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

돌토끼고사리(4)

대효0617 2024. 10. 17. 14:27

돌토끼고사리(4)

https://daehyo49.tistory.com/7816349

돌토끼고사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4436

돌토끼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1229

돌토끼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92

검색표 돌잔고사리

https://daehyo49.tistory.com/7811472

깃돌잔고사리(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6364

 

학명 : 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분류 : 잔고사리과 (Dennstaedtiaceae)

일어명 : イシカグマ

중국어명  : 粗毛鳞盖蕨

 

돌토끼고사리 참조 사이트

http://plants.minibird.jp/kansai/kansai50/kansai_a/con_i/isikaguma/isikaguma.html

 

 

사진 : 2024.07.31 여주 황학산수목원

 

 

 

 

우축 표면에 털이 있어 보여 깃돌잔고사리인 듯 싶기도 하나

깃돌잔고사리는 1-2회우상복엽으로 설명(엽신의 일부가 2회우상이 된다는 뜻으로 이해된다)하고 있어 

전체가 2회우상인 돌토끼고사리로 본다  

깃돌잔고사리(비공개) 참조

https://daehyo49.tistory.com/7816364

 

 

 

돌토끼고사리는 우축표면에는 털이 없지만 엽병에는 털이 밀생한다.

중축과 우축 뒷면에도 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소명 strigosa)

 

 

 

중축 : 중축과 우축 표면에는 홈이 있지만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중축과 우축 표면에는 홈이 있지만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중축과 우축 뒷면에는 털이 많다

돌토끼고사리는 우축 표면에는 털이 없고

깃돌잔고사리는 우축 표면에 털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잔고사리속Microlepia의 포자낭군은 엽연의 다소 안쪽에 붙고 포막은 주머니 모양이다 

잔고사리속Dennstaedtia의 포자낭군은 엽연에 붙고 포막은 잔 모양이다

 

 

 

아래 : 2024.10.24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5.01.13 제주  애월 납읍리 금산공원

 

 

 

 

아래 : 2025.01.16 제주 한라수목원

 

 

 

근경이 옆으로 길게 기므로 잎은 드문드문 난다

 

 

 

 

돌토끼고사리는 2회우상(우편 유병),

돌잔고사리는 1회우상(우편 무병),

깃돌잔고사리는 1-2회우상(우편유병)

 

 

 

 

근경이 길게 옆으로 기므로 잎은 드문드문 난다 

 

 

 

 

 

 

 

 

 

 

국생지

 

분포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폴리네시아

생육환경

바닷가의 산야

생육상 구분

상록성이다.

엽병 : 길이 18.3-72.7cm로 표면에 골이 있다. 위쪽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기부에는 털이 많고, 길이 1.5-2.7mm로 연갈색이며 피침형이다.

엽신 : 길이 22.5-89.6cm, 너비 10.8-32.8cm2회우상복엽이며, 장타원상피침형이다. 중축의 뒷면에는 털이 거의 없다. 열편은 치아상거치가 있고, 뒷면의 엽맥은 튀어나오며 측맥은 가장자리까지 이어진다. 최하우편은 길이 7.3-25.6cm로 장피침형이다.

줄기

근경 : 굵기 2.4-5.7mm로 옆으로 뻗고, 지면위로 나오기도 한다. 털은 길이 1.8-3.2mm로 피침형이다.

포자

포막 : 지름 0.5-0.8mm로 반타원형이고, 털이 없거나 한 두 개의 털이 기부에 나기도 한다.

포자

포자낭군 : 열편의 가장자리를 따라 달린다.

번식방법

주로 분주로 번식한다.

재배특성

지하부의 습기에 특히 약하므로 잦은 관수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보호방안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한다.

 

...............................................................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Dennstaedtia과 돌잔고사리속 Microlepia의 포자낭군, 포막 비교

 

  잔고사리속
Dennstaedtia
(잔고사리)
돌잔고사리속
Microlepia
(돌잔고사리)
설명 포자낭군은 엽연에,
포막은 잔 모양
포자낭군은 엽연 다소 안쪽에,
포막은 주머니 모양
FOC
세밀화
퍼온 사진
일본 야후

내 사진



(돌토끼고사리 사진으로 대신)
내 의견 포막 운두가 좀 낮은 듯
포자낭군은 엽연에 있다
(약간 돌출한듯)
포막 운두가 더 높은 듯
포자낭군은 엽연  다소 안쪽