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

주저리고사리(1)(검색표)

대효0617 2017. 7. 1. 07:31

 

주저리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5493

주저리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1495

[소우축이나 열편 중륵에 낭상인편 없는 2회 이상우상인 Dryopteris종들 검색표]

주저리고사리(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934

 

 

학명: Dryopteris fragrans  (L.) Schott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학명 풀이:

Dryopteris: drys, oak + pteron, a wing(여기서는 고사리)

fragrans: 향기 있는

 

중국아명: 香鳞毛蕨

일어명: ニオイシダ

 

 

 

사진: 2012.0515. 광릉수목원 고사리전시회에서

 

 

 

 

 

 

 

 

 

 

강원도 이북의 산지의 바위틈에 자라는 상록성고사리로 크기 20cm정도이다. 근경은 비스듬히 서고 잎은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0cm 내외로 샘털이 있다. 인편이 약간 밀생하며 붉은 빛이 도는 갈색으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몸은 길이 25cm 내외로 위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 2회 우상심열이다. 엽질은 지질로 전체에 드문드문 샘털이 있다.  포자낭군은 소우축에 가깝게 붙고, 서로 겹쳐나기도 한다. 포막은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일본, 중국, 러시아, 북미에도 분포한다.

 

 

아래: 2017.06.03 정선

 

 

 

 

 

 

 

 

 

 

 

 

 

 

 

 

 

 

 

 

 

 

 

 

 

 

 

 

 

 

 

아래: 2017.07.11 광릉수목원

 

 

 

 

 

 

 

 

 

 

 

아래  : 2022.03.12 세종수목원

 

 

 

마른잎이 오래 남아 있

 

 

엽신은 2-3회우상이다

 

 

엽신은 장타원상피침형이다

 

 

 

 

 

아래 : 2022.07.29  세종식물원

 

 

 




관중과 Dryopteridaceae 속  검색표 (FOC 참조함) 


1. 포막은 신장형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한다
    2. 근경은 짧고 직립하거나 경사;
        보통 2회우상 엽신은
              최하부 우편쌍의
2차 열편을 제외하고는 외선분기한다;

        내선분기하는 경우는 보통 3-4회 우상엽신이다
         .....................          Dryopteris  관중속
 
   2. 근경은 종종 길며 기거나 경사한다;
       근경이 짧으면 엽신은 4-5회우상이고 포막은 난형;
       엽신은 내선분기한다
       ........................    Arachniodes  쇠고사리속 
 
1. 포막은 둥근 방패 모양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3. 엽신은 기수우상복엽;
        엽신 선단의 정우편 기부는 약간 갈라진다;
       엽맥은 그물맥을 이룬다
         .....................      Cyrtomium 쇠고비속
     3. 엽신은 1-3회 우상:
        뚜렷한 정우편이 없다
             엽맥은 유리맥이다
          ..............................     Polystichum  십자고사리속

 

 

소우축이나 열편 중륵에 낭상인편 없는

2회 이상우상인 Dryopteris종들 검색표

 

 

 

1. 엽신은 장타원상피침형, 잎에 황색 선모

     ................... 주저리고사리 D. fragrans

1. 엽신은 난상피침형-삼각상, 잎에 무선모

   2. 열편 톱니 끝은 뾰족

      3. 인편은 숙존성

         4.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이 최대,

            최하우편은 삼각형-삼각상난형

            ...........................    퍼진고사리 D. expansa

         4.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은 제2소우편보다 작고,

           최하우편은 장타원상피침형

            .......................    바위틈고사리 D. goeringiana

     3. 인편은 조락성

       .......................      진저리고사리 D. maximowiczii

   2. 열편  톱니는 끝이 둔하다

     5. 중축과 우축의 홈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막질 인편 밀생; 다세포성 털이 있다

         ......................    흰비늘고사리 D. maximowicziana

    5. 중축과 우축의 홈은 연결;

       막질 인편 없다;  엽신 무모

       6. 엽병, 중축, 우축 인편은  조락

          7. 2회우상; 난형-장타원상난형

           ..................   계곡고사리 D. subexaltata

         7. 3회우상; 난상5각형-난상3각형

           ..................  금족제비고사리 D. gymnophylla

      6. 엽병, 중축, 우축 인편은  숙존성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 chinensis

 

 

 

 

소우축이나 열편 중륵에 낭상인편 없는 2회 이상우상인 Dryopteris 종
공통점 1. 엽맥 유리맥 Y2. 포막 신장형 3. 낭상인편 없다 4. 근경은 짧게 옆으로 기거나 직립 또는 상향 경사한다
Dryopteris 주저리고사리
fragrans
퍼진고사리
expansa
바위틈고사리
goeringiana
진저리고사리
maximowiczii
흰비늘고사리
maximowicziana
계곡고사리
subexaltata
금족제비고사리
gymnophylla
가는잎족제비고사리
chinensis
성상 하록 하록 하록 하록 하록 상록 상록 하록
엽신 2-3우상
도피침
하부 점협
3우상
5각광난-장타원상난형
2-3우상
3각난-
난상장타원
3-4우상
5각광난
무모
3우상심열
광난상장타원형
열편중륵 밀모
1-2우상
피침-난상피침
엽신 무모
3우상
5각광난, 상부급협
엽신 무모
3우상
5각상
엽신 무모
우편 선상피침 아대생 호생   선상장타원형,
아개출
아대생 피침형, 미상 점첨두 3각상 피침, 경사
최하우편 이상 최대, 비대칭3각난 장타원상 피침형
짧아지지 않음
최대, 3각상 짧아지지 않음 최대, 3각상피침
하부우편 겸상
최대
겸상
최대,
겸상 아님
소우편   장타원형, 심열-전열 중열-심열   개출, 선상장타원형   피침형 3각상 피침
최하우편의
하향소우편
  1소우 최대, 장타원형
하향>상향소우편
- 1소우 최대,
3각상
1소우 작아진다 1소우 최대
하향>상향소우편
1소우 최대, 삼각피침
하향>상향소우편
1소우 최대
하향>상향소우편
열편 둔거치 침상거치 침상거치 침상거치 전연-미세거치 부정거치 전연 장타원형원, 예거치
엽병
인편
분포   밀생     밀생 기부만 밀생 소생 기부밀생, 상부소생
형태 광난-광피침 난형, 막질 광피침-선형, 막질 광난형, 예두 피침-광피침
투명 막질
협피침 피침 피침
갈색 갈색 연갈색 기부 인편 명갈색 백색갈색 갈색 갈색 갈색-흑갈색
변연 돌기, 황색 선점   거의 전연 전연 전연 전연, 선단 침상 - 거의 전연
포군 위치 중륵 근처 중간 중륵 근처 변연, 맥정 중간 중간 중간 변연
포막 샘털, 대형,
종종 중첩.
전연 변연 열기 전연 변연 열기 변연 열기 전연 전연 또는 돌기
기타 고엽(말림) 숙존
엽체 전체에
황색 선점 밀생
엽병?엽신 1/3
  엽병 흑갈색
중축, 우축에
선형 인편
종종 우편선단미상.
엽신 명녹색
인편은 조락
어릴 때 인편 색이
백색
인편 조락성
우편, 하부소우편기부는 쐐기 모양
인편 조락성
중축, 우축 인편 없다
인편 숙존

 

 

 

 

한국의 양치식물 설명

 

성상: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지생

키: 20-30cm; 전체에 샘털이 있다

근경: 굵고 덩어리 모양이며, 다소 곧게 선다; 잎은 모여난다. 마른 잎이 오랫동안 남는다

잎자루: 길이 3-8cm; 인편이 많이 붙어 있다; 인편은 갈색, 광난형-광피침형, 얇은 막질; 길이 3-7mm, 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고,

           노란색 샘털이 함께 있다

엽신: 2-3회우상; 길이 10-20cm, 너비 2-4cm; 도피침형 또는 광피침형이다. 아래로 가면서 매우 좁아져 귀 모양이 되고 , 끝이 뾰족하고,

        초질이며, 마르면 잎이 많이 말린다

우편: 약 20쌍으로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1.5-2cm, 너비 5-8mm이다. 끝이 뭉툭하고 , 짧은 자루가 있고, 우축 뒷면에 피침상 인편이 있다

포자낭군: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1-3줄로 붙는다

포막: 지름 2mm이며 , 서로 겹쳐나고, 둥근 신장형이며, 가장자리와 표면에 샘털이 있다

포자기: 6-9월

분포: 경기, 강원, 경남, 일본, 중국

생육지: 고산 바위 틈에 자란다  

 

 

FOC 설명

 

Dryopteris fragrans (Linnaeus) Schott, Gen. Fil. t. 9. 1834.

香鳞毛蕨 xiang lin mao jue

(학명 이명)

Polypodium fragrans Linnaeus, Sp. Pl. 2: 1089. 1753; Dryopteris fragrans var. remotiuscula (Komarov) Komarov; Nephrodium fragrans (Linnaeus) Richardson var. remotiusculum Komarov; Woodsia xanthosporangia Ching.

(설명)

Plants 20-30 cm tall. Rhizome erect or obliquely ascending, apex and stipe base scaly; scales ferruginous, ovate or ovate-lanceolate, membranous, sparsely dentate, shortly acuminate. Fronds caespitose; stipe stramineous, 1-2(-12) cm; scales ferruginous, oblong-lanceolate, with capitate golden glands, dentate; lamina oblong-lanceolate, 10-25 × 2-4 cm, widest at middle, bipinnate, gradually narrowed toward base, base less than 1 cm wide, apex shortly acuminate; pinnae ca. 20 pairs, oblique, lanceolate, apex obtuse or abruptly acuminate, middle pinnae 1.5-2 × 6-8 cm, widest at base, lower several pairs narrowed to auricles; pinnules oblong, dentate or lobed. Lamina herbaceous, glabrous on both surfaces; rachis and costa clothed with lanceolate, glossy, brown scales and glands; veins pinnate, obscure on both surfaces. Sori abaxial on veinlets; indusia orbicular or orbicular-reniform, membranous, sparsely dentate, close to each other at maturity and always exserted from frond margin, glandular; spores elliptic, tuberculate on epispore. 2n = 82.

Forests; 700-2400 m. Hebei, Heilongjiang, Jilin, Liaoning, Nei Mongol, Xinjiang [Japan, Korea, Russia; Europe, North America].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04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