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기생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6662
참기생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11101
학명 : Trientalis europaea L.
분류 : 앵초과 (Primulaceae)
학명 풀이
Trientalis : From the Latin meaning one-third of a foot in height, a reference to the plant's height(草高가 10cm 정도라는 뜻)
사진: 2016.07.30 만주 황송포
국생지 기재문 비교
기생꽃 학명 : Trientalis europaea L. var. arctica (Fisch.) Ledeb. |
참기생꽃 학명: Trientalis europaea L. var. europaea |
분포 일본, 러시아, 미국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인제군, 정선군, 태백시; 경상남도 합천군) 생육환경 높은 산 습지, 물이끼의 이탄지 생육형 여러해살이풀이다. 크기 높이는 약10cm이다. 잎 잎은 밑부분에는 비늘 같은 잎이 나고 윗부분에 큰 잎이 모여서 돌려나기상으로 달리며 도란상 쐐기모양으로 길이 1.2~3cm이고 끝은 둥글며 밑은 좁아져 줄기에 직접 달리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박질이다. 꽃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가늘고 긴 화경이 1~3개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부리는 5 또는 7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넓은 타원형으로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조각과 수술도 각각 7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과실은 삭과로 구형이다. 9월에 익는다. 줄기 줄기는 곧추 서며 가늘다. 뿌리 실 같은 백색의 땅속줄기를 낸다. 보호방안 고산지역에 좁게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2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며, 군집을 이루어 자란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
분포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 가야산 산정에서부터 북부지방의 높은 지대까지 자란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7-25cm
잎
잎은 얇고 넓은 거꿀피침모양, 피침형,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2-7cm, 나비 1-2.5cm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다소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5-2cm로서 백색이며 화경은 길이 2-3cm로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7개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부리는 7개로 깊게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수술은 7개이다.
열매
삭과는 둥글며 지름 2.5-3mm이다. 9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5-25cm이고 실같은 백색 기는줄기가 뻗으며 밑부분에 비늘 같은 잎이 달리고 끝부분에서 5-10개의 큰 잎이 돌려나기상으로 돋는다.
|
한국속식물지 검색표(이 검색표는 위 국생지 기재문과 맞지 않는다)
1. 하부엽은 길이 1-1.5cm, 너비 5-8mm이다.
소화경에는 털이 없거나 드물게 선모가 있다
..............Trientalis europaea subsp. europaea 참기생꽃
1. 하부엽은 길이 2.5-4cm, 너비 0.7-2cm이다
소화경에는 선모가 있다
............. Trientalis europaea subsp. arctica 기생꽃
참고로 기생꽃으로 보이는 퍼온 사진이다
퍼온 사진 출처
'앵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도까치수염(1)(Lysimachia 종 검색표) (0) | 2021.09.29 |
---|---|
명천봄맞이(1) (애기봄맞이와의 구별) (0) | 2018.10.07 |
애기봄맞이(1) (0) | 2016.10.24 |
뚜껑별꽃 (0) | 2014.07.04 |
좀가지풀(1) (0) | 201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