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리온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1546
펠리온나무(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399
푸른몽울풀(1)(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1529
우산물통이(1)(몽울풀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677
2011년 한국식물학회지 제 41권 4호에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종이다
학명 : Elatostema laetevirens Makino
분류: 쐐기풀과 (Urticaceae)
사진: 2017.07.22 제주 ***
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
푸른몽울풀 Elatostemma laetevirens |
펠리온나무 Pelllonia scabra |
거치는 2-8쌍 정도로 깊은 예거치이며 엽신 하부에서부터 선단까지 걸쳐 있다 |
거치는 소수이며 얕은 둔거치로 엽신 상반부에 치우친다 |
Elatostema와 Pellionia 구분
1. Perianth lobes of female flowers usually 4 or 5, much shorter than ovary,
or strongly reduced, not corniculate at apex;
achene 6-10-ribbed;
male inflorescences usually with receptacle, rarely cymose;
female inflorescences with discoid receptacle and bracteoles along margin.
............................................................ Elatostema 몽울풀속
1. Perianth lobes of female flowers (4) 5 longer than ovary,
usually corniculate below apex;
achene tuberculate or striate, rarely smooth, never ribbed;
male inflorescences cymose;
female inflorescences cymose or captitate
on globose receptacle.
2. Female inflorescences cymose,
rarely with discoid receptacle and involucre;
perianth lobes of female flowers (4 or)5;
staminodes present.
............................................ Pellionia 펠리온나무속
발표 논문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제41권 4호 (2011년)
Elatostema laetevirens Makino (Urticaceae);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Jin-Seok Kim외 3인
분류군에 대한 기재
성상: 다년초로 자웅동주 또는 자웅이주, 높이 15-40cm
줄기: 다육성, 원형, 털이 없거나 단모가 드물게 있음, 기부는 다소 누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위쪽에서 다소 굵음
잎: 2열 호생, 엽병은 없다; 엽신은 좌우가 같지 않은 장타원상 도란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 길이 (2-) 4-8cm, 너비 (2-)3-4cm,; 둔두-예두 또는 짧은 점첨두; 중륵을 중심으로 넓은쪽의 기부는 원저 또는 둔저; 가장자리는 굵은 치아상 예거치 또는 둔거치; 톱니는 기부에서 2/3 이상으로 2-8(-11)개,; 표면은 광택이 없는 밝은 녹색 또는 녹색, 표면과 가장자리로 갈색의 거친 털이 드문드문 있음; 뒷면은 연한 녹색, 엽맥을 따라 짧은 털이 드물게 있음; 표면의 측맥은 뚜렷, 넓은 쪽에서는 3-6개, 좁은 쪽에서는 2-4개
화서: 두상화서로 액생
수화서: 직경 5-10mm, 많은 꽃이 모여 달린다, 간혹 암꽃이 혼생; 화경은 길이 1-3cm, 가늘고 털이 없음, 총포는 기부 가까이에서 합생, 털은 없음, 바깥쪽의 것은 넓은 삼각상이고 길이 3-4mm, 너비 5-7mm, 둔두, 안쪽의 포는 난형-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4.5mm, 너비 2-3mm, 끝은 원두-둔두; 소포엽은 피침형 –좁은 난형, 길이 2-2.5mm; 소화경은 길이 1-2.5mm, 털은 없음
수꽃: 백색, 직경 약 2.5mm,; 화피편은 5개, 보트 모양의 난형-넓은 난형, 길이 1-1.5mm, 너비 0.5-1mm; 수술은 5개, 화피편과 대생; 화사는 길이 1mm 정도; 약은 길이 0.6-0.6mm, 백색
암화서: 자루가 없다, 직경 2-8mm, 많은 꽃이 빽빽이 모여 달린다; 총포는 화탁 기부에 달리며, 난형, 길이 약 1mm, 끝 부분에 뿔 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화탁은 직경 1.5-6mm
암꽃: 옅은 녹색, 자루 없다; 화피편은 3개, 피침형-난형, 길이 0.5-0.8mm, 긴 털이 밀생; 자방은 난형, 길이 약 0.5mm,; 주두는 털이 밀생; 가수술은 3개, 화피편과 마주난다 결실기까지는 수과를 감사고 있으나 수과가 탈락되면 위로 곧추선더; 화피편은 길이 약 0.5mm, 난형, 백색
수과: 좁은 난형, 연한 황갈색, 길이 0.8-1mm. 직경 약 0.4mm, 희미한 종선이 있다
종자: 좁은 난형, 길이 0.6-0.8mm, 직경 약 0.3mm. 갈색, 광택이 있다
개화기: 8-10월
분포: 일본,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