯:
갈색먹물버섯 Coprinus micaceus (Bull. & Fr.) Fr.
갈색비듬먹물버섯 Coprinus narcoticus (Batsch. & Fr.) Fr.
갈색점박이먹물버섯 Coprinus cortinatus Lange
고깔먹물버섯 Coprinus disseminatus (Pers. & Fr.) S.F.Gray
꼬마먹물버섯 Coprinus friesii Quel.
끝말림먹물버섯 Coprinus aokii Hongo
노랑먹물버섯 Coprinus radians (Desm. & Fr.) Fr.
두엄먹물버섯 Coprinus atramentarius (Bull. & Fr.) Fr.
먹물버섯 Coprinus comatus (Muller & Fr.) Pers.
받침대먹물버섯 Coprinus domesticus (Bolt. & Fr.) S.F.Gray
소녀먹물버섯 Coprinus neolagopus Hongo & Sagara
소똥먹물버섯 Coprinus patouillardii Quel.
솜털먹물버섯부치 Coprinus lagopides Karst.
애먹물버섯 Coprinus rhizophorus (Kawam.) Hongo & Yokoy
작은우산먹물버섯 Coprinus phlyctidosporus Romagn.
재먹물버섯 Coprinus cinereus (Fr.) S.F.Gray
좀밀먹물버섯 Coprinus plicatilis (Curt. & Fr.) Fr.
흰가루먹물버섯 Coprinus tuberosus Quel.
<국생정> 설명
발생 계절
봄~가을
발생 형태
숲속의 고목 또는 산 나무 껍질에 군생
분포지역
전국
자실체형태
난형 또는 종모양
자실체크기
1~1.5cm
자실체표면
백색 또는 연한 회갈색
자실층
떨어진주름살이고 백색 또는 연한 회갈색이고 시간이 지나면 액화하여 없어진다.
대
길이 2~3.5cm이고 섬세한 백색의 미세한 털로 덮여 있다.
포자특징
타원형이며 흑색으로 발아공이 잇고 8.5~1 x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