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흰사초
https://daehyo49.tistory.com/7810680
애기흰사초 (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2736
그늘흰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2721
그늘흰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92
흰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0408
흰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0511
삿갓사초 유형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511
그늘흰사초로 올렸던 것이나 공부해보니 흰사초로 동정된다.
학명: Carex alopecuroides var. chllorostachya C. B. Clake
분류: 사초과(Cyperaceae) /Sect. Molloculae
학명 풀이:
alopecuroides: Alopecurus(뚝새풀속)을 닮은
chllorostachya : 초록색의 이삭
사진: 2014.07.20 양양
아래: 2016.05.15 소백산
아래: 2016.06.19 광덕산
아래: 2021.04.30 연인산
아래는 퍼온 그늘흰사초의 사진:
사진 출처:
http://www.azami.sakura.ne.jp/yasou/tya/hikagesirasuge.htm
그늘흰사초 유형
선화 출처:
정종덕, 사초과식물의 이해와 분류, 2014년 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 워크숍 특별과정 5 교재
삿갓사초 유사종 비교표(2019.06.10 수정)
Carex | 참삿갓사초 jaluensis |
삿갓사초 dispalata |
흰사초 alopecuroides v. chlorostachya (FOC, 일본) doniana |
그늘흰사초 planiculmis |
근경 | 짧다 | 굵고 길게 뻗는다 | 짧고 가는 포복지가 있다 | 길게 뻗는다 |
화서 형태 | 소수가 매우 길고 측소수들은 일반적으로 아래로 늘어진다 | 측소수들은 대체로 위로 경사 |
측소수는 대체로 아래로 늘어진다 (위로 경사하는 형태도 있음) |
측소수들은 대체로 위로 경사 |
정소수 (웅성) |
때때로 끝에 소수의 암꽃 드물게 웅소수가 2개 달린다 |
때때로 끝에 소수의 암꽃 |
||
정소수 자루 |
거의 무병 | 단병 | 단병 | 단병 |
측소수 (자성) |
때때로 끝에 소수의 수꽃 |
1-2개는 떨어져 달림 때때로 끝에 소수의 수꽃 |
최하부의 소수: 떨어져 달림 다른 소수: 밀집 끝에 수꽃이 붙지 않는다 |
|
측소수 자루 |
위쪽 단병 –거의 무병 아래쪽: 가는 자루, 소수 현수 |
최하부 소수: 단병 또는 거의 무병 |
위쪽 거의 무병 아래쪽: 단병 |
최하부 소수: 긴 자루 |
자인편 | 난형-협난형 거의 예두 내지 돌기 모양 |
난상피침형-피침형 점첨두로 끝이 까락 모양 |
난상피침형 끝이 까락 모양 |
난형 끝이 까락 모양 |
자인편 색 | 중앙 녹색 가장자리 암갈색 |
중앙 녹색 가장자리 옅은 백색 |
중앙 녹색 가장자리 옅은 백색 |
|
과낭 | 인편과 길이가 거의 같다. 선단이 갑자기 좁아지고 부리는 아주 짧다 |
인편보다 약간 길다 선단이 갑자기 좁아지고 부리는 좀 길고 약간 젖혀진다 |
장타원상 난형 인편과 길이가 거의 같다 선단이 서서히 좁아지고 부리는 곧고 길다 |
난형, 인편보다 길다 선단이 서서히 좁아지고 부리가 좀 길며 구부러진다 성숙시 수평으로 벌어진다 |
암술대 | 숙존 | 조락 | ||
주두 | 상당히 길다 | 짧다 | ||
수과 | 팽팽하게 싸인나 | 헐겁게 싸인다 | 헐겁게 싸인다 | 헐겁게 싸인다 |
생육지 | 계곡의 물가나 숲속 도랑 (남부에서는 해발 800-1000m 이상) |
축축한 숲 가장자리나 개울 주변 평야지대의 강둑 |
남부지방의 축축하고 햇볕이 잘 드는 임연 |
산지의 숲 가장자리 축축한 곳 (남부에서는 해발 600m 이상) |
참삿갓사초 | 삿갓사초 | 흰사초 | 그늘흰사초 | |
기타 | FOC에서는 흰사초의 학명을 Carex doniana으로 쓰고 있다. 보충 1: 삿갓사초와 흰사초도 과낭은 성숙되면 수평으로 벌어진다(벼과.사초과 생태도감) 보충 2: 흰사초는 잎 뒷면에 백색 유두 돌기가 밀포하지만 그늘흰사초는 그렇지 않다 |
위의 표는 새로 나온 벼과.사초과 생태도감과 FOC 및 일본 야후를 참조하여 만듬
삿갓사초 유형들의 절 Sect. 분류 Sect. Anomale C. jaluensis 참삿갓사초 C. maculata 무늬사초 Sect. Confertiflorae C. dispalata 삿갓사초 C. nipposinica(= brownii) 흰꼬리사초 C. benkei 긴화살사초 C. ischnostachya 염주사초 C. transversa 화살사초 Sect. Molliculae C. alopecuroides 가는흰사초 C. alopecuroides v. chlorostachya 흰사초 C. aphanolepis 골사초 C. japonica 개찌버리사초 C. molliculae 애기흰사초 C. planiculmis 그늘흰사초 1. 과낭은 부리가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으며 과낭 끝은 절두, 요두 또는 매우 짧은 2치이다 ....................... Sect. Anomalae (소속 : 참삿갓사초) 1. 과낭의 부리는 길거나 중간 정도의 사이즈이다. 과낭 구부에는 길거나 짧은 2치가 있다; (Sect. Paludosae에서는 매우 짧다); 드물게 절두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거나 매우 짧은 톱니가 있다 2. 자인편 끝은 긴 까락(aristate)이며 드물게 첨두이다 (C. ischnostachya염주사초와 C. subtumida는 뾰족한 부분 또는 까락이 없다). 과낭은 성숙시 개출하거나 약간 밑으로 젖혀져 달린다; 드물게 차상으로 달리며(rarely slightly divaricate), 성숙시의 색깔은 갈녹색 또는 암갈색이다 ............................ C. sect. Confertiflorae (소속 : 삿갓사초) 2.자인편 끝은 첨두(mucronate or muticus)로 거의 까락 모양이 아니다; 과낭은 성숙시 비스듬히 상향하여 달리며 드물게 수평으로 개출한다, 성숙시 색깔은 황록색 또는 밀짚색이고 드물게 황갈색을 띤다 ....................................... C. sect. Molliculae (소속 : 흰사초, 그늘흰사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