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죽과

장구채(1)

대효0617 2014. 10. 30. 19:05

장구채(1)

https://daehyo49.tistory.com/7810592

장구채(2)

https://daehyo49.tistory.com/7812480

 

 

학명: Silene firma Siebold & Zucc.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 풀이:

Silene: From Saliva, meaning stickiness; or Silenus the foster father of Bacchus, who was depicted covered in a foam substance

firma: firm, strong

일어명: フシグロ  節黒

 

사진: 2014.09.18  양평 진중리

 

 

 

 

 

 

 

 

 

 

아래: 2017.08.27 구룡령

 

 

 

 

 

 

 

 

 

 

 

아래는 종자

 

 

 

 

 

 

 

 

 

 

 

 

아래: 2019.12.03 다락원

 

 

 

 

 

 

 

 

 

 

아래 : 2021.10.31 화악산 관청리

 

 

 

아래 : 2020.05.13 강화도

 

 

 

 

참조 사이트

http://plants.minibird.jp/kansai/kansai50/kansai_ha/con_hu/husiguro/husiguro.html

동속식물

명천장구채 Silene myongcheonensis S.P.Hong & H.K.Moon

분홍장구채 Silene capitata Kom.

말냉이장구채 Silene noctiflora L.

가는장구채 Silene seoulensis Nakai

호산장구채 Silene foliosa Maxim.

장구채 Silene firma Siebold & Zucc.

털장구채 Silene firma f. pubescens (Makino) Makino

울릉장구채 Silene takeshimensis Uyeki & Sakata

층층장구채 Silene macrostyla Maxim.

오랑캐장구채 Silene repens Patrin

끈끈이장구채 Silene koreana Kom.

애기장구채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갯장구채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한라장구채 Silene fasciculata Nakai

흰장구채 Silene oliganthella Nakai

가는다리장구채 Silene jenisseensis Willd.

달맞이장구채 Silene latifolia subsp. alba (Mill.) Greuter & Burdet

끈끈이대나물 Silene armeria L.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설명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3-10cm, 폭 1-3c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흔히 양면에도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이 없다.

 

열매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7-8mm로서 대가 짧으며 끝이 6개로 갈라지고 숙존악이 있다. 종자는 신장형이며 자갈색이고 겉에 소돌기가 있다.

 

꽃은 7월에 피며 곧게 서고 엽액과 원줄기 끝에 취산화서가 층층으로 달리며 포는 밑부분 양쪽이 흔히 막질로 되고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이 가늘고 길다. 꽃받침은 난상 원통형이며 끝이 5조각으로 얕게 갈라지고 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길이 7-10mm로서 10맥이 있다. 꽃잎은 백색이고 5개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인후부(咽喉部)에 2개의 인편이 있으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줄기

줄기는 곧게 서고 분지하지 않으며 높이 30-80cm로서 털이 없고 밋밋하며 자줏빛이 도는 녹색이지만 마디부분은 흑자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시베리아, 중국, 만주, 일본, 오키나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2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30-80cm정도로 자란다.

 

생육 환경

볕이 잘 드는 산이나 들에 난다

이용

▶ 全草)는 女婁菜, 종자는 王不留行이라 하며 약용한다.

유사종

▶애기장구채 (Melandryum apricum Rohrb) : 잿빛의 털이 덮여있다.

▶털장구채 (for.pubescens Ohwi) :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석죽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벼룩(1)  (0) 2015.06.03
들개미자리(개미자리 이름이 붙은 속들 분류, 개미자리속 분류)  (0) 2014.12.13
유럽개미자리  (0) 2014.08.16
긴개별꽃  (0) 2014.05.10
숲개별꽃  (0)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